$\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닫힌사슬에서의 PNF 대각선 패턴을 이용한 몸통 전·후방 이동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 연구-
Effect of Forward-and-Backward Shift Trunk Exercise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Diagonal Pattern in Closed Kinematic Chain Exercises on Upper Limb Function and ADL in Stroke Patient -A Single-Subject Design-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5 no.3, 2017년, pp.237 - 246  

박시은 (세명재활의학병원 물리치료실) ,  문상현 (바른움직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ward-and-backward shift trunk exercise using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diagonal pattern in a closed kinematic chain exercise on the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in a stroke pa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지수의 증가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는 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닫힌사슬에서의 PNF 대각선 패턴을 이용한 몸통 전후방 이동에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상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어깨관절의 관절가동범위와 FMA에 대한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FIM을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중력이 가해지는 닫힌사슬자세인 선 자세와 네발기기 자세에서 PNF 대각선 패턴을 이용한 몸통 전⋅후방 이동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NF 치료란 무엇인가? , 2011). PNF 치료는 고유수용기를 자극함으로써 신경근 기전(neuromuscular mechnism)에 대한 반응을 강화 또는 촉진 시키는 기법으로 PNF패턴은 나선형 및 대각선(spiral and diagonal direction)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Kofotolis & Kellis, 2006). 이러한 PNF 패턴의 움직임은 한 방향으로의 움직임보다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적합할 것이며, 뿐만 아니라 관절의 범위와 지구력을 증진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는 치료기법이다(Kofotolis et al.
닫힌사슬운동의 이점은 무엇인가? , 2009). 닫힌사슬운동은 근수축의 동원은 동적인 근육의 안정성을 위한 동시수축으로 먼쪽부의 수축이 우세하며 관절의 압박력은 전단력을 감소시켜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한다(Hall & Brody, 1998). 또한 닫힌사슬운동은 여러 관절을 가로지르는 많은 근육군이 활성화되므로 열린 사슬운동보다 근육과 관절에 더 많은 감각수용기들이 활성화 된다(Park et al.
닫힌사슬(closed kinematic chain) 운동이 열린사슬(open kinematic chain)운동보다 감각수용기들이 활성화 되는 이유는? 닫힌사슬운동은 근수축의 동원은 동적인 근육의 안정성을 위한 동시수축으로 먼쪽부의 수축이 우세하며 관절의 압박력은 전단력을 감소시켜 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한다(Hall & Brody, 1998). 또한 닫힌사슬운동은 여러 관절을 가로지르는 많은 근육군이 활성화되므로 열린 사슬운동보다 근육과 관절에 더 많은 감각수용기들이 활성화 된다(Park et al., 2011; Rivera,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uncan DW, Bode RK, Min Lai S, et al. Rasch analysis of a new stroke-specific outcome scale: The Stroke Impact Scal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3;84(7):950-963. 

  2. Gladstone DJ, Danells CJ, Black SE. The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critical review of its measurement propertie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2;16(3):232-240. 

  3. Hall CM, Brody LT. Therapeutic exercise, moving toward function, 3rd ed. Washingt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8. 

  4. Jaraczewska E, Long C. Kinegio taping in stroke: improving functional use of the upper extremity in hemiplegia.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2006;13(3):31-42. 

  5. Kim EJ, Lee KB, Hwang BY. Effect of upper extremity training in a standing position on trunk alignment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6;28(9):2426-2429. 

  6. Kim K, Kim YM, Kim EK.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s in a community setting and their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4;26(3):417-419. 

  7. Kim SH, Park DJ. Effects of diagonal shoulder training in a closed kinematic chain for secondary impingement syndrome: a case study.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5;27(6):2019-2020. 

  8. Kim YH, Kim EJ, Gong WT.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using PNF on the functional reach test and muscl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1;23(5):699-702. 

  9. Kim YJ, Kim TY, Oh DW. The effects of close kinemetic chain exercise and open kinematic chain exercise in improving the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Korean journal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2009;15(1):22-31. 

  10. Kofotolis N, Kellis E. Effects of two 4-week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rogrames on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Physical Therapy. 2006;86(7):1001-1012. 

  11. Kofotolis N, Vrabas I, Kalogeropoulou E, et al.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versus isokinetic training for strength endurance and jumping performance. Journal of Human Movement Studies. 2002;42(2):155-165. 

  12. Kwakkel G, Kollen BJ, van der Grond J, et al. Probability of regaining dexterity in the flaccid upper limb: impact of severity of paresis and time since onset in acute stroke. Stroke. 2003;34(9):2181-2186. 

  13. Lee JH, Wagenaar RC, Lankhorst GJ, et al. Forced use of the upper extrem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Stroke. 1999;30(11):2369-2375. 

  14. Lum PS, Godfrey SB, Brokaw EB, et al. Robotic approcches for rehabilitation of hand function after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12;91(11):242-254. 

  15. Lusting A, Ball E, Looney M. A comparison of two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s for improving range of motion and muscular strength. Isokinetics and Exercise Science. 1992;2(4):154-159. 

  16. Park DJ, Lee HO. The intramuscular activation of scapular stabilizing muscles during push-up plus and PNF exercises in a quadruped position.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3;25(4):371-374. 

  17. Park TJ, Park HK, Kim JM. The effects of PNF arm patterns on activation of leg muscles according to open and closed kinemetic chai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1;6(2):215-223. 

  18. Park YK, Kim JE. Effects of kinetic chain exercise using EMG-biofeedback on balance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7;29(8):1390-1393. 

  19. Rivera JE. Open versus closed kinetic rehabilitation of the lower extremity. A functional and biomechanical analysis.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1994; 3(2):154-167. 

  20. Sanford J, Moreland J, Swanson LR, et al. Reliability of the Fugl-Meyer assessment for testing motor performance in patients following stroke. Physical Therapy. 1993;73(7):447-454. 

  21. Sturm JW, Dewey HM, Donnan GA, et al. Handicap after stroke: how does it relate to disability, perception of recovery, and stroke subtype?: the north east Melbourne stroke incidence study (NEMESIS). Stroke. 2002;33(3):762-768. 

  22. Trombly CA, Radomski MV, Trexel C, et al. Occupational therapy and achievement of self-identified goals by adul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phase II.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02;56(5):489-49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