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 기장의 산파파종 시 파종깊이와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
Effects of Seeding Rate and Depth during Broadcast Sowing on Growth and Yield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and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2 no.4, 2017년, pp.361 - 366  

정기열 (국립식량과학원) ,  최영대 (국립식량과학원) ,  조영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전승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초록

최근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받고 있는 조, 기장의 생산량과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산파재배에 적합한 파종량과 파종깊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육 및 수량특성을 알아보았다. 파종량은 조는 5, 7, 10, $20kg\;ha^{-1}$, 기장은 5, 10, 15, $30kg\;ha^{-1}$를 실시하였고, 파종깊이는 0.5, 1, 3, 5, 7, 10 cm로 실시하였다. 조와 기장의 파종깊이의 출현율은 0.5~5.0 cm에서 72.0~78.0%, 73.0~80.5%였다. 출현 후 3엽에서 초장과 무게는 로터리깊이 3 cm에서 조, 기장 모두 가장 크거나 무거웠다. 또한,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장, 경직경, 이삭장 및 이삭당 종실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다. 1 ha당 수량은 조는 연차간 모두 $10kg\;ha^{-1}$처리에서 1년차 3,652 kg, 2년차 3,977 kg으로, 기장에서도 연차간 모두 $15kg\;ha^{-1}$처리에서 1년차 2,226 kg, 2년차 2,052 kg으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따라서 조, 기장 모두 산파 재배시 조는 $10kg\;ha^{-1}$, 기장은 $15kg\;ha^{-1}$으로 로터리 3 cm 깊이에서 파종하여 재배할 경우 수량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seeding rate and depth during broadcast sowing on growth and yield of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over 2 years. The rate of sowing seeds was adjusted to 5, 7, 10 and 20 kg per ha on foxtail millet, and 5, 10, 15 and 30 kg per ha for proso millet.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속류 잡곡인 조와 기장의 산파재배에 적합한 파종량과 파종깊이에 따른 생육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안정적인 입모율 확보와 파종 노력비 절감을 위한 산파재배기술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파재배를 소립형 종자의 파종방법으로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서속(黍粟)류 잡곡인 조와 기장은 보통 한 이삭에 약 1,500~ 10,000립의 종실의 달리며, 크기가 매우 작은 소립형으로점 파종(Dibbling)과 조파(Seed drilling)하면 발아율 저하, 성장 및 발육저하, 포장 출현율 감소 등으로 입모가 불균일하여 생산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dwards & Charter, 1986; Peacock, 1982). 산파재배는 다른 파종방법에 비해 파종 노력비를 줄일 수 있어, 주로 조와 기장과 같은 소립형 종자의 파종방법으로 주로 이용되어 왔다(Yousif, 2003). 반건조지대인 아프리카에서는 수수 파종은 산파재배가 일반적이며, 산파 시 종자불량, 토양환경 불량, 토양병 해충 등에 의한 입모불량으로 인한 재파종으로 생산성이 감소된다고 보고되고 있다(Young & Mottram, 2002).
잡곡에 대한 인식과 수요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최근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식품의 기능이 칼로리 중심에서 기호성 및 기능성으로 확대되면서 잡곡 고유의 영양 및 건강 기능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잡곡은 소득이 낮아 경제성이 적은 작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잡곡에 대한 기능가치가 발표되면서 소비 자들의 선호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2007년 이후 잡곡 수요량은 69,000 톤이었으며 수입량은 50,000 톤으로 크게 증가 하였다(MIFAFF, 2010; Jung et al., 2016) 또한 잡곡이 식・ 의약품 및 천연색소 등 산업 신소재로 용도가 다양하고 경관・환경보전 작물로도 우수하여 새로운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녹색성장 작물로서 산・학・연 연계를 통한 공동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Jung et al.
산파 재배 시 로터리 깊이에 따른 입모율의 영향은 어떠한가? 따라서 조, 기장의 파종시 너무 얕거나 깊어질수록 입모 율은 감소와 배축신장의 영향으로 인한 출아지연 등의 현상이 나타나(Chae et al., 2006), 산파재배 시 로터리 깊이는 3 cm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gdag, M., L. Nelson, D. Baltensperger, D. Lyon, and S. Kachman. 2001. Row spacing affects grain yield and other agronomic character of proso millet. Comun Soil Sci. Plant Analysis. 32 : 2021-2032. 

  2. Back, N. H., W. Y. Choi, J. C. Ko, H. K. Park, J. K. Nam, K. G. Park, S. S. Kim, B. K. Kim, and C. K. Kim. 2006. Optimum Seeding Rate in Different to Soil Salinity for Broadcasting on the Rice Flooded Paddy Surface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of Korea. Korean Soci. Crop Sci. 42 : 47-51. 

  3. Balishter, V., K. Gupta and R. Singh. 1991. Impact of mechanisation on employment and farm productivity. Productivity. 32(3) : 484-489. 

  4. Chae, J. C., S. G. Park, H. B. Kang, and S. H. Kim. 2006. Crop cultivation. Samgo Hyangmoonsa. pp. 290-296. 

  5. Cho, N. K., C. K. Song, I. S. Kim, Y. I. Cho, and E. K. Oh. 2001. Effect of nimber of plants per hill on the major charcter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eju italian millet. J. Anim. Sci. & Technol. 43(6) : 967-972. 

  6. Cho, N. K., Y. K. Kang, C. K. Song, Y. C. Jeun, J. S. Oh, Y. I. Cho, and S. J. Park. 2004.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eju native sorghum (Sorghum bicolor L.). J. Korean Grass Sci. 24(3) : 225-230. 

  7. Edwards, R. and S. Charter. 1986. Traditional Farming Systems and Farming Systems Respaniclech. p. 69-94. In: Dryland Farming in Africa. Mcmillan Press Ltd. London Basingstoke, CTA, The Netherlands. 

  8. Hwang, D. Y., S. T. Park, J. H. Kim, S. J. Yang, and S. M. Kim. 2002. Seeding process and effocts of water wet furrow broadcasting seeding. J. Korean Soci. Inter. Agri. 14(4) : 275-283. 

  9. Jeon, S. H., Y. S. Cho, and K. Y. Jung. 2014. Responses of growth and yield by plants number in high ridge hill seeding on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Korean J. Crop Sci. 59(3) : 307-311. 

  10. Jung, K. Y., S. K. Park, H. W. Kang, Y. S. Cho, and S. H. Jeon. 2016. Effects of plant number per hill on growth and yield of high ridge hill-seeded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Korean J. Crop Sci. 61 : 119-123. 

  11. Masaoka, Y. K. and N. B. Takano. 1980. Studies on the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I. Effect of plant density on the feeding value of a sorghum-sudangrass hybrid. J. Japan Grassl. Sci. 26(2) : 179-184. 

  12. MIFAFF. 2010. Statistical Yearbook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3.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Lost Crops of Africa. Volume 1: Grain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14. NCAER (National Council of Applied Economic Research). 1980. Implications of tractorization on employment, productivity and income. New Delhi, India. 

  15. NIAST.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6. Peacock, J. M. 1982. Response and Tolerance of Sorghum to temperature stress. In: Sorghum in the eighti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Sorghum ICRISAT, 2-7 Nov. 1981. Patancheru, A.P. India. ICRISAT. 

  17. Shinggu, C. P. and M. Gani. 2012. Effects of planting methods, sowing dates and spacing on weed and the productivity of finger millet (Eleusine corocana L. Gaertn) in the northern guinea savanna of nigeria. Groval Journal Bio-science & Biotechnology. VOL.1(2) : 160-162. 

  18. Song, Y. J., E. J. Song, and J. S. Ra. 1997.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on of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and Machine Transplanting Rice. Korean J. Crop Sci. 42(4) : 459-465. 

  19. USDA. 1996.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soil survey investions report No. 42 version 3.0. 

  20. Young, E. and A. Mottran. 2002. Transplanting of sorghum and pearl millet as a means of increasing food security in semiarid, low income country, Zimbabwe and Ghana, Research report. 

  21. Yousif, L. A. 2003. Performance evaluation, of different seeding machines for rainfed sorghum. Agricultural Engineeriog Annual Report. Agricultural Research Corporation, Wed Medani, Sud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