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 환경에 따른 캠핑용 조리 기구로부터 유해금속 용출의 변화
Influence of usage environment from camping cooking utensils on migration of hazardous metal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8, 2017년, pp.1094 - 1102  

이진희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약품화학과) ,  김지연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약품화학과) ,  박예슬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약품화학과) ,  박상규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약품화학과) ,  이재호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약품화학과) ,  윤종호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약품화학과) ,  김경태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약품화학과) ,  한기동 (영남대학교 생명응용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구시내 대형마트에서 유통되고 있는 스테인레스, 경질알루미늄, 연질알루미늄 재질 코펠 및 불소수지 코팅 불판에 대해 0.5% citric acid 용액에서 용출되는 유해 금속을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측정기(ICP-OES)로 측정한 결과,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 공전에 기준이 설정된 납, 카드뮴, 비소, 니켈의 경우는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용출 용액과 사용 환경에 따라 그 용출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류수, 0.5% citric acid 용액, 1% NaCl 용액 등 용출 용액을 달리하여 30분간 가열한 뒤 평균 용출량을 비교한 결과, 증류수에서 경질알루미늄 재질 코펠의 알루미늄 용출량이 0.007 mg/L 수준이었으나, 0.5% citric acid 용액에서는 스테인레스 재질 코펠은 0.021 mg/L, 경질알루미늄 재질 코펠은 51.97 mg/L, 연질알루미늄 재질 코펠은 24.89 mg/L, 불소수지 코팅 불판은 0.040 mg/L로 증류수와 1% NaCl 용액에서의 용출량보다 높았다. 1% NaCl 용액에서 비소는 스테인레스와 연질알루미늄 재질 코펠 0.006 mg/L, 경질알루미늄 재질 코펠 0.008 mg/L로 증류수와 0.5% citric acid 용액에서의 용출량보다 다소 높게 용출되었다. 0.5% citric acid 용액에서 니켈이 스테인레스 재질 코펠이 0.007 mg/L로 증류수와 1% NaCl 용액에서의 용출량보다 다소 높게 용출되었는데, 이는 스테인레스 코펠의 니켈 조성 특성 때문으로 사료된다. 카드뮴은 모든 용액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물리적 스크래치를 가한 후의 용출 용액에 따른 유해 금속 용출량은 스크래치를 가하기 전보다 모든 용액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0.5% citric acid 용액에서는 스테인레스와 경질알루미늄 재질 코펠에서 카드뮴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출 시간에 따른 유해 금속 용출량 변화를 살펴보면, 증류수에서는 경질알루미늄, 연질알루미늄 재질 코펠과 불소수지 코팅 불판의 알루미늄 용출량이 증가하였다. 0.5% citric acid 용액에서는 스테인레스, 경질알루미늄, 연질알루미늄 재질 코펠의 니켈과 알루미늄 용출량이 증가하였고, 불소수지 코팅 불판은 납, 비소, 알루미늄 용출량이 증가하였다. 1% NaCl 용액에서는 스테인레스, 경질알루미늄 재질 코펠과 불소수지 코팅 불판의 비소 용출량이 증가하였고, 연질알루미늄 재질 코펠의 비소와 알루미늄 용출량이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zardous metals leac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various usage environments for camping cooking utensils distributed in the marke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igration for lead, arsenic, cadmium and nickel defending on the solvent and how to use, 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통되고 있는 캠핑용 조리 기구가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공전에서 제시되고 있는 재질별 기준(금속제: 납, 비소, 카드뮴, 니켈, 불소수지: 납)에 적합한지 살펴보고, 국, 찌개, 전골 등을 즐기는 한국의 식생활에 맞추어 사용 조건에 따른 납, 비소, 카드뮴, 니켈, 알루미늄 유해 금속 용출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유해금속 뿐만 아니라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유해금속에 대하여도 다양한 용출 용액 사용과 용출 시간의 증가에 따른 변화 그리고 조리 기구 사용 중에 생길 수 있는 물리적 스크래치에 의한 유해 금속 용출량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캠핑용 조리 기구의 안전성 실태를 파악하고 올바른 사용법을 제시하여, 향후 캠핑용 조리 기구에 대한 시민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 변화와 기준 설정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통되고 있는 캠핑용 조리 기구가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공전에서 제시되고 있는 재질별 기준(금속제: 납, 비소, 카드뮴, 니켈, 불소수지: 납)에 적합한지 살펴보고, 국, 찌개, 전골 등을 즐기는 한국의 식생활에 맞추어 사용 조건에 따른 납, 비소, 카드뮴, 니켈, 알루미늄 유해 금속 용출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캠핑 인구의 증가의 원인은? 국내 캠핑 시장은 2003년부터 10년 넘게 양적 성장을 지속했다. 소득 수준의 향상과 주 5일제 도입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가에 따라, 도심 속 단조로운 생활을 벗어나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즐기려는 캠핑 인구의 증가는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캠핑 인구는 2011년 60만 명에서 2014년에 300만 명을 넘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내외 캠핑 관련 브랜드도 넘쳐나고 있다.
캠핑용 조리 기구 중 금속제 냄비의 원료로 무엇을 쓰는가? 캠핑용 조리 기구는 크게 코펠, 그릴, 석쇠로 구분되어지며, 코펠은 금속제 냄비들과 팬 그리고 식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제 냄비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티타늄 재질 제품이 주를 이루고, 팬의 경우는 불소수지 제품이 주로 많다(1). 
섭취되는 알루미늄는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980년대에 일부 과학자들이 알루미늄이 치매와 관련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으나, 아직 그 연관성은 분명하지 않으며 계속 연구 중에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섭취되는 알루미늄이 먹이 사슬에 의한 농축으로 건강에 위해한 것으로 간주되고, 중추신경, 골격계, 조혈계에서 독성을 일으키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변성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4). 조리 기구에 의한 알루미늄의 용출에 대해서는 2006년 Gramiccioni 등(5) 이 토마토 주스를 알루미늄 조리 기구에서 조리하였을 때 알루미늄이 3 mg/kg에서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Wernick S, Pinner R, Sheasby PG (1987) The Surface Treatment and Finishing of Aluminium and its Alloys. Vol. I, 5th Ed, Finishing Publications Ltd, UK, p 1-50 

  2. Maynard RL (2001) The Merck Index, Merck & CO INC, White House Station, NJ, USA, p 60, 136, 272, 967, 1165 

  3. Scncar J, Stibilj V, Milacic R (2004) Determination of aluminium in Slovenian foodstuffs and its leachability from aluminium-cookware. Food Chem, 85, 151-157 

  4. Gunnar FN, Bruce AF, Monica N, Lars TF (2007) Aluminium Handbook on the Toxicology of Metals. 3rd Ed, Academic Press, Burlington, VT, USA, p 339-352 

  5. Gramiccioni L, Ingrao G, Milana MR, Santaroni P, Tomassi G (1996) Aluminium levels in Italian diets and in selected foods from aluminium utensils. Food Addit Contam, 13, 767-774 

  6. Kamerud KL, Hobbie KA, Anderson KA (2013) Stainless steel leaches nickel and chromium into food during cooking. J Agric Foods Chem, 61, 9495-9501 

  7.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 /mediacentre/factsheets/en/ (accessed July 2017) 

  8. Croghan CW, Park NC, Egeghy PP (2003) Methods of dealing with values below the limit of detection using SAS. EPA Science Inventory 

  9. Kwon JW (2009)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limits. Korean J Environ Agric, April 85-102 

  10. Choi JC, Park SJ, Goh HA, Lee JY, Eom MO, Kim MH (2014) A study on migration of heavy metals from kitchen utensils including glassware, ceramics, enamel, earthen and plastics. J Food Hyg Saf, 29, 334-339 

  11. Lee KH, Kwon KS, Jeon DH, Choi BH, Lee SH, Lee CW (1999) Migration mechanism of hazard elements from brass kitchenwares. J Korea Soc Packag Sci Technol, 5, 24-30 

  12. Lim JG (2005) The monitoring of harmful elements on food packaging (I)-Metallic kitchenware, Biodegradability disposable package. Report of Korea Environment & Merchandise Testing Institute, 1470002069, 15-76 

  13. Kim MS, Cho TH, Kim CK, Kim HS, Shin GY, Kim JH, Jung K (2014) Measurement of hazardous metals migrated from cooking utensils for camping. Report of Seoul Institute Health Environment, 29-36 

  14. Lee SH, Jung KJ, Lee YK, Sung JH, Eom MO, Lee YJ, Lim JG (2007) Monitoring of lead and antimony in metallic kitchenware. J Food Hyg Saf, 22, 52-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