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조리법에 따른 버섯류의 엽산 리텐션
Effects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folate retention in selected mushroom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8, 2017년, pp.1103 - 1112  

박수진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선혜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혜정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천지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엽산은 체내에서 아미노산과 핵산의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이며, 세포 분열과 성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유아기, 성장기, 임신기 및 수유기에 높게 요구되는 수용성 비타민이다. 버섯류는 다양한 영양 및 생리활성 성분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국내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실제로 섭취하게 되는 조리된 버섯류의 엽산 성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4가지 표준조리법(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에 따른 6종 버섯(백만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목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의 엽산 함량 변화를 분석하고 조리 전 후의 중량 변화를 고려한 가공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엽산 잔존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의 국가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로의 활용을 위하여 엽산 분석에 사용된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을 검증하고 내 외부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여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생버섯 6종의 엽산 함량은 버섯의 종류에 따라 $6.04-64.82{\mu}g/100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느타리버섯 > 팽이버섯 > 표고버섯 > 양송이버섯 > 백만송이버섯 > 목이버섯) 이는 조리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목이, 표고, 및 느타리버섯은 네 가지 모든 조리법에서 엽산 함량이 각각 22-48, 2-31, 17-56%로 감소된 반면, 백만송이 버섯은 모든 조리법에서 17-90% 증가되었다. 한편, 양송이 버섯과 팽이버섯의 경우, 삶기에서는 생버섯에 비하여 엽산 함량이 각각 16%와 34% 감소한 반면, 튀기기에서는 각각 24%와 465%의 증가를 나타냈다. 조리 전후의 버섯의 중량 차이는 조리수를 이용한 삶기에서 가장 적었으며 고온에서 조리되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리법에 따른 무게 변화를 고려한 가공계수를 고려하여 엽산 잔존율을 계산한 결과, 백만송이버섯을 제외한 5종 버섯에서는 대부분의 조리법에서 100% 이하의 잔존율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삶는 조리법에서 엽산 잔존율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며 튀기는 조리법에서는 비교적 잔존율이 높게 유지되었다.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을 검증한 결과 우수한 정확성과(회수율 100.4%) 정밀성(CV 3% 이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가 진행되는 전 기간 동안 품질관리시료를 분석한 결과가 QC chart 관리수준 범위($172.58-188.20{\mu}g/100g$) 이내에 들어가 모든 분석이 관리하에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FAPAS PT 시험에서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이 z-score=-0.5를 얻어 분석 숙련도의 우수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법 검증 및 품질관리 결과는 본 연구에서 생산된 생버섯 및 조리 버섯의 엽산 분석 데이터의 신뢰도가 우수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는 국가식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boiling, roasting, stir-frying, and deep-frying) on folate retention in 6 kinds of mushrooms (Beech-, button-, Juda's ear-, oak-, oyster-, and winter-mushroom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In order to assure reliab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가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기 위한 시료의 대표성과 데이터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6종의 버섯을 4가지 표준조리법으로 조리하였으며 엽산 분석에 사용된 trienzyme 추출 및 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미생물학적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method validation) 및 내 외부적 분석 품질관리(quality control, QC)를 수행하였다. 국가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다소비 되고 있는 버섯 6종에 대하여 총 4가지 조리법에 따른 엽산 함량의 잔존율 변화를 조사하여 조리된 버섯에 대한 엽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기 위한 시료의 대표성과 데이터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6종의 버섯을 4가지 표준조리법으로 조리하였으며 엽산 분석에 사용된 trienzyme 추출 및 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미생물학적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method validation) 및 내 외부적 분석 품질관리(quality control, QC)를 수행하였다. 국가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다소비 되고 있는 버섯 6종에 대하여 총 4가지 조리법에 따른 엽산 함량의 잔존율 변화를 조사하여 조리된 버섯에 대한 엽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의 특징은? 버섯류는 지방 함량이 낮고 난소화성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칼로리가 낮으며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할 뿐 아니라,독특한 향, 맛, 조직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호 식품으로서 가치가 크다(7,8). 또한,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lentinan, inotodiol, bolegrevilol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존재하고 있어 항산화, 항암, 항염증 등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9-12) 식단에서의 활용 빈도와 섭취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버섯은 생으로 섭취하기보다는 주로 굽기, 볶기, 튀기기 등 다양한 조리 후 섭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식품의 조리 및 가공과정은 영양성분이나 생리활성 물질을 매트릭스로부터 분리시켜 섭취 시 생체이용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13), 유용성 물질들의 화학적 분해 및 외부로의 용출로 인한 손실을 가져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14-16).
엽산이란? 엽산(folate)은 수용성 비타민 B 그룹의 하나로 체내에서 비타민 활성을 보이는 pteroic acid의 유도체들로 인체 내에서 DNA 합성과 아미노산 대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3,4). 특히, 임산부의 경우 엽산 결핍에 의해 태아의 신경관 결함(neural tube defect)을 초래하게 되어 기형아 출산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엽산 강화를 의무화하여 엽산을 강화한 fortified flour를 국민 식단으로 이용하게 하는 영양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유럽 또한 엽산 강화를 권장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엽산이 임산부에게 중요한 이유는? 엽산(folate)은 수용성 비타민 B 그룹의 하나로 체내에서 비타민 활성을 보이는 pteroic acid의 유도체들로 인체 내에서 DNA 합성과 아미노산 대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3,4). 특히, 임산부의 경우 엽산 결핍에 의해 태아의 신경관 결함(neural tube defect)을 초래하게 되어 기형아 출산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엽산 강화를 의무화하여 엽산을 강화한 fortified flour를 국민 식단으로 이용하게 하는 영양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유럽 또한 엽산 강화를 권장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서도 임산부, 수유부 및 성인 여성의 엽산 섭취량이 높지 않아 엽산이 풍부한 식품이나 보충제를 이용한 엽산의 보충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Zarkin GA, Dean N, Mauskopf JA, Williams R (1993)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nutrition label changes. Am J Public Health, 83, 717-724 

  2. Graham DJ, Laska MN (2012) Nutrition label us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healthy eating and overall dietary quality among college students. J Acad Nutr Diet, 112, 414-418 

  3. Arcot J, Shrestha A (2005) Folate: methods of analysis. Trends Food Sci Technol, 16, 253-266 

  4. Ji HJ, Kim S, Yon M, Hyun T (2009) Folate content of fast foods and processed foods. Korean J Nutr, 42, 397-405 

  5. Chang N, Kang M, Paik HY, Kim IH, Cho YW, Park SC, Shin YW (1993) Serum folate and iron levels of pregnant, lactating, and non-pregnant, non-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26, 67-75 

  6. Kang M, Chang N (1993) Effect of dietary folate intakes on serum folate levels of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26, 433-442 

  7. Lee J (2007) Effect of UV-B irradiation on vitamin $D_{2}$ contents, color value and flavor pattern in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Cook Sci, 23, 99-106 

  8. Cho YJ, Kim KH, Yook HS (2015) Protective effect of edible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Flammulina velutipes,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DNA damage of Jurkat cell line. Korean J Food Nutr, 28, 34-39 

  9. Park MH, Oh KT, Lee BW (1998) Anti-cancer activity of Lentinus edoeds and Pleurotus a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02-708 

  10. Ham SS, Oh SW, Kim YK, Shin KS, Chang HY, Chung GH (2003) Antioxidant and genotoxic inhibition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the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71-1075 

  11. Kim HK, Han HS, Lee GD, Kim KH (2005)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resh Pleurotus eryngi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39-445 

  12. Xu XM, Jun JY, Jeong IH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hot 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51-1357 

  13. Pellegrini N, Chiavaro E, Gardana C, Mazzeo T, Contino D, Gallo M, Riso P, Fogliano V, Porrini, M (2010)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color, phytochemical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of raw and frozen Brassica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58, 4310-4321 

  14. Burg P, Fraile P (1995) Vitamin C destruction during the cooking of a potato dish. LWT-Food Sci Technol, 28, 506-514 

  15. Roy MK, Juneja LR, Isobe S, Tsushida T (2009) Steam processed broccoli (Brassica oleracea)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chemical and cellular assay systems. Food Chem, 114, 263-269 

  16. Hwang ES, Kim GH (2011) Different cooking methods for Korean cabbage and their effe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arotenoid and tocopherol cont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13-721 

  17. Jeong CH, Shim K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Pleurotus eryngii mushroom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6-722 

  18.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3 

  19. Lee JS, Jeong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o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98-105 

  20. Chun J, Martin JA, Chen L, Lee J, Ye L, Eitenmiller RR (2006) A differential assay of folic acid and total folate in foods containing enriched cereal-grain products to calculate ${\mu}g$ dietary folate equivalents ( ${\mu}g$ DFE). J Food Compos Anal, 19, 182-187 

  21. AOAC (2002) AOAC Guidelines for single laboratory validation of chemical methods for dietary supplements and botanicals.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MD, USA, p 12-27 

  22. Kim HG, Lee KJ, Kim SM, Chung HJ (2010) Nutritional retention factor of 1+ quality grade Hanwoo beef us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30, 1024-1030 

  23. Puwastien P, Pinprapai N, Judprasong K, Tamura T (2005) International inter-laboratory analyses of food folate. J Food Compos Anal, 18, 387-397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WHO expert consultation on rabies: second report (No. 982).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 

  25. Noh H, Nicolas G, Paik HY, Kim J, Slimani N (2017) Improving standardization of national nutrient databases for use in international settings: A Korean proof of concept. J Food Compos Anal, 64, 55-63 

  26. Park HO, Oh HS, Yoon S (2001) The changes of $Vit.D_{2}$ and $Vit.B_{2}$ contents according to ultraviolet rays and cooking methods of mushroom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463-469 

  27. Kim BM, Kim SM, Oh JY, Cho YS, Kim SN, Choi Y (2014) Total folate contents of 15 edible plants consumed in Korea using trienzyme extraction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796-1800 

  28. Min HS (1998) Changes of folate content in spinach by cooking and storage-the comparisons of thermal destruction and loss of folate into cooking water by blanching time of spin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86-290 

  29. Kim JS, Han JS, Lee JS (1995) A study for the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shrooms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11, 44-50 

  30. Haytowitz DB (2006) Nutrient content and nutrient retention of selected mushrooms. Paper presented at 2006 IFT Annual Meeting, June 24-28, Orlando, FL, USA 

  31. Stea TH, Johansson M, Jagerstad M, Frolich W (2006) Retention of folates in cooked, stored and reheated peas, broccoli and potatoes for use in modern large-scale service systems. Food Chem, 101, 1095-11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