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 당뇨병 노인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희망이 건강보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Hope on Health Conservation of the Vulnerable Elderly with Diabete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4, 2017년, pp.386 - 396  

성기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박지현 (가톨릭상지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경 (영남이공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elf - esteem, hope, and health conservation of the vulnerable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00 vulnerable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living in D or K cities. Data collection was d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경제적 빈곤과 만성질환인 당뇨병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취약계층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보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취약계층 당뇨병 노인의 건강한 삶의 유지,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취약계층 당뇨병 노인에 대한 건강관리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39%를 노인이 차지하고 있으며[6] 이러한 당뇨병 노인은 혈당조절의 어려움으로 여러 가지 신체적 건강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 심리적 건강문제가 함께 수반되어 있다[7]. 이렇듯 우리나라는 소득계층 간 건강행위에 대한 적극성의 차이가 있어 저소득층 당뇨병 환자와 고소득층 당뇨병 환자의 건강 수준에는 차이가 나타나므로[5] 취약계층 당뇨병 노인에 대한 건강관리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자아존중감이란?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가치와 존중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이며 정신적 건강의 토대가 되는 요소이다[14]. 경제적 빈곤이 있는 저소득층은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고[8,15],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취약계층 여성노인은 비 취약계층 일반 노인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으며[10], 특히 저학력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은 다른 계층 노인보다 가장 낮다[16].
지역사회 간호사가 취약계층 당뇨병 노인을 위한 정서적, 심리적 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3%가 종교 활동 등의 사회활동에 참여하지 않아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았다는 Yeo와 Yoo [17]의 연구결과와 원인이 다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경제적 빈곤과 불평등으로 인한 소외된 계층이 정서 및 심리적 문제와 가족의 문제를 안고 살아왔으나 과거보다 국가적 차원에 서의 사회복지체계의 활성화로 인하여 보건의료시설을 이용 하는 대상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국가의 대민 중심 보건의료 서비스의 제공으로 지역사회 자원체계를 통한 보건의료 정책의 결과인 듯하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간호사는 취약계층 당뇨병 노인이 다양한 사회적 자원과 관계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며[16] 지역사회 주민으로서의 자신에 대한 존재감과 가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서적, 심리적 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EO, Yu M. Frail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vulnerable elderly population by age group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6):848-857. https://doi.org/10.4040/jkan.2016.46.6.848 

  2. Whang MJ, Lee C. Current status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Research Report. Seoul: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November. Report No.:11-12400-00-000868-01. 

  3. Jang SM.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ive health status in the adults with chronic disease- focusing on socio-economic status of diabetic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5;43(2):32-59. 

  4. St. John PD, Tyas SL, Montgomery PR. Depressive symptoms and frailt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3;28(6):607-614. https://doi.org/10.1002/gps.3866 

  5. Kim JG. Equity in health level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of elderly people in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1;27(2):65-87. 

  6. Seong SC, Son MS.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Research Repor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6 September. Report No:11-B550928-00001-10. 

  7. Conn VS, Russell CL. Self-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among aging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5;31(5):4. https://doi.org/10.3928/0098-9134-20050501-03 

  8. Park SY. Relationships of depression and positive emotions with hope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family support for people in low-incom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3;40(0):189-214. 

  9. Moon MY, Kim MA. Factors related to self management in middle aged and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5;19(2):261-273. 

  10. Lee SH, Jun SS.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or low-income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21(4):311-320. 

  11. Jang SH, Kim CS, Kim MR. An effect the social support on th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Journal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8;14(2):39-46. 

  12. Lim MK.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 among low income group in urban area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86 p. 

  13. Shim MS.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5;7(1):63-70. 

  14. Kim JY, Lee JM. A Study on the factor giving effect to self-esteem of low-income old woman.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008;27:259-280. 

  15. Lee JK, Lee RH. Material hardship and alcohol use among low-income household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7):552-56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552 

  16. Kwag KH.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esteem among elderly living alon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1-1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001 

  17. Yoe YO, Yoo EK.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ADL in the case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0;22(6):676-686. 

  18. Cho HJ. The effects of hope on life stress, psychopathology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0;29(3):839-852. 

  19. Lee BK. A study of hope and quality of life in dialysis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7. 81 p. 

  20. Wang LY, Chang PC, Shin FJ, Sun CC, Jeng C. Self-care behavior, hope, and social support in Taiwanese patients awaiting heart transplant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6; 61(4):485-491. https://doi.org/10.1016/j.jpsychores.2004.11.013 

  21. Ban JY, Park HR, Sohng KY. Hope and related variables in patients undergoing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leukemia. Asian Oncology Nursing. 2005;5(2):116-125. 

  22. Sung KW. Scale development on health conservation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113-124. https://doi.org/10.4040/jkan.2005.35.1.113 

  23. Oh OW, Kim EJ. Factors influencing health conservation amo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2):134-143. 

  24. Chang HK. Influence of frailty, nutritional status, positive thinking and family function on health conservation of the elderly at hom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1):52-62. https://doi.org/10.7475/kjan.2015.27.1.52 

  25. Sherbourne CD, Stewart AL.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 Medicine. 1991;32(6):705-714.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150-B 

  26.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1st e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804 p. 

  27. Je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11(1):107-130. 

  28. Nowotny ML.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ogy Nursing Forum. 1989; 16(1):57-61. 

  29. Choi SS.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0. 81 p. 

  30. Kim CN. A correlation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4;18(2):342-3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