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사태에 따른 병원종사자와 일반인의 스트레스 정도가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vent 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Healthcare Workers and the Public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111 - 119  

권혁민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태형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말례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병조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형욱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송옥선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은헌정 (예수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이하 MERS) 사태 발생 당시에 받은 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회복탄력성매개효과로서 사회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MERS가 발생한 병원의 병원종사자 156명과 일반인 12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자각척도, 사회심리적 건강측정 도구, 코너-데이비슨 리질리언스 척도를 시행하였다. 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병원종사자와 일반인 모두에서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 심리적 건강이 좋지 않음을 보였고,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낮은 회복탄력성을 나타냈으며, 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 사이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MERS 사태로 인해 받은 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개인의 회복탄력성의 정도가 간접적으로 사회심리적 건강에 긍정적 효과를 끼칠 수 있고, 회복탄력성 강화를 목표로 한 임상적 개입 및 사회심리적 접근방법이 위기 발생시 정신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ss on psychosocial wellbeing at the time of an outbreak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lience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sychosocial wellbeing.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MERS 사태 발생 시 병원종사자의 스트레스 정도와 회복탄력성 정도가 일반인과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하였고, MERS가 발생한 의료기관에서 근무한 병원 종사자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MERS 발생 당시에 받은 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 이러한 곤경에 처했을 때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심리적 변인인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로서 사회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RS 사태에서 모두가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에 대해 연구자들은 어떤 요소의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렇다고 SARS나 에볼라 바이러스, 신종인플루엔자A(H1N1), MERS와 같은 사태를 겪으면서 모든 사람이 똑같은 방식으로 반응하는 것은 아니며, 누군가는 병적인 상태로 빠져들고, 다른 누군가는 충격으로부터 빨리 회복하기도 하고, 심지어 더 성장하는 사람도 있다. 2) 이렇게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고, 많은 연구자들은 환경 적인 위기에 도전하고 역경을 견디어 긍정적으로 회복하거나 성장하는 회복 탄력성이라는 변인의 차이로 생각하고 있으며,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3,4) 회복탄력성은 정해진 특성 (trait)과 상태(state)의 복합적인 개념으로, 개인의 타고난 요인과 더불어 외부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MERS가 공식적으로 끝난 시기는? 1) 한국도 역시 더이상 전염병으로부터 안전지대가 될 수 없는 국가가 되었고, 2002년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이하 SARS)나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A(H1N1)(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의 대유행 때의 방역조치와는 달리, 2015년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이하 MERS)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어 대한민국 전역은 극도의 불안과 걷잡을 수 없는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이로 인해 2015년 12월 23일 MERS 종식선언이 있을 때까지 186명의 확진 환자와 38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한국도 전염병으로부터 안전지대라고 볼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람들의 국가 간 이동이 잦아지고, 환경 파괴, 기후, 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신종 감염병 및 해외 유입 전염병의 위협이 거세어지고 있는 가운데, 21세기는 신종전염병의 시대가 되면서 사람들은 그 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질병에 노출되고 있고, 전염병의 파급력 역시 커지고 있다. 1) 한국도 역시 더이상 전염병으로부터 안전지대가 될 수 없는 국가가 되었고, 2002년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이하 SARS)나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A(H1N1)(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의 대유행 때의 방역조치와는 달리, 2015년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이하 MERS)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어 대한민국 전역은 극도의 불안과 걷잡을 수 없는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이로 인해 2015년 12월 23일 MERS 종식선언이 있을 때까지 186명의 확진 환자와 38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ung MJ. Infectious disease, safety, state: history of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MERS situation, Critical Studies on Modern Korean History 2015;34:517-542. 

  2. Schneider JM. Finding my way: healing and transformation through loss and grief. Colfax, WI: Seasons Press;1994. 

  3. Connor KM. Assessment of resilience in the aftermath of trauma. J Clin Psychiatry 2006;67(supp) 2:46-49. 

  4. Charney DS. Psychological mechanisms of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dapation to extreme stress. AM J Psychiatry 2004;161:195-216. 

  5. Rutter M.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s. Br J Psychiatry 1985;147:598-611. 

  6. Dyer JG, McGuinness TM.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 Psychiatr Nurs 1996;10:276-282. 

  7. Stephen Z. Levine, Avital Laufer, Einat Stein, Yaira Hamama-Raz, Zahava Soloma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09;22:282-286. 

  8. Jung YE, Chae JH. Neurobiology of resilience to cope against the life adversity. Korean J Psychopharmacol 2010;21:62-70. 

  9. Yoon H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40:351-362. 

  10. Kim BN, Oh HS, Park YS.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aptional Health Nursing 2011;20:14-23. 

  11. Lee HN, Jeong HJ, Lee KH, Lee HA.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perception, stress coping, ego-resilience and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6;7:701-713. 

  12. Um DH, Kim JS, Lee HW, Lee SH. Psychological Effects on Medical Doctors from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Outbreak: A Comparison of Whether They Worked at the MERS Occurred Hospital or Not, and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MERS Diagnosis and Treatment. J Korean Neurpsychiatric Association 2017;1:28-34. 

  13. Lee SY. Counterattack of MERS, unexpected confusion. Doctorsnews 2015;Nov 16. 

  14. George A. Bonanno and Samule MY. Ho: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dysfunction among hospitalized survivors of the SARS epidemic in Hong Kong: A latent class approach, Health psychology 2008;27:659-667. 

  15. Aiello A, Khayeri MY, Raja S, Peladeau N, Romano D, Leszcz M, Maunder RG, Rose M, Adam MA, Pain C, Moore A, Savage D, Schulman RB. Resilience training for hospital workers in anticipation of an influenza pandemic,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 2011;31:15-20. 

  16.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Health Soc Behav 1983;24:385-396. 

  17. Cohen S.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nited States.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1988. p.31-67. 

  18. Jang SJ. Chapter 4. Standardization of Stress and Health Statistics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Gyechuk Munwhasa 2000;128-133. 

  19.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Korean job stress measurement tool(2nd year) 2003 Research Report. 

  20. Connor KM, Davi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2003;18:76-82. 

  21. Baek HS, Lee KU, Joo EJ, Lee MY, Choi K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 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 2010;7:109-115. 

  22. Baron RM, Kenny D.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1173-1182. 

  23. Sobel M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13:290-312. 

  24. Stood A, Prasad K, Schroeder D, Varkey P. Stress management and resilience training among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J General Internal Medicine 2011;26:858-861. 

  25. Mealer Mo, Jones J, Newman J, McFann KK, Rothbaum B, Moss M. The presence of reseilience is associated with a healthier psychological profile in ICU nurses, Inter J Nurs Studies 2012;49:292-299. 

  26. Lee JH, Park SY, Uhm JH, Lee JH, Lee CY, Yoon CY, Lee SM. Construct validity of the resilience scal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012;24:555-571. 

  27. Foureur M, Besley K, Burton G, Yu N, Crisp J. Enhancing the resilience of nurses and midwives:pilot of a mindfulnessbased program for increased health, sense of coherence and decresase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Contemporary Nurse 2013;1:114-125. 

  28. Chan CL, Chan TH, Ng SM. The Strength-Focused and Meaning-Oriented Approach to Resilience and Transformation (SMART): A body-mind-spirit approach to trauma management. Soc Work Health Care 2006;43:9-36. 

  29. Maunder RG, Lancee WJ, Rourke S, Hunter JJ, Goldbloom D, Balderson K, Petryshen P, Steinberg R, Wasylenki D, Koh D, Fones C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sychological impact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on nurses and other hospital workers in Toronto, Psychosomatic Medicine 2004;6;938-942. 

  30. Hong E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nstructional suggestion.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06;41:45-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