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섭식장애 환자의 섭식장애 병리의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185 - 192  

김성수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임수근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황보인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  김율리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최근 남성에서 섭식장애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남성 섭식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섭식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남성 환자 32명과 대조군인 여성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및 여성 환자 간 섭식병리 및 공존정신병리를 비교하였으며, 면담도구로는 섭식장애검사(Eating disorders examination)를 사용하였으며, 설문평가로는 벡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와 스필버그 상태-특성 불안 척도(Spielberger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체중관련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남성 환자 군을 대상으로 과거 체중감량의 정도와 섭식장애 병리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결 과 남녀 환자 간 내원 연령, 발병 연령, 이환 기간, 내원 시의 체질량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성 섭식장애 환자에서 여성 환자들에 비하여 병전 과체중 및 비만의 기왕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chi}^2=4.692$, p=0.03). 남녀 간 동반되는 불안 증상의 정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 환자군에서 우울 증상의 정도가 낮았다(d=0.63). 남성 환자들에서 과거 체중감량 정도와 현재의 섭식장애 병리간 관련 있었다. 결 론 본 연구는 한국인 남성을 대상으로 섭식장애의 임상적 특징을 탐색한 첫 연구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남성 섭식장애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접근을 높이고 예방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s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Methods : The present study included 32 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d 75 fe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recruited from an eating disorders specialized clinic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세계적으로 남성 섭식장애 환자에 대한 임상자료들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관련 연구들은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임상적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남성 섭식장애 환자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한 섭식장애 전문 의료기관에 내원한 성인 남성 섭식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섭식장애의 병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일정 기간 동안 내원한 성인 여성 섭식장애 환자군에서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인 남성을 대상으로 섭식장애의 임상적 특징을 탐색한 첫 연구라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향후 지역사회 남성 및 충분한 수의 환자군을 통하여 세부 진단별 임상적 특징에 대한 남녀간 비교 및 정상남성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남성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이나 예후 관련 요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남성 섭식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남성 및 여성 섭식장애 환자군을 대상으로 섭식 장애 병리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성 환자는 여성 환자에 비해 병전 과체중이나 비만의 기왕력이 더 많았고, 현재의 섭식장애 병리의 차이는 없었으며, 우울 정도가 낮았다.
  • ‘체중억제량(Current WS)’은 개인의 일생 최고 체중과 현시점의 체중간의 차이(kg)로 정의하였으며, ‘최대 체중억제량(Greatest WS)’은 개인의 일생 최고 체중 측정치와 일생 최저 체중 측정치의 차이(kg)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억제량(WS)과 섭식장애검사(EDE)를 통해 평가한 섭식장애의 핵심 병리들과의 상관 관계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성 환자의 진단과 치료의 지연을 초래하고 정신 병리의 악화 및 기능 손상의 심화를 야기한 원인은 무엇인가? 섭식장애 남성에 대하여 의원 및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실시된 연구의 유병률이 지역사회 기반 연구의 유병률보다 낮은 것은 남성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섭식장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과 섭식장애를 ‘여성의 질환(women’s illness)’으로만 바라보는 사회문화적 관점 및 이 질환으로 인한 낙인(stigma)에 의하여 의료기관 방문에 어려움이 컸기 때문일 수 있다.10) 이는 결국 남성 환자의 진단과 치료의 지연을 초래하고 정신 병리의 악화 및 기능 손상의 심화를 야기한다.
섭식장애란 무엇인가? 섭식장애는 신체적, 정신적 공존 질환비율이 매우 높고, 삶의 질의 저하가 극심한 질환으로 여성에게 호발하는 정신 장애이다.1) 최근 남성들에서 섭식장애의 유병률이 점차 높아지면서 남성 섭식장애 환자들에 대한 특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5년간(2008~2012년) 심사결정 자료에서 섭식장애는 어느 정도의 증가율을 보이는가? 섭식장애의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정신 의료현황에도 적용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5년간(2008~2012년) 심사결정 자료에 따르면, ‘섭식장애(F50)’의 진료인원이 2008년 10,940명에서 2012년 13,002명으로 5년 새 2,062명 증가(18.8%)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4.5%로 나타났다. 총 진료비는 2008년 약 25억 6천만원에서 2012년 약 33억 9천만으로 5년새 약 8억 3천만원이 증가(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Harris EC, Barraclough B. Excess mortality of mental disorder. Br J Psychiatry 1998;173:11-53. 

  2. Morgan, J. The invisible man: A self-help guide for men with eating disorders, compulsive exercise, and bigorexia. New York, NY: Routledge;2008. 

  3. Hoek HW. Incidence, Prevalence and Mortality of Anorexia Nervosa and Other Eating Disorders. Curr Opin Psychiatry 2006;19:389-394. 

  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fif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5. Woodside DB, Garfinkel PE, Lin E, Goering P, Kaplan AS, Goldbloom DS, Kennedy SH. Comparisons of men with full or partial eating disorders, men without eating disorders, and women with eating disorders in the community. A J Psychiatry 2001;158:570-574. 

  6. Call C, Walsh BT, Attia E. From DSM-IV to DSM-5: changes to eating disorder diagnoses. Curr Opin Psychiatry 2013;26:532-536. 

  7. Calzo JP, Horton NJ, Sonneville KR, Swanson SA, Crosby RD, Micali N, Eddy KT, Field AE. Male Eating Disorder Symptom Patterns and Health Correlates From 13 to 26 Years of Ag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6;55:693-700. 

  8. Smink FR, van Hoeken D, Oldehinkel AJ, Hoek HW. Prevalence and severity of DSM-5 eating disorders in a community cohort of adolescents. Int J Eat Disord 2014;47:610-619. 

  9.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2 Statistical Analysis of Eating Disorder Treatment.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main.do(accessed October., 10, 2017). 

  10. Ulla R, Kate H. The Role of Gendered Constructions of Eating Disorders in Delayed Help-Seeking in Men: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BMJ Open 2014;4:e004342. 

  11. Hong SK, Park SJ. Emergence of Internet Mukbang(Foodcasting) and Its Hegemonic Process in Media Culture. Media & Society 2016;24:105-150. 

  12.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온라인 개인방송 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동향과 전망 2014;76:91-103. 

  13. 이화여자대학교. 군복무 부적응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2006. p.164-165. 

  14. Bartlett BA, Mitchell KS. Eating disorders in military and veteran men and women: A systematic review. Int J Eat Disord 2015;48:1057-1069. 

  15. Accurso EC, Lebow J, Murray SB, Kass AE, Le Grange D. The Relation of Weight Suppression and BMIz to Bulimic Symptoms in Youth with Bulimia Nervosa. J Eating Disord 2016;4:21. 

  16. Butryn ML, Lowe MR, Safer DL, Agras WS. Weight suppression is a robust predictor of outcome in the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ulimia nervosa. J Abnorm Psychol 2006;115:62-67. 

  17. Herzog DB, Thomas JG, Kass AE, Eddy KT, Franko DL, Lowe MR. Weight Suppression Predicts Weight Change over 5 Years in Bulimia Nervosa. Psychiatry Res 2010;177:330-334. 

  18. Beck AT, Ward CH, Ma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571. 

  19.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98-113. 

  20. Spielberger CD.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1983. 

  21. Kim JT,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New Med J 1978;21:69-75. 

  22. Kang DW, Heo SY, Lee MG, Lee HG, Lee YH.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6;11:407-418. 

  23. Fairburn CG, Cooper Z. Th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twelveth edition. In: Fairburn CG, Wilson GT, editors. Binge eating: nature, assessment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1993. p.317-360. 

  24. Heo SY, Rhee MK, Choi YM, Sohn CH, Lee HK, Lee YH.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J Korean Soc Study Obes 2004;13:42-52 

  25. Cohen J. A power primer. Psychol Bull 1992;112:155-159. 

  26. Darcy AM, Doyle AC, Lock J, Peebles R, Doyle P, Le Grange D. The Eating Disorders Examination in Adolescent Males with Anorexia Nervosa: How Does It Compare to Adolescent Females? Int J Eat Disord 2012;45:110-114. 

  27. Elvira BB, Nicholas AT, Janet LT. Eating disorders in males: a comparison with female patients. Eur Eat Disord 2000;8:321-328. 

  28. Welch E, Ghaderi A, Swenne I. A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Adolescent Males and Females with Eating Disorders. BMC Psychiatry 2015;15:45. 

  29. Aranda FF, Aitken A, Badia A, Gimenez L, Solano R, Collier D, Treasure J, Vallejo J.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ical traits of males with an eating disorder. Eur Eat Disord Rev 2004;12:367-374. 

  30. Andersen A. Eating disorders in males: Critical questions. In R. Lemberg & L. Cohn, Eating disorders: A reference sourcebook. Phoenix, AZ: Oryx Press;1999. p.73-79. 

  31.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1). 

  32. Micali N, De Stavola B, Ploubidis G, Simonoff E, Treasure J, Field AE. Adolescent Eating Disorder Behaviours and Cognitions: Gender-Specific Effects of Child, Maternal and Family Risk Factors. Br J Psychiatry 2015;207:320-327. 

  33. Lavender JM, Shaw JA, Crosby RD, Feiq EH, Mitchell JE, Crow SJ, Hill L, Le Grange D, Powers P, Lowe MR. Associations between Weight Suppression and Dimensions of Eating Disorder Psychopathology in a Multisite Sample. J Psychiatr Res 2015;69:87-93. 

  34. Firburn CG, Cooper Z. Thinking Afresh about the Classification of Eating Disorders. Int J Eat Disord 2007;40:107-110. 

  35. Jone DC, Crawford JK. Adolescent boys and body image: weight and muscularity concerns as dual pathways to body dissatisfaction. J Youth Adolesc 2005;34:629-636. 

  36. Feldman MB, Meyer IH. Eating disorders in diverse lesbian, gay, and bisexual populations. Int J Eat Disord 2007;40:218-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