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씨 에틸 아세테이트, 물 및 메탄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Seed Extracts Produced by Ethyl Acetate, Distilled Water and Methanol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4, 2017년, pp.1094 - 1103  

진동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다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동수 (전남대학교 해양바이오식품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자 씨의 에틸 아세테이트, 증류수 및 70% 메탄올(v/v)의 3가지 용매를 사용한 추출물의 용매 별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금속 킬레이트 능력 측정을 통하여 치자의 기능성 식품 재료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치자 씨의 탄닌 함량은 $1.517{\pm}0.003mg\;CE/g$(mg of catechin equivalents) 건조 중량 으로 나타났으며, 치자 씨 용매 별 추출 수율은 증류수(36.61%), 70% 메탄올(30.10%), 에틸아세테이트(20.40%) 순으로 나타났다. 추출 용매 별 항산화 활성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양성대조구로 사용된 ascorbic acid, BHA, EDTA 보다 낮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mg QE/g, mg of quercetin equivalents)은 70% 메탄올(0.799), 증류수(0.565), 에틸 아세테이트(0.117)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대부분의 분석에서 용매 별 플라보노이드 함량 순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 소거능SOD 유사활성은 증류수 추출물이 70%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자 씨의 각 용매별 수율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증류수와 70% 메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실험 결과 치자 씨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매우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io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ed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GJE). We determined tannin content ($1.517{\pm}0.003mg\;CE/g$, mg of catechin equivalents). The extraction yields of the GJE seed solvent were distilled w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치자 씨의 탄닌 함량 측정 및 에틸 아세테이트, 증류 수 및 70% 메탄올 세 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능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like abil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금속 킬레이트 능력(ferrous chelating activity)을 측정하여 치자 씨의 추출 용매에 따른 수율과 항산화능력을 비교하여 생활습관병 예방과 건강기능 식품 개발의 목적으로 이들 소비 효율성을 높여 고부가 가치의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치자 씨를 분리하여 탄닌 함량을 알아보고, 70% 메탄올, 증류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의 3가지 용매를 사용한 추출물의 용매 별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금속 킬레이트 능력 측정을 통하여 치자의 기능성 식품 재료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치자 씨의 탄닌 함량은 1.

가설 설정

  • 2)CE: catechin equivalents. 3)DW: dry weight. 4)QE: quercetin equivale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자는 무엇인가? 식물체의 경우 이차 대사산물의 방어체계, 효소와 같은 보호 메커니즘 이 발달되어 있어서 식물체에서 항산화 물질을 탐색,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7]. 이러한 식물체 중에서 우리나라 남해군의 삼자 중 하나인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열매로 국내를 비롯한 중국, 일본, 대만 등의 기온이 따뜻한 지방에 자생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심장, 간장, 폐장, 위장, 삼초경(三焦經)에 효과가 있어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열을 제거하며, 지 혈, 진정, 염증 완화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8].
한방에서 이야기하는 치자의 효능은 무엇인가? 이러한 식물체 중에서 우리나라 남해군의 삼자 중 하나인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열매로 국내를 비롯한 중국, 일본, 대만 등의 기온이 따뜻한 지방에 자생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심장, 간장, 폐장, 위장, 삼초경(三焦經)에 효과가 있어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열을 제거하며, 지 혈, 진정, 염증 완화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8]. 또한 치자에는 카로티노이드류와 플라보노이드류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ROS 및 자유 라디칼을 제거 할 수 있는 능력과 이에 대한 상호 작용을 통해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치자가 보유한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효능은 무엇인가? 한방에서는 심장, 간장, 폐장, 위장, 삼초경(三焦經)에 효과가 있어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열을 제거하며, 지 혈, 진정, 염증 완화 등의 작용이 있다고 한다[8]. 또한 치자에는 카로티노이드류와 플라보노이드류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ROS 및 자유 라디칼을 제거 할 수 있는 능력과 이에 대한 상호 작용을 통해 생활습관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본 연구에서는 치자 씨의 탄닌 함량 측정 및 에틸 아세테이트, 증류 수 및 70% 메탄올 세 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능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like abil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금속 킬레이트 능력(ferrous chelating activity)을 측정하여 치자 씨의 추출 용매에 따른 수율과 항 산화능력을 비교하여 생활습관병 예방과 건강기능 식품 개발의 목적으로 이들 소비 효율성을 높여 고부가 가치의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 S. Kim, M. A. Kim and S. H. Jang, "Influences of Korean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Lipid Concentration in Hypercholesterolemia", J. Environ. Sci. Int., Vol.23, No.5 pp. 793-800, (2014). 

  2. H. Aebi, "[13] Catalase in vitro", Methods enzymol, Vol.105, pp. 121-126, (1984). 

  3. W. Droge,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Vol.82, No.1 pp. 47-95, (2002). 

  4. D. Bagchi, A. Garg, R. L. Krohn, M. Bagchi, M. X. Tran and S. J. Stohs, "Oxygen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vitamins C and E, and a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in vitro", Res. Commun. Mol. Pathol. Pharmacol., Vol.95, No.2 pp. 179-189, (1997). 

  5. N. J. Miller, C. Rice-Evans, M. J. Davies, V. Gopinathan and A. Milner,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London, England: 1979), Vol.84, No.4 pp. 407-412, (1993). 

  6. M. Serafini and D. Del Rio, "Understanding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antioxidants, redox status and disease: is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the right tool?", Redox Rep., Vol.9, No.3 pp. 145-152, (2013). 

  7. H. O. Edeoga, D. E. Okwu and B. O. Mbaebie,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ome Nigerian medicinal plants", African J. Biotechnol., Vol.4, No.7 pp. 685-688, (2005). 

  8. S. T. Koo, M. S. Cho, S. S. Park, Y. T. Kim, K. J. Park, K. S. Kim and I. C. Sohn, "Effect of frutus gardeniae herbal acupuncture on the rat model of ankle sprain pain", Korean J. Acupunct., Vol.22, No.2 pp. 57-74, (2005). 

  9. M. Yamauchi, K. Tsuruma, S. Imai, T. Nakanishi, N. Umigai, M. Shimazawa and H. Hara, "Crocetin prevents retinal degeneration induced by oxidative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es via inhibition of caspase activity", European J. Pharmacol., Vol.650, No.1 pp. 110-119, (2011). 

  10. D. H. Jin, H. S. Kim, J. H. Seong and H. S. Chung, "Comparison of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rostachs japonicus A. Berger extracts", J. Environ. Sci. Int., Vol.25, No.5 pp. 695-703, (2016). 

  11. P. Schofield, D. M. Mbugua and A. N. Pell, "Analysis of condensed tannins: a review, Anim", Feed Sci. Technol., Vol.91, No.1 pp. 21-40, (2001). 

  12. A. Meda, C. E. Lamien, M. Romito, J. Millogo and O. G. Nacoulma, "Determination of the total phenolic, flavonoid and proline contents in Burkina Fasan honey, as well as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od Chemistry, Vol.91, No.3 pp. 571-577, (2005). 

  13.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181, No.3 pp. 1199-1200, (1958). 

  14. A. Floegel, D. O. Kim, S. J. Chung, S. I. Koo and O. K. Chun,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 Anal., Vol.24, No.7 pp. 1043-1048, (2011). 

  15. J. M. McCord and I. Fridovich,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Vol.244, No.22 pp. 6049-6055, (1969). 

  16. X. Li, "Solvent effects and improvements in the deoxyribose degradation assay for hydroxyl radical-scavenging", Food Chem., Vol.141, No.3 pp. 2083-2088, (2013). 

  17. S. Robu, A. Aprotosoaie, A. Miron, O. Cioanca, U. Stanescu and M. Hancianu,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some Lavandula species cultivated in Romania", Farmacia, Vol.60, No.3 (2012). 

  18. A. E. Hagerman, C. T. Robbins, Y. Weerasuriya, T. C. Wilson and C. Mc Arthur, "Tannin chemistry in relation to digestion", J. Range Manage., Vol.45, pp. 57-62, (1992). 

  19. M. Heinone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berry phenolics-a Finnish perspective", Mol. Nutr. Food Res., Vol.51, No.6 pp. 684-691, (2007). 

  20. J. H. Lee and S. R. Lee,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26, No.3 pp. 310-316, (1994). 

  21. K. A. Steinmetz and J. K. Potter, "Vegetables, fruit, and cancer. I. Epidemiology", Cancer Causes Control, Vol.2, No.5 pp. 325-357, (1991). 

  22. K. E. Heim, A. R. Tagliaferro and D. J. Bobilya,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Vol.13, No.10 pp. 572-584, (2002). 

  23. Y. E. Chu, C. L. Chang and H. F. Hsu, "Flavonoid content of several vegetabl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Sci. Food Agric., Vol.80, No.5 pp. 561-566, (2000). 

  24. D. Villano, M. S. Fernandez-Pachon, M. L. Moya, A. M. Troncoso and M. C. Garcia-Parrilla,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Talanta, Vol.71, No.1 pp. 230-235, (2007). 

  25. V. Vaithiyanathan and S. Mirunalini, "Assessment of anticancer activity: A comparison of dose-response effect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ic extracts of Pergularia daemia (Forsk)", Oral Sci. Int., Vol.13, No.1 pp. 24-31, (2016). 

  26. B. S. Wolfenden and R. L. Willson, "Radical-cations as reference chromogens in kinetic studies of ono-electron transfer reactions: pulse radiolysis studies of 2, 2' -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 nate)", J. Chem. Soc, Perkin Trans., Vol.2, No.7 pp. 805-812, (1982). 

  27. R. B. Walker and J. D. Everette, "Comparative reaction rates of various antioxidants with ABTS radical cation", J. Agric. Food Chem., Vol.57, No.4 pp. 1156-1161, (2009). 

  28. J. M. McCord and I. Fridovich,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Vol.244, No.22 pp. 6049-6055, (1969). 

  29. S. Marklund and G. Marklund,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 Biochem., Vol.47, No.3 pp. 469-474, (1974). 

  30. S. Dudonne, X. Vitrac, P. Coutiere, M. Woillez and J. M. Merillon,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30 plant extracts of industrial interest using DPPH, ABTS, FRAP, SOD, and ORAC assays", J. Agric. Food Chem., Vol.57, No.5 pp. 1768-1774, (2009). 

  31. L. Mira, M. Tereza Fernandez, M. Santos, R. Rocha, M. Helena Florencio and K. R. Jennings, "Interactions of flavonoids with iron and copper ions: a mechanism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Free Radical Res., Vol.36, No.11 pp. 1199-120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