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란지 복구를 위한 표토의 매토종자 발아특성 - 예산군의 나지와 묵밭 토양-
Seed Germination of Surface Soil for Restoration of Disturbance Place - Bare Land and abandoned Field, Yesan-gun, Korea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6, 2017년, pp.79 - 92  

강희경 (공주대학교 원예학과) ,  조남경 (공주대학교 원예학과) ,  송홍선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ffer the basic data of vegetation restoration by buried seed of soi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bare land and abandoned field in Yesan-gun. Germination plants of buried seed were consisted of 40 taxa (37 species, 3 varieties) in bare land, and 41 taxa (37 species, 4 varieties) in abandon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매토종자를 이용한 개발현장 교란 지의 친환경적 표토복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예산군의 나지와 묵밭의 발아식물과 함께 지상부 출현의 현존식물과 지하부 매토종자의 발아식물을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농촌 인가주변의 표토 보존및 활용을 모색함과 아울러 교란지의 표토 복구에 있어서 토양 깊이에 따른 매토종자 이용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나지와 묵밭 매토 종자의 발아 및 종 구성과 토심별 분포를 파악 하고 지상부 출현 현존식물과의 관계를 비교하 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심별 식물종수는 어디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가? 위 결과에서 보면 토심별 식물종수는 나지가 토심 2∼5cm, 묵밭이 토심 5∼10cm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였고, 토심별 개체수는 나지와 묵밭 모두 토심 0∼2cm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므로 활력이 있는 매토종자는 주로 토심이 얕은 표토 층에 집중된다고 할 수 있었다. 이는 매토종자의 75% 이상이 토양의 표토층이나 토심 2∼5cm 이내에 집중적으로 존재한다(Roberts, 1981;Young, 1985;Granstrom, 1988)는 보고와 비슷하였으며, Kim(2007)은 한반도 침엽수 조림지와 활엽수림의 매토종자가 토심 4cm 깊이에 집중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특별한 비산기작을 가지지 않은 식물 종자는 어떻게 이동하는가? 특별한 비산기작을 가지지 않은 식물 종자는 대부분 모체와 가까운 곳에 흩어지며, 모체로부터 멀어질수록 급격히 수가 감소(Watkinson, 1978)하고, 빗물에 의하거나 동물이 만든 틈 사이로 이동하여 토양에 매장된다(Bigwood and Inouye, 1988). 땅속에 묻힌 매토종자는 교란된 후의 갱신과 회복(Nakagoshi, 1985;Pickett and Mcdonnell, 1989), 초기 식생의 종 구성 및 다양성(Roberts, 1981)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표토복구 및 식생복원에 매토종자의 개념을 적용한 연구의 예는? , 2012) 등이 있다. 땅속 매토종자에 의한 식생복원 가능성(Koh, 2007)의 연구도 수행되었고, Kang et al.(2014)은 저지대 이차림의 매토종자 발아, Shin and Yi(2011)는 현존식생 초본층과 매토종자의 관계, Kim(2007)은 침엽수 조림지의 향후 천연갱신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토종자를 조사한 바 있지만 거의 산지토양을 이용한 식생 복원에 중점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igwood, D.W. and D.W. Inouye. 1988. Spatial patterns analysis of seed bank : An improved method and optimized sampling. Ecology 69 : 497-507. 

  2. Bossuyt, B..M. Heyn and M. Hermy. 2002. Seed bank and vegetation composition of frest stands of varying age in central Belgium: consequences for regeneration of ancient forest vegetation. Plant Ecology, 162(1) : 33-48. 

  3. Cho, Y.H..J.M. Lee.W.T. Kim.Y.H. Yoon.H.K. Kang.B.J. Park.T.S. Yoon.K.E. Jang.K.J. Shin.Y.J. Eo.M.Y. Kwak and H.S. Song. 2013.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opsoil management at river restoration projec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1) : 34-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Galatowitsh, S.M. and A.G Van der Valk. 1996. The vegetation of restored and natural prairie wetlands. Ecological application 6(1) : 102-112. 

  5. Godefroid, S..S.S. Phartyal and N. Koedam. 2006. Depth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seed bank under different tree layers in a managed temperate forest ecosystem. Acta Oecologica 29(3) : 283-292. 

  6. Granstrom, A. 1988. Seed banks at six open and afforested heathland sites in southern Sweden. J. App. Ecol. 25(1) : 297-306. 

  7. Haag, R.W. 1981. Emergence of seedlings of aquatic macrophytes from lake sediments. Canadian Journal of Botany 61(1) : 148-156. 

  8. Harwell, M.C. and K.E. Havens. 2003. Experimental studies on th recovery potential of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after flooding and desiccation in a large subtropical lake. Aquatic Botany 77(2) : 135-151. 

  9. Hwang, C.M. 2002.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surface soil and erosion control.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Andong, Korea. (in Korean) 

  10. Jalili, A..B. Hamzeh'e.Y. Asri.A. Shirvany.S. Yazdani.M. Khoshnevis.F. Zarrinkamar.M.A. Ghahramani.R. Safavi.S. Shaw.J.G. Hodgson.K. Thompson.M. Akbarzadeh and M. Pakparvar. 2003. Soil seed banks in the arasbaran protected Iran and their significance for conservation management. Biological Conservation 109(3) : 425-431. 

  11. Joe, S.H. and K.D. Kim. 2008. Comparisons between a forest road with a coniferous plantation and distributed vegetation on the edge of a forest and reclaimed soil seed bank. Kor. J. Env. Eco. 22(4) : 409-4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udd, W.S..C.S. Campbell.E.A. Kellogg and P.F. Stevens. 1999. Plant systematics.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 Sinauer Associates. pp.210-401. 

  13. Kang, H.K..J.Y. Park.S.K. Ahn.Y.H. Cho.B.P. Park.W.T. Kim.K.J. Shin.Y.J. Eo and H.S. Song. 2014. Germination of buried seeds in secondary forest of basla zone. Kor. J. Env. Eco. 28(6) : 705-7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C..B.J. Park.W.T. Kim.Y.H. Yoon.Y.H Cho.H.K. Kang.H.K. Oh.K.J. Shin.Y.J. Eo.T.S. Yoon.K.E. Jang and M.Y. Kwak. 2012. Density and Species Composition of Soil Seed Bank in Rural Stream Topsoil.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11): 1419-14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Y.M. 2007. Buried Seeds and the emergent species in a natural hardwood stand and plantations of Larix kaempferi and Pinus koraiensis in Mt. Jungwang, Pyungchang-gun, Gangwon Province, Kore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16. Koh, J.H. 2007. A study on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soil seed bank to the revegetation.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6) : 99-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J.M. 2013. A study on topsoil management practices in development projects.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Kongju, Korea. (in Korean) 

  18. Nakagoshi, N. 1985. Buried viable seeds in temperate forests. In J. White (ed.), The Population Structure of Vegetation, 1st ed., Springer, Dordrecht 551-570. 

  19. No, S.W..Y.C. Gu.D.Y. Song.J.H. Park and G.Y. Seong. 2004.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on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kor. J. Weed Sci. 24(1) : 72-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B.K. 1970. Ecological studies on the buried-seed population in the grassland of the Ewha womans university. J.K.R.I.B.L. 5 : 7-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E.J. 2008. The status of soil exposure and management practices for soil conservation in urban watersheds. Report of Kyunggi Research Institute. pp.137. (in Korean) 

  22. Pickett S.T.A. and M.J. Mcdonnell. 1989. Seed bank dynamics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In M. A. Leck, V. T. Parker and R. L. Simpson eds., "Ecology of Soil Seed Banks"). San Diego : Academic Press. pp.123-145. 

  23. Putz, F.E. and S. Appanah. 1987. Buried seeds, newly dispersed seeds and the dynamics of a lowland forest in Malaysia. Biotropica 19(4) : 326-333 

  24. Roberts, H.A. 1981. Seed banks in soils(In T. H. Coaker eds., "Advances in Applied Biology, Volume 6"). London : Academic Press. pp.1-55. 

  25. Ruth, A.D..S. Jose and D.L. Miller. 2008. Seed bank dynamics of sand pine scrub and longleaf pine flatwoods of the Gulf Coastal Plain (Florida). Ecol. Res. 26(1) : 19-21. 

  26. Shin, H.T. and M.H. Yi.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seed bank and ground layer of actual veget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1) : 127-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Thompson, K..J. Bakker and R. Bekker. 1997. The soil seed bank of North West Europe. Methology, Density and Long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8pp. 

  28. Van der Valk, A.G. and C.B. Davis. 1979. A reconstruction of the recent vegetational history of a prairie marsh, Eagle Lake, Iowa, from its seed bank. Aquatic Botany 6 : 29-51. 

  29. Warr, S.J..M. Kent and K. Thompson. 1994. Seed bank composition and variability in five woodlands in southwest England. Journal of Biogeography 21 : 151-168. 

  30. Wassie, A. and D. Teketay. 2006. Soil seed banks in church forests of northern Ethiopia: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woody plants. Flora 201(1) : 32-43. 

  31. Watkinson, A.R. 1978. The demography of a sand dune annual : Vulpia fasciculata III. The dispersal of seeds. J. Ecol. 66 : 483-498. 

  32. Young, K.R. 1985. Deeply buried seeds in a tropical wet forest in Costa Rica. Biotropical 17(4) : 336-338. 

  33. Zhan, X..L. Li and W. Cheng. 2007. Restoration of Stipa kryloviisteppes in inner Mongolia of China, Assesment of seed banks and vegetation composition.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68(2) : 298-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