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가공식품의 포장 재질, 형태 및 다양한 특징 분석 연구
Analytical Survey on the Package Source, Components,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ocessed Food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포장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v.23 no.3, 2017년, pp.173 - 181  

송현주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  장윤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박세종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포장과) ,  최재천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포장과) ,  한재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공식품 포장 특징(재질, 형태 등)을 분석하기 위해 다소비 식품에서 가공식품만을 대상으로 하여 품목별 소매점 매출액 순위에 따라 구성하였고, 이를 품목별 포장 형태, 품목별 포장 재질, 포장 형태별 포장 재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품목별, 포장 형태별, 포장 재질별 접촉 비율과 두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국내 유통 중인 가공식품의 포장 재질별 사용 실태 조사 결과, 폴리에틸렌(PE, 43.61%), 폴리프로필렌(PP, 17.75%),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2.05%), 알루미늄(9.08%) 순으로 사용 빈도가 높아, 합성수지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나 전반적으로 다양한 포장 재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공식품의 포장 형태별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EU 기준에 따른 포장 형태 총 21가지로 분류되었고, 가장 많이 쓰이는 포장 형태는 유연 포장재/봉투/파우치(38.96%)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가공식품 포장 재질, 포장 형태, 포장재 두께, 포장재와 식품의 접촉 비율 등의 구체적이고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정리하여 국내의 가공식품 포장 현황을 반영한 조사로써, 향후 국내 식품포장 현황 분석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ckag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pack sources and pack components of processed foods in Korea. For the survey, 704 food package samp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nsumption of top 10 brackets in each food item. They were consisted of 1,245 packaging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관련한 중요 단계로 가공식품 포장재에 대한 정보 제공이 상당히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식약처에서는 식품표시제도를 통해 용기(포장)재질, 용량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제품의 포장이나 용기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게 하고 소비자의 알 권리를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공식품 포장의 재질, 형태 및 다양한 특징을 조사 분석하여 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이를 활용하여 국내 가공식품 포장 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가공식품 포장 시스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포장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 식품 포장은 제품명이나 제품의 성분 특성 등을 제시하는 기본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인 변화로부터 식품을 보호하는 기능과 식품 생산 시점의 품질 및 안전성 수준을 소비자에게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달할 수 있는 품질 보존 기능이 있다3,4). 이는 과거에 식품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킨다는 단순한 기능에서 점차 산소 차단, 수분 차단 및 항 미생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식품에 따라 적합한 포장재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이는 과거에 식품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킨다는 단순한 기능에서 점차 산소 차단, 수분 차단 및 항 미생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특히 포장재는 식품의 가공부터 유통 단계에 걸친 전 과정에서 식품과 직접 접촉하거나 접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식품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적합한 포장재를 선택하여 적용 및 보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5).
국내 가공식품에 사용된 포장 형태의 종류와 사용 빈도수는? 한편, 704가지 품목의 포장 형태별 사용 빈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가공식품 포장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포장 형태는 유연 포장재/봉투/파우치(38.96%)였으며, 플라스틱 병(11.24%), 밀봉 막(10.52%), 플라스틱 접시/용기/컵(8.35%), 플라스틱 나사형 마개(5.54%) 순으로 분석되었다(Table 4). 밀봉 막은 두부, 호상 요구르트 등 액체 또는 페이스트를 함유한 식품의 포장에 쓰여 액체 또는 페이스트가 포장재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in, H. B. and Choe, E. O. 2001. Survey on the use of preprocessed foods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in Incheon. Korean J. Food Culture 16: 250-259.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2015 Production of food and food additives. pp. 113-114. 

  3. Marsh, K. and Bugusu, B. 2007. Food Packaging-Roles, Materials, and Environmental Issues. J. Food Sci. 72: R39-R55. 

  4. Raheem, D. 2012. Application of plastics and paper as food packaging materials-An overview. Emir. J. Food Agric. 25: 177-188. 

  5. Begley, T., Castle, L., Feigenbaum, A., Franz, R., Hinrichs, K., Lickly, T., Mercea, P., Milana, M., O'brien, A., Rebre, S., Rijk, R., and Piringer, O. 2005. Evaluation of migration models that might be used in support of regulations for foodcontact plastics. Food Addit Contam. 22: 73-90. 

  6. Oldring, P. K. T., O'Mahony, C., Dixon, J., Vints, M., Mehegan, J., Dequatre, C., and Castle, L. 2014. Development of a new modelling tool (FACET) to assess exposure to chemical migrants from food packaging. Food Addit Contam: Part A. 31: 444-465. 

  7. Guidelines on testing conditions for articles in contact with foodstuffs. (with a focus on kitchenware). 2009. A CRLNRL- FCM Publication 1st Edition. 

  8.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3. A manual for migrant from utensils and food packaging materials. 

  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09. A survey on food packaging, container and design industry. 

  10. Shorten, D. W. 1982. Polyolefins for food packaging. Food Chem. 8: 109-119. 

  11. Robertson, G. L. 1993. Food packaging (New York: Marcel Dekker). pp. 144-172. 

  12. Despond, S., Espuche. E., Cartier. N., and Domard., A. 2005. Barrier properties of paper-chitosan and paper-chitosan-carnauba wax films. J. Appl. Polym. Sci. 98: 704-710. 

  13. Ahmed, J. and Varshney, S. K. Polylactides-chemistry, properties and green packaging technology: a review. 2011. Int. J. Food Prop. 14: 37-58. 

  14. Robertson, G. L. 2013. Food Packaging.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Boca Raton, FL, pp. 46-50. 

  15. Lee, K. T. 2000. The proper selection of packaging material for improvement of quality and safety of dairy products. J. Korean Dairy Technol. Sci. 18: 129-150. 

  16. Kim, D. W. 1990. Characteristic and types of materials for food packaging. Food Sci. Ind. 23: 1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