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노루(Capreolus pygargus)의 서식지 선호도 분석
Model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oe Deer (Capreolus pygargu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4, 2017년, pp.139 - 151  

김아름 (영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이제민 (영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장갑수 (영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노루의 출현확률을 기반으로 제주노루의 서식지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제주노루의 출현확률 분석을 위해 MaxEnt 모델을 활용하였고, 노루의 출현정보는 제주지역에서 이루어진 노루흔적조사 및 위치추적정보를 토대로 총 490개의 위치정보를 취합하였다. 환경변수로는 지형과 관련된 변수 4개, 거리변수 6개, 위성영상으로부터 얻은 변수 4개, 영급 등 총 15개의 변수가 선정되었는데, 그 중 변수 간 상관분석을 통하여 서로 간에 상관성이 높은 6개의 변수를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9개의 환경변수를 설명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에 의하면 제주노루가 출현 혹은 서식을 위해 선호하는 지역은 고도와 숲의 경계, 오름 등에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특별히 선형적인 관계는 아니지만 고도에 따라 제주노루의 출현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노루는 해발고도 200~700m 사이의 지역과 1,500m 이상의 지역에서 가장 높은 출현확률을 보인 반면, 700~1,500m 구간에서는 높지 않은 출현확률을 보였다. 이는 해발고도 700~1,500m 구간은 한라산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숲이 우거져 있는 지역이며, 이 지역에서 우점하고 있는 식생의 수관(crown)이 태양광을 차단하여 하층식생의 생육을 방해하므로 초식동물인 노루가 선호하는 연한 잎의 생산이 부족한 것이 그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해발고도 200~700m 구간과 1,500m 이상의 정상부가 제주노루에 선호되는 배경은 우점하는 식생의 밀도가 매우 낮아 하층식생이 발달하여 있고, 이로 인해 제주노루가 구하기 쉬운 연한 잎을 생산하는 초본과 관목이 많이 생육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노루의 생태적 특성, 서식지 선호도 분석, 행동생태 등의 모델링을 위해서는 보다 세밀하고 심도있는 위치정보 및 현장조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제주노루의 서식지 선호경향을 예측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bitat preference of roe deers(Capreolus pygargus) in Jeju island, South Korea was analyzed by using their occurrence probability in MaxEnt model in this study. Totally 490 surveying data were gathered and 15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chosen for the model in which 6 variables out of 15 on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노루의 출현정보를 기반으로 제주도 전역의 서식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제주노루 개체군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루의 종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노루는 우제목(Artiodactyla) 사슴과(Cervieae) 노루속(Capreolus)에 속하는 포유류로, 유럽에 서식하는 유럽노루(Capreolus capreolus)와 아시아 북부에 서식하는 시베리아노루(Capreolus pygargus) 2종으로 구분되고 있다(Kim et al., 2007).
최대엔트로피의 개념은 무엇인가? , 2011). 최대엔트로피의 개념은 무질서도가 최대일 때의종의 분포를 추정하는 방식이다(Phillips et al., 2004).
본 연구에서 지형변수 중 고도정보는 어떻게 산출하였는가? , 2012). 고도정보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 자료를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경사, 향, 음영기복도는 고도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거리변수로는 산림 내부로의 거리(d_forest (in)), 산림외부로의 거리(d_forest (out)), 수계로부터의 거리(d_stream), 도로로부터의 거리(d_road), 농경지로부터의 거리(d_agri)(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erson, R.P., D. Lew, and A.T. Peterson. 2003. Evaluating predictive models of species' distributions: criteria for selecting optimal models. Ecological Modelling 2162:211-232. 

  2. Cho, C.U., K.Y. Kim, K.C. Kim, H.M. Kim, and J.Y. An. 2015. Home range analysis of a pair of Gorals(Naemorhedus caudatus) using GPS collar according to the elevation change, in the North Gyeongbuk Probince(Uljin)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135-146 (조재운, 김기윤, 김규철, 김현민, 안재용, 이배근, 박종길. 2015. 경북북부지역(울진) 산양(Nae morhedus caudatus)암, 수 한쌍의 행동권 및 고도변화에 따른 행동권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1):135-146). 

  3. Cho, H.J., D.H. Kim, M.S. Shin, T.H. Kang, and M.W. Lee. 2015. Predicting the Goshawk's habitat are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case study area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3):333-343 (조해진, 김달호, 신만석, 강태한, 이명우. 2015.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9(3):333-343). 

  4. Choi, T.Y., H.S. Kwon, D.G. Woo, and C.H. Park. 2012.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3):322-332 (최태영, 권혁수, 우동걸, 박종화. 2012. 농촌지역 삵(Prionailurus beng alensis)의 서식지 선택과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3):322-332). 

  5. Fawcett, T. 2006. An introduction to ROC analysis. Pattern Recognition Letters 27: 861-874. 

  6.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7. Gormley, A.M., D.M. Forsyth, P. Griffioen, M. Lindeman, D.S.L. Ramsey, M.P. Scrog gie, and L. Woodford. 2011. Using presence-only and presence- absence data to estimate the current and potential distributions of established invasive speci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8:25-34. 

  8. Guisan, A. and N.E. Zimmermann. 2000. Predictive habitat distribution models in ecology. Ecological Modelling 135:147-186. 

  9. Hernandez, P.A., C.H. Graham, L.L. Master, and D.L. Albert. 2006. The effect of sample size and species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 of different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methods. Ecography 29:773-785. 

  10. Jeon, D.U. and D.H. Kim. 2011. Application of an augmented predator- prey model to the population dynamics of Roe Deer in Jeju.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12(2):95-126 (전대욱, 김도훈. 2011. 제주도 노루의 개체수 관리를 위한 확장적 피식-포식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2(2):95-126). 

  11. Kim, B.S., J.G. Oh, and H.S. Oh. 2007. The current number of its individuals and management plan of Roe Deer (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 Inhabiting Mt. Halla(Hallasan), Jeju Island,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4):366-373 (김병수, 오장근, 오홍식. 2007. 한라산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 현황과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4):366-373). 

  12. Kim, D.H. and Y.K. Hong. 2006. A systemic approach for Roe Deer in Jesudo.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7(2): 191-213 (김도훈, 홍영교. 2006. 제주도 한라산 노루에 관한 시스템적 접근.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7(2):191-213). 

  13. Kim, J.Y., C.W. Seo, H.S. Kwon, J.E. Ryu, and M.J. Kim. 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4): 593-607 (김지연, 서창완, 권혁수, 류지은, 김명진. 2012.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종분포모형 연구. 환경영향평가 21(4): 593-607). 

  14. Koh, H.S., B.G. Yang, H.S. Yoo, and T.Y. Chun. 2012. Diversity of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gene i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Satunin) from Jejudo Island, Korea. The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16(2):169-176. 

  15. Kwon, H.S., J.E. Ryu, C.W. Seo, J.Y. Kim, and D.O. Lim. 2012.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coreana using SD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5):735-743 (권혁수, 류지은, 서창완, 김지연, 임동옥, 서민환. 2012.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히어리 서식지의 분포 특성 연구. 환경영향평가 21(5):735-743). 

  16. Lim, S.J., J.Y. Kim, and Y.C. Park. 2015. Analysis of habitat characteristics of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Odaesan National Park.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9(3):99-111 (임상진, 김지영, 박영철. 2015. 오대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서식지 특성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9(3):99-111). 

  17. Mas, J.F., B. Soares Filho, R.G. Pontius, M. Farfan Gutierrez, and H. Rodrigues. 2013. A suite of tools for ROC analysis of spatial models.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2(3):869-887. 

  18. Oh, J.G. 2004.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behaviour of roe deer (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in Jeju island, Korea.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 of Education Ph.D. thesis (오장근. 2004. 제주도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의 생태학적 행동 특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Oh, J.G. 2015. 제주도 전역 노루 개체수 조사. World heritage and Mt. Hallasan Research Institut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Research Report. 14:267-274. 

  20. Park, H.C., J.H. Lee, and G.G. Lee. 2014. Predicting the suitable habitat of the Pinus pumila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5):380-393 (박현철, 이정환, 이관규. 2014. 기후변화에 의한 눈잣나무의 서식지 분포 예측. 환경영향평가 23(5):379-392). 

  21. Park, H.M. and S.D. Lee. 2013. Habitat use pattern of Korean waterdeer based on the land coverage map.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5(4):567-572 (박효민, 이상돈. 2013.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고라니의 서식지이용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5(4): 567-572). 

  22. Park, Y.S., J.Y. Cha, and N.S. Kim. 2016. Taxonomic revision of variation in skull morphology of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Pallas, 1771) in South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1):39-47 (박용수, 차진열, 김남신. 2016. 머리뼈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한 한국산 노루의 분류학적 고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0(1):39-47). 

  23. Pearson, R.G., C.J. Raxworthy, M. Nakamura, and A.T. Peterson. 2007.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from small numbers of occurrence records: a test case using cryptic geckos in Madagascar. Journal of Biogeography 34:102-117. 

  24. Phillips, S.J. and M. Dudik. 2008.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y 31:161-175. 

  25. Phillips, S.J., R.P. Anderson, and R.E. Schapi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231-259. 

  26. Phillips, S.J., M. Dudik, and R.E. Schapire. 2004. A maximum entropy approach to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 Learning 21: 665-662. 

  27. Seo, C.W. and C.H. Park. 2000. Wild boar (Sus scrofa coreanus Heude) habitat modeling using GIS and logistic regression.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8(1): 85-99 (서창완, 박종화. 2000. GIS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서식지 모형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8(1):85-99). 

  28. Seo, C.W., U.R. Park, and Y.S. Choi. 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6(4):59-64 (서창완, 박유리, 최윤수. 2008. 위치자료의 종류에 따른 생물종 분포모형 비교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4):59-64). 

  29. Song, W.K. and E.Y. Kim. 2012.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171-181 (송원경, 김은영. 2012. 고라니 서식지 분석을 위한 기계학습식 종분포모형 비교.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1):171-180). 

  30. Songer, M., M. Delion, A. Biggs, Q. Huang. 2012. Modeling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giant panda habitat. International Journal of Ecology 2012:1-12. 

  31. Stockwell, D.R.B. and A.T. Peterson. 2002 Effects of sample size on accurac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ogical Modelling 148:1-13. 

  32. Yoon, S.I. 2003. A study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e deer.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thesis. (윤성일. 2003. 제주도지역 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의 생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Yost, A.C., S.L. Petersen, M. Gregg, and R. Miller. 2008. Predictive modeling and mapping sage grouse (Centrocercus urophasianus) nesting habitat using maximum entropy and along-term dataset from Southern Oregon. Ecological Informatics 3:375-386. 

  34. Zaniewski, A.E., A. Lehmann, and J.M. Overton. 2002. Predicting species spatial distributions using presence-only data: a case study of native New Zealand ferns. Ecologicla modelling 157:261-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