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미디어 노출과 관여도가 객체화된 신체의식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a Exposure and Involvemen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9 no.4, 2017년, pp.59 - 73  

이미숙 (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edia exposure and involvement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e subjects were 325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media ex...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들이 미디어에 오래 노출될수록 자신의 외모에 불만족하면서 다이어트나 성형 등의 적극적인 외모관리행동을 수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미디어가 개인의 외모에 대한 태도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선행연구들은 미디어 노출과 미디어 관여도를 주요 변인으로 다루어왔다. 미디어 노출에 대한 연구에서는 미디어는 우리가 세상에 대한 정보를 얻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므로 개인들은 미디어에서 제시되는 정보에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며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가상의 현실을 실제 현실로 받아들여 자신의 태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개인들은 미디어에 오래 노출될수록 자신과 연예인의 외모를 비교하면서 자신의 외모에 불만족하게 되고, 따라서 다이어트나 성형 등의 적극적인 외모관리행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사회에서 '무엇이 매력적인 외모인가'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은 주로 어디에 창출되고 전달되는가? 우리 사회 전반에 널리 퍼져있는 외모지상주의 가치관으로 인해 외모가 개인의 심리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때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최근 외모의 중요성과 외모관리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무엇이 매력적인 외모인가'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은 주로 미디어에 의해 창출되고 전달된다. 미디어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그 수용대상과 파급범위가 광범위하고 일방적이기 때문에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미디어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큰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사회에서 '무엇이 매력적인 외모인가'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은 주로 미디어에 의해 창출되고 전달된다. 미디어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그 수용대상과 파급범위가 광범위하고 일방적이기 때문에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TV, 인터넷과 같이 시각적이고 감각적인 미디어는 외모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를 빠르고 강력하게 일반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외모에 대한 개인의 사고, 가치, 태도 및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진다(김지양 외, 2013; 송지영 외,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김완석, 김정식. (2007). 동아시아 여대생들의 신체가치관과 신체존중감: 한국, 중국, 일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4), 113-134. 

  2. 김완석, 유연재. (2012). 한국 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일본, 중국과의 비교를 토대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2), 301-327. 

  3. 김완석, 유연재, 권지현. (2009). 신체가치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0(3), 581-600. 

  4. 김완석, 유연재, 박은아. (2007).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2), 329-349. 

  5. 김윤, 황선진. (2008). 사회문화적 압력과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성인여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10), 112-122. 

  6. 김지양, 임은혁, 전호경. (2013). 여대생의 자기이미지와 미디어 관여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지니스, 17(2), 164-178. 

  7. 박수경. (2015). 남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 수행의도에 관한 연구: 미디어 노출도를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21(4), 614-620. 

  8. 박수경. (2014). 미디어 관여도, 외모만족이 성형태도, 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4(4), 101-116. 

  9. 박수연, 황진숙. (2016). 패션/뷰티/TV 미디어에 대한 태도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기초조형학연구, 17(5), 278-288. 

  10. 박은아, 김완석. (2007).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의 관계:한?중?일 여대생 비교.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7(1), 124-125. 

  11. 박주현. (2010).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배상률, 이재연. (2012).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문화배양효과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 서란숙. (2012).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외모의 중요성이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미용학회지, 18(1), 180-186. 

  14. 손은정. (2007). 공적 자기의식, 사회문화적 가치의 내면화 및 신체상에 대한 태도가 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1), 63-81. 

  15. 송지영, 이난희, 이유미. (2009). 미디어 이용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이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예술학회지, 10(1), 91-104. 

  16. 안나영. (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태도와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오현숙. (2015). 여대생의 신체 불만족과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인, 미디어, 사회 규범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7(3), 65-97. 

  18. 우형진. (2008). 텔레비전 드라마시청이 시청자의 성형수술 행위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8(4), 480-513. 

  19. 이경숙. (2007). 성인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추구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주영. (2012). 여대생의 외모만족과 BMI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8(3), 651-660. 

  21. 이주영. (2011). 여대생의 체중 조절행동과 신체 태도 및 비만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7(3), 461-467. 

  22. 이지영, 박혜정. (2013). 자아존중감, 외모비교, 미디어관심이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태도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3), 1-17. 

  23. 이지혜. (2014. 8. 16). 당신의 '진짜' 얼굴은 어디에 있습니까.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16. 9. 20, 자료출처 http://srchdb1.chosu.com/pdf/i_archive/printTxt.jsp?ID2014081600085. 

  24. 임보형. (2009).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객체화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전지현, 이미숙. (2014). 미디어 관여도가 외모평가, 외모스트레스,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8(4), 518-527. 

  26. 전정혜, 유태순. (2011). 공적자기의식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이미지 관리행동에 미치는 인과관계. 한국의류학회지, 35(11), 1333-1345. 

  27. 전현진, 정명선. (2011).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존중감이 체중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9(6), 1272-1287. 

  28. 전현진, 정명선. (2010).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20-30대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6(2), 590-601. 

  29. 조혜란, 최종명. (2007). 대학생의 성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외모향상행동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825-835. 

  30. 차배근. (2003).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2판). 서울: 나남출판. 

  31. 최지혜, 김미영. (2014). TV?연예인관여에 따른 뷰티관여와 헤어태도 및 인지연령의 차이. 복식, 64(7), 68-81. 

  32. 홍금희. (2011). 여대생의 신체수치심과 외모변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 중국과 독일의 비교.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4), 523-530. 

  33. 홍금희. (2010). 중년 여성의 TV 미디어 관여도가 차이연령과 젊음추구 의복행동 및 유행선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3), 310-317. 

  34. 홍병숙, 백인선, 이은진, 박성희. (2007). 미디어 및 외모관심도가 직장인의 외모관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4), 624-632. 

  35. 홍종필, 이시연. (2005). 잡지 속의 신체이미지 광고에 대한 노출이 20대 여성의 기분과 신체 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황 비교, 마른 몸에 대한 사회 규범화, 그리고 외모지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4, 72-118. 

  36. Botta, R. A. (1999). Television images and adolescent girls’ body disturba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8, 22-41. 

  37. Calogero, R. M, Davis, W. N., & Thompson, J. K. (2005). The rol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eating disorders. Sex Roles, 53(1-2), 43-50. 

  38.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 117-140. 

  39. Fredrickson, B. L., & Roberts, T. A.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173-206. 

  40. Hargreaves, D., & Tiggemann, M. (2003). The effect of thin ideal television commercials on body dissatisfaction and schema activation during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2(5), 367-373. 

  41. Harrison, K., & Cantor, J.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sumption and eating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47(1), 40-67. 

  42. Kim J-H., & Lennon, S. J. (2007). Mass media and self-esteem, body image, and eating disorder tendenci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5(1), 3-23. 

  43. Kretchmar, J. L. (2001).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college-age women of varying physical activity leve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North Carolina. 

  44. Markey, C. N., & Markey, P. M. (2010). A correlational and experimental examination of realty television viewing and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Body Image, 7, 165-171. 

  45. McConnell, C. A. (2001). An object to her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girls and their bod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46. McKinley, N. M., & Hide, J. S. (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2), 181-215. 

  47. Noll, S. M., & Fredrickson, B. L. (1998). A mediational model linking self-objectificatio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2(4), 623-636. 

  48. Sharp, G., Tiggermann, M., & Mattiske, J. (2014). The role of media and peer influences in Australian women’s attitudes towards cosmetic surgery. Body Image, 11, 482-487. 

  49. Sinclair, S. L. (2006). Object Lesson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women.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8(1), 48-68. 

  50. Wardle, J., Hass, A., & Steptoe, A. (2006).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0(4), 644-6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