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평등 완화의 정치경제 :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경험
Political Economy of Inequality Mitigation : Experiences of Netherlands and Denmark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494 - 502  

최유석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이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소득불평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네덜란드와 덴마크는 어떻게 불평등이 증가하는 정도를 낮출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미국, 독일, 스웨덴과 비교하여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불평등 수준과 추이는 어떠한지, 불평등 변화의 분해를 통해 이 국가들에서 불평등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혔다. 또한 네덜란드와 덴마크는 어떠한 노동시장정책을 통해 불평등을 완화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네덜란드에서 근로소득 불평등이 완화된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자발적 시간제 노동의 증가를 통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진되었기 때문이다. 여성들이 시간제 노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등한 대우를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게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을 마련한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덴마크는 기술훈련 강화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통해 저숙련, 저임금 근로자의 숙련도를 향상시켜 임금격차를 완화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경험에 기반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정책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how the Netherlands and Denmark lowered the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at a period in time when income inequality in the world was deepen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and trend of income inequality in the Netherlands and Denmark compared to those in Korea, the Uni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인 수준의 불평등 분석을 넘어서, 가구 수준의 근로소득 불평등의 변화와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자. 전반적으로 가구 구성원의 소득이 합산되면서 거의 모든OECD 국가에서 가구 단위로 측정한 근로소득 불평등은 개인 단위로 측정한 것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인다[5].
  • 간단한 시계열 분석과 불평등 변화 요인분해에서는 한국을 포함한 6개 국가를 모두 다룰 것이다. 또한 네덜란드와 덴마크에서는 어떠한 노동시장 정책을 추진하여 불평등을 완화하였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의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할 것이다.
  • 또한 네덜란드와 덴마크에서는 어떠한 노동시장 정책을 추진하여 불평등을 완화하였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의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할 것이다.
  • 이와 같이 국가별로 상이한 수준의 불평등이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이 글에서는 OECD[5]에서 제시한 불평등 수준의 변화에 대한 단계별 분해를 통해 각국에서 불평등의 변화와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할 것이다. Table 1은 근로소득 불평등의 구성과 변화와 관련된 요인을 나타낸 것이다[3-5].
  • 이러한 복지국가 제도를 통한 상당한 소득재분배 효과는 노동시장에서의 1차적인 분배 문제에 대한 깊이있는 탐색을 다소 등한시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 글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소득분배의 변화양상과 관련된 요인을 탐색하는데 주목할 것이다. 소득 불평등이 발생하는 핵심 영역인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의 양상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이 연구에서는 불평등 수준과 심화된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경험을 살펴 볼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비교하여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불평등 수준과 추이는 어떠한지, 불평등 변화의 분해를 통해 이 국가들에서 불평등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불평등 수준과 심화된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경험을 살펴 볼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비교하여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불평등 수준과 추이는 어떠한지, 불평등 변화의 분해를 통해 이 국가들에서 불평등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또한 네덜란드와 덴마크는 어떠한 노동시장정책을 통해 불평등을 완화하였는지를 탐색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진된 네덜란드에서 시간제 노동에 대한배경은 무엇인가? 네덜란드에서 근로소득 불평등이 완화된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자발적 시간제 노동의 증가를 통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진되었기 때문이다. 여성들이 시간제 노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등한 대우를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게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을 마련한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덴마크는 기술훈련 강화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통해 저숙련, 저임금 근로자의 숙련도를 향상시켜 임금격차를 완화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에서 근로소득 불평등이 완화된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네덜란드와 덴마크는 어떠한 노동시장정책을 통해 불평등을 완화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네덜란드에서 근로소득 불평등이 완화된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자발적 시간제 노동의 증가를 통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진되었기 때문이다. 여성들이 시간제 노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등한 대우를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게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을 마련한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덴마크는 임금격차를 어떻게 완화하였는가? 여성들이 시간제 노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등한 대우를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게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을 마련한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덴마크는 기술훈련 강화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통해 저숙련, 저임금 근로자의 숙련도를 향상시켜 임금격차를 완화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경험에 기반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정책방향을 논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OECD, "Income inequality remains high in the face of weak recovery," COPE, Nov. 2016. 

  2. OECD, "Employment rate (indicator)." doi: 10.1787/1de68a9b-en (Accessed on 26 May 2015). https://data.oecd.org/emp/employment-rate.htm#indicatorchart, 2015. DOI: https://doi.org/10.1787/1de68a9b-en 

  3. B. H. Lee, "Causes of growing income inequality over 2000s in Korea", Journal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20(1), pp. 73-103, 2014. 

  4. J. Y. Chang, B. H. Lee, "Increasing Inequality and Policy Options", Democratic Society and Policy Studies, 23, pp. 71-109, 2013. 

  5. OECD, Divided We Stand: Why Inequality Keeps Rising, OECD Publishing, 2011. 

  6. OECD, "Income inequality (indicator)", doi: 10.1787/459aa7f1-en (Accessed on 05 May 2017), 2017. DOI: https://doi.org/10.1787/459aa7f1-en 

  7. M. C. Daly, R. G. Valletta, "Inequality and Poverty in United States: The Effects of Rising Dispersion of Men's Earnings and Changing Family Behaviour." Economica, 73, pp. 75-98, 2006. DOI: https://doi.org/10.1111/j.1468-0335.2006.00449.x 

  8. W. Chen, M. Forster, A. Llena-Nozal, "Determinants of Household Earnings Inequality: The Role of Labour Market Trends and Changing Household Structure." LIS Working Paper Series, 591, Luxembourg Income Study (LIS), 2013. 

  9. C. Lee, "Rising Household Income Inequality in Korea, 1996-2000",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31(2), pp. 1-34, 2008. 

  10. S. Kim, "The Impact of the Wives' Earnings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A Simulation-Based Decomposition", Survey Research, 15(1), pp. 93-122, 2014. 

  11. OECD, "Labour force participation rate (indicator)." doi: 10.1787/8a801325-en (Accessed on 05 May 2017), 2017. DOI: https://doi.org/10.1787/8a801325-en 

  12. OECD, "Gender wage gap (indicator)." doi: 10.1787/7cee77aa-en (Accessed on 05 May 2017), 2017. DOI: https://doi.org/10.1787/7cee77aa-en 

  13. Y. Choi, The Landscape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d Conflicts in Korea, Hanwool, 2016. 

  14. K. Thelen, Varieties of Liberalization and the New Politics of Social Solidarity, New York an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DOI: https://doi.org/10.1017/CBO9781107282001 

  15. A. Hemerijck, J. Visser, "Change and Immobility: Three Decades of Policy Adjustment in the Netherlands and Belgium." West European Politics, 23, pp. 229-256, 2000. DOI: https://doi.org/10.1080/01402380008425374 

  16. B. Jung, "Transformation of Corporatism in the Period of Globalization: Cases of Germany and Netherland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44(3), pp. 197-216, 2004. 

  17. H. K. Kwon, "Diverging Contiental Welfare States under Globalization: Comparison between Germany and Netherland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47(3), pp. 189-215, 2007. 

  18. Keune, Maarten, 2016. "Does Quantity Overwhelm Quality? Employment Policies in Folder Model in Netherlands", International Labor Brief, 14(1), pp. 18-32, 2016. 

  19. R. Wielers, "The Economy of Part-time Employment in Netherlands", International Labor Brief, 11(9), pp. 4-16, 2013. 

  20. H. K. Kwon, "Varieties of Strategies for Labor Market Flexibility: Comparison of U.K, Denmark, Netherlands",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11(3), pp. 31-60, 2007. DOI: https://doi.org/10.18327/jias.2007.10.11.3.31 

  21. Y. Kim, S. S. Lee, "Analysis of the 'Time Selective Job Policy'", Korea Social Policy Review, 21(3), pp. 93-128,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