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무기 특성과 사례연구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Agent and relavent case study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3 no.4 = no.38, 2017년, pp.442 - 454  

Park, Minwoo (Division of Bioterrorism Preparedness and Respons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orl & Prevention) ,  Kim, Hwami (Division of Bioterrorism Preparedness and Respons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orl & Prevention) ,  Choi, Yeonhwa (Division of Bioterrorism Preparedness and Respons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orl & Prevention) ,  Kim, Jusim (Division of Bioterrorism Preparedness and Respons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orl & Preven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물테러에 사용되는 생물무기는 세균과 바이러스, 리켓치아, 곰팡이 등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며, 화학작용제, 방사능작용제와 함께 대량살상무기(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로 분류되어진다. 생물무기는 다른 대량살상무기들에 비하여 개발과 생산의 용이성, 저렴한 비용, 은닉살포가 가능하다는 운용상 이점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생물무기 개발이 이루어진 역사와 현존하는 생물학적 위협에 대해 분석하고, 생물작용제의 물리적 특성과 인체내 감염기작을 기초로 생물무기 공격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을 예측하였다. 스벨드롭스크 탄저균유출사고, 아랄스크 두창발생, 2001년 탄저테러 등 생물무기관련 역사적 사례들에서 사고 인지형태, 작용제 오염확산범위와 피해자의 질병특성을 분석한 결과, 생물테러는 공격 즉시 인지가 어렵고, 광범위한 확산이 가능하여 대규모 노출자를 발생시키며, 호흡기관련 중증질환을 일으켜 보건 의료기관에 막대한 부담을 일으킬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생물테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보건대응역량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증후군감시체계 및 관련질병 보고체계를 운영하여 신속히 이상징후를 파악해야하며, 실험실진단체계를 통해 병원체의 확진을 실시하여야한다. 또한 보건기관은 역학조사 시 수사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잠재적노출자를 명확히 규명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집단예방조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보건대응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면 생물테러위협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logical weapon is manipulated and produced from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virus, rickettsia, fungi etc. It is classified as one of th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along with chemical weapon and radiological weapon. Biological weapon has a number of operational advantages over the o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작용제는 생물테러에 사용될 때 어떠한 것들을 가공하여 만드는가? 생물테러는 국제안보측면에서 다수의 국가들에 상당한 위협을 초래하고 있다. 생물테러에 사용되는 생물작용제(biological agent)는 세균, 바이러스, 리켓치아, 곰팡이를 가공하여 만들어지며, 화학작용제(chemical agent)와 방사능작용제(radiological agent)와 함께 대량살상무기(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로서 분류되어있다. 생물작용제는 다른 대량살상무기와 마찬가지로 공격시 대규모 사상자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병원체에 따라서는 다른지역과 국가로 확산될 수 있어 그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
무기화란? 생물작용제는 “무기화(weaponize)”로 일컫는 가공과정없이 효과적 생물무기가 되지 않는다. 무기화는 생물작용제의 입자크기를 1∼5 micron정도로 가공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물작용제의 대기중 확산능력을 높이고 가스상물질과 같이 공기중 부유하는 물리적 특성을 갖도록 한다.
생물작용제는 어떠한 감염기작으로 작용하는가? 생물무기라고도 불리는 생물작용제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감염기작(infection mechanism)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병원체(pathogen)는 자연계에서 주로 3가지 경로를 통해 사람과 동물의 몸에 유입되어 감염을 일으킨다. 감염성입자(infectious particle)를 흡입함으로서 일어나는 호흡기 노출, 오염된 음식(또는 식수)을 섭취하거나 음용함으로서 나타나는 위장관계 노출, 그리고 오염된 물질과 접촉함으로서 발생하는 피부노출이 있다. 일반적으로 호흡기 노출경로를 통해 발생되는 감염질환은 다른 경로를 통해 발생되는 것보다 높은 중증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libek, Ken (2000) Biohazard: The Chilling True Story of the Largest Covert Biological Weapons Program in the World-Told from inside by the Man Who Ran It, Random house. 

  2. Alibek, Ken., Dashiell, Thomas R., Dwyer, Adrian (2005) Jane's Chem-Bio Handbook 3rd edition., Jane's Information Group 

  3. Croddy, Eric., Perez-Armendariz, Clarisa., Hart, John (2001)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A Comprehensive Survey for the Concerned Citizen., Copernicus Books. 

  4. DiNardi, R Salvatore (2003)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Its Evaluation, Control, and Management 2nd Edition, APHA, 210-211 

  5. Heymann, D. L. (2015). Control of communicable diseases manual (No. Ed. 20).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6. Jernigan, Danie., Raghunathan Pratima, Bell, Beth., etc, (2002) Investigation of Bioterrorism-Related Anthrax, United States, 2001:Epidemiologic Findings, Emerging Infectious Disease Vol.8, No10.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6) Bioterrorism Preparedness and Response quideline 

  8. Layne, Scott, Beugelsdijk, Tony, Patel, Kumar N., (2001) Firepower in the Lab: Automation in the Fight Against Infectious Diseases and Bioterrorism, Joseph Henry Press 

  9. Meselson, Mattew., Guillemin, Jeanne., etc. (1994) The Sverdlovsk Anthrax Outbreak of 1979, Science, Vol.266 

  10. Neo, Jacqueline Pei Shan., Tan, Boon Huan (2017) The use of animals as a surveillance tool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health hazards, human health hazards and bioterrorism, Veterinary Microbiology 203(2017) 40-48 

  11.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Biosafety in Microbiological and Biomedical Laboratories 

  12.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Receiving, Distributing, and Dispensing Strategic National Stockpile Assets: A Guide to Preparedness, Version 11 

  13. Wang, Soon Joo., Byun, Hyun Joo., Disater and Safety Response Management on the Bioterrorism and Biological W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aster Information, Vol.3 No.2 December 2007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Public Health response to biological and chemical weapons: WHO guidance 

  15. Zelicoff, Alan P.,(2003) An Epidemiological Analysis of the 1971 Smallpox Outbreak in Aralsk, Kazakhstan., Crit. Rev Microbiol. 2003;29(2);97-1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