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과 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and N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4 no.2, 2017년, pp.106 - 117  

서민철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재원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주은정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규영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방수영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의중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은 수면 시 호흡을 하려고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도의 부분적/완전 폐색이 반복되는 수면 관련 호흡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렘수면에서 근긴장도의 저하가 나타나게 되므로 렘수면에서 수면무호흡증의 악화가 예상되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 비렘수면에서의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가 렘수면에서의 AHI보다 높은 경우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그런 현상의 분명한 이유는 밝혀져 있지 않았기에 렘/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특징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560명의 성인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렘 수면시의 AHI (REM-AHI), 비렘수면시의 AHI (NREM-AHI)의 비율에 따라 세군으로 분류하였다. 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REM sleep dependent OSA, REM-OSA)는 REM-AHI/NREMAHI > 2, 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NREM sleep dependent OSA, NREM-OSA)는 NREM-AHI/REM-AHI > 2, 수면 단계 비의존성 수면무호흡증(Sleep stage independent OSA, IND-OSA)로 분류하였다. 수면다원검사 이외에도 주관적인 수면의 질, 낮시간 졸림, 정서와 연관된 설문지를 함께 시행하였다. 카이제곱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공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세 군 사이에서 연령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REM-OSA는 대체로 경도의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많았고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가장 저하되어 있다고 느꼈으며 기분 상태 평가 척도인 K-POMS의 점수는 가장 높았다. IND-OSA는 BMI, 목둘레(neck circumference, NC), 복부 둘레(abdominal circumfefence)가 REM-OSA에 비해 높았고 주간 졸림의 호소는 세군 중 가장 컸고, 무호흡 관련 변인의 값이 가장 높아 중증도가 심한 군이었다. 공변량을 통제하고 시행한 공분산 분석의 결과에서 NREM-OSA는 앙와위에서의 AHI가 가장 높았고 수면 중 측와위의 비율이 가장 컸다. 또한 수면 효율이 가장 떨어졌고 렘수면 잠복기가 가장 길었으며 입면 후 각성 시간의 비율이 가장 컸다. 결 론 : REM-OSA는 여성이 많고 부정적인 정서를 가장 많이 호소하는 군으로, 경도의 수면무호흡증을 가장 많이 포함하였고 IND-OSA는 중증의 수면무호흡증을 반영하였다. NREM-OSA는 자세 변화와 가장 밀접한 관련은 지니고 있었으며 수면 효율이 가장 떨어졌다. 세 군의 수면무호흡증이 일련의 중중도 차이만이 아닌 또 다른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고 이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s a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that is characterized by repetitive collapse or partial collapse of the upper airway during sleep in spite of ongoing effort to breathe. It is believed that OSA is usually worsened in REM sleep, because muscle tone is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수면단계별로 세군으로 분류하여 각군의 특징과 이들을 구분짓는 요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관찰연구로서, 기존 연구에서 알려진대로 비렘수면시의 AHI가 렘수면시의 AHI보다 높은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각군은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각 군이 수면자세에 영향을 받는 정도, 주관적인 정서와 수면의 만족감에서도 구분되는 특징이 있음을 발견했다.
  •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보다 많은 수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대상으로 포함하여 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REM sleep stage 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REM-OSA), 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NREM sleep stage 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NREM-OSA), 수면 단계 비의존성 수면무호흡증(Sleep stage in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IND-OSA)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객관적인 수면다원검사와 함께 수면과 질과 졸음, 정동의 상태, 아침형 저녁형과 같은 주관적인 수면 저하와 관련된 증상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각 군의 특징과 이들을 구분 짓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또 Gupta 등과 Siddiqui 등의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적어서 중중도만으로 군간 차이를 설명하기에는 개연성이 부족해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중증도가 다양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수면 중 자세 변화와 함께 각 자세에서의 AHI를 측정하면서 세 군의 정서적 측면까지 면밀하게 비교하였기 때문에 위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실제 성별, BMI, 목 및 허리 둘레, AHI를 모두 보정하여도 Table 5처럼 여전히 세 군 간에 차이를 보이는 변인이 다수 존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분류는 어떻게 제시하였는가? 모든 환자는 렘 수면시의 AHI (REM-AHI), 비렘수면시의 AHI (NREM-AHI)의 비율에 따라 세군으로 분류하였다. 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REM sleep dependent OSA, REM-OSA)는 REM-AHI/NREMAHI > 2, 비렘수면 의존성 수면무호흡증(NREM sleep dependent OSA, NREM-OSA)는 NREM-AHI/REM-AHI > 2, 수면 단계 비의존성 수면무호흡증(Sleep stage independent OSA, IND-OSA)로 분류하였다. 수면다원검사 이외에도 주관적인 수면의 질, 낮시간 졸림, 정서와 연관된 설문지를 함께 시행하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란?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은 수면 시 호흡을 하려고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도의 부분적/완전 폐색이 반복되는 수면 관련 호흡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렘수면에서 근긴장도의 저하가 나타나게 되므로 렘수면에서 수면무호흡증의 악화가 예상되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 비렘수면에서의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가 렘수면에서의 AHI보다 높은 경우가 관찰되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인자는? 일반 인구 집단 중 성인의 약 2~4%정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앓고 있고 성비는 남성대 여성이 2:1~3:1로 남성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Kang 등 2014 ; Lee 등 2012 ; O’Conner 등 2000 ; Terry 등1993). 고령, 남성, 비만, 앙와위(supine position)가 주요 위험인자이다(Kang 등 2014 ; Lee 등 2012 ; Moon 등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Task Force.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 Adults: Recommendations for Syndrome Defini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in Clinical Research. Sleep 1999;22:667-689. 

  2. Buysse DJ, Hall ML, Strollo PJ, Kamarck TW, Owens J, Lee L, et 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nd clinical/polysomnographic measures in a community sample. J Clin Sleep Med 2008;4:563-571. 

  3. Chelminski I, Ferraro FR, Petros TV, Plaud JJ. An analysis of the “eveningness-morningness” dimension in “depressive” college students. J Affect Disord 1999;52:19-29. 

  4. Cho Y, Lee J, Son H, Lee S,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Breath 2011;15:377-384. 

  5. Davies RJ, Strad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ck circumference, radiographic pharyngeal anatomy, and the obstructive sleep apnoea syndrome. Eur Respir J 1990;3:509-514. 

  6. Ejaz SM, Khawaja IS, Bhatia S, Hurwitz TD. Obstructive Sleep Apnea and Depression: A Review. Innov Clin Neurosci 2011;8:17-25. 

  7. Finan PH, Quartana PJ, Smith MT. The Effects of Sleep Continuity Disruption on Positive Mood and Sleep Architecture in Healthy Adults. Sleep 2015;38:1735-1742. 

  8. Gupta R, Lahan V, Sindhwani G. Sleep-stage-in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an unidentified group? Neurol Sci 2013;34:1543-1550. 

  9. Hidalgo MP, Caumo W, Posser M, Coccaro SB, Camozzato AL, Chaves MLF.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mood and chronotype in healthy subjects. Psychiatry Clin Neurosci 2009;63:283-290. 

  10. Horne JA, Ostberg O.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determine morningness-eveningness in human circadian rhythms. Int J Chronobiol 1976;4:97-110. 

  11.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540. 

  12. Jordan AS, McSharry DG, Malhotra A. Adult obstructive sleep apnoea. Lancet 2014;383:736-747. 

  13. Kang K, Seo J, Seo S, Park K, Lee H.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for High-Risk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 Large Korean Population: Results of a Questionnaire-Based Study. J Clin Neurol 2014;10:42-49. 

  14. Kawaguchi Y, Fukumoto S, Inaba M, Koyama H, Shoji T, Shoji S, et al. Different Impacts of Neck Circumference and Visceral Obesity on the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besity 2011;19:276-282. 

  15. Kim E, Lee S, Jeong D, Shin M, Yoon I. Standardization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Edition of Profile of Mood States (K-POMS). Sleep Med Psychophysiol 2003;10:39-51. 

  16. Kim J, In K, Kim J, You S, Kang K, Shim J, et al.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170:1108-1113. 

  17. Kim M, Lee W, Kang J, Kang J, Kim B, Kim S, et al. 2014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Endocrinol Metab 2014;29:405-409. 

  18. Konttinen H, Kronholm E, Partonen T, Kanerva N, Mannisto S, Haukkala A. Morningness-eveningness, depressive symptoms, and emotional eating: A population-based study. Chronobiol Int 2014;31:554-563. 

  19. Lee L, Lee S, Kang H. Gender Differences in the Polysomnographic Findings among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2;55:90-94. 

  20. Lee M, Lee S, Lee G, Ryu H, Chung S, Chung Y.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comorbid insomnia symptom on depression, anxiety, fatigue, and daytime sleepines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Breath 2014;18:111-117. 

  21. Liu Y, Su C, Liu R, Lei G, Zhang W, Yang T, et al. NREM-AHI greater than REM-AHI versus REM-AHI greater than NREM-AHI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features. Sleep Breath 2011;15:463-470. 

  22. Macey PM, Woo MA, Kumar R, Cross RL, Harper RM. Relationship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and Sleep,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in Newly-Diagnosed Patients. PLoS ONE 2010;5:e10211. 

  23. McCall WV, Harding D, O'Donovan C.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J Clin Sleep Med 2006;2:424-426. 

  24. Mokhlesi B. REM-Related obstructive sleep apnea: to treat or not to treat? J Clin Slee Med 2012;8:243-247 

  25. Mokhlesi B, Punjabi NM. "REM-related" Obstructive Sleep Apnea: An Epiphenomenon or a Clinically Important Entity? Sleep 2012;1-3. 

  26. Moon H, Lim S, Kim D, Kim D, Hwang S, Cho 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REM-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in Korean Adults. J Korean Neurol Assoc 2016;34:124-129. 

  27. Muraki M, Kitaguchi S, Ichihashi H, Haraguchi R, Iwanaga T, Kubo H, et al. Apnoea-hypopnoea index during rapid eye movement and non-rapid eye movement sleep in obstructive sleep apnoea. J Int Med Res 2008;36:906-913. 

  28. Nishiyama T, Mizuno T, Kojima M, Suzuki S, Kitajima T, Ando KB, et al. Criterion validity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for the diagnosis of sleep disorders. Sleep Med 2014;15:422-429. 

  29. O'Conner C, Thornley KS, Hanly PJ. Gender Differences in the Polysomnographic Features of Obstructive Sleep Apne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0;161:1465-1472. 

  30. Park S, Park K, Shin D, Park H, Lee Y, Sung Y. Comparing sleep questionnaires and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J Korean Sleep Res Soc 2008;5:89-93. 

  31. Park T, Jeong D. Comparison of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ith Sleep Stage Non-Dependent One in Women Patients. Sleep Med Psychophysiol 2008;15:25-32. 

  32. Popovic RM, White DP. Influence of gender on waking genioglossal electromyogram and upper airway resistanc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2:725-731. 

  33. Quintana-Gallego E, Carmona-Bernal C, Capote F, Sanchez-Armengol A, Botebol-Benhamou G, Polo-Padillo J, et al. Gender differenc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 clinical study of 1166 patients. Respir Med 2004;98:984-989. 

  34. Richardson JTE. Eta squared and partial eta squared as measures of effect size in educational research. Educ Res Rev 2011;6:135-147. 

  35. Scarlata S, Pedone C, Curcio G, Cortese L, Chiurco D, Fontana D, et al. Pre-polysomnographic assessment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questionnaire is not useful in identifying people at higher risk for obstructive sleep apnea. J Med Screen 2013;20:220-226. 

  36. Siddiqui F, Walters AS, Goldstein D, Lahey M, Desai H. Half of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have a higher NREM AHI than REM AHI. Sleep Med 2006;7:281-285. 

  37. Silber MH, Ancoli-Israel S, Bonnet MH, Chokroverty S, Grigg-Damberger MM, Hirshkowitz M, et al. The visual scoring of sleep in adults. J Clin Sleep Med 2007;3:121-131. 

  38. Stelmach-Mardas M, Mardas M, Iqbal K, Tower RJ, Boeing H, Piorunek T.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dietary intake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Health Qual Life Outcomes 2016;14:111. 

  39. Subramanian S, Guntupalli B, Murugan T, Bopparaju S, Chanamolu S, Casturi L, et al. Gender and ethnic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self-reported insomnia among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Breath 2011;15:711-715. 

  40. Terry Y, Mari P, Jerome D, James S, Steven W, Safwan B.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1993;328:1230-1235. 

  41. van der Helm E, Yao J, Dutt S, Rao V, Saletin JM, Walker MP. REM Sleep depotentiates amygdala activity to previous emotional experiences. Curr Biol 2011;21:2029-2032. 

  42. Villaneuva ATC, Buchanan PR, Yee BJ, Grunstein RR. Ethnicity and obstructive sleep apnoea. Sleep Med Rev 2005;9:419-436. 

  43. Walker MP. The role of slow wave sleep in memory processing. J Clin Sleep Med 2009;5:S20-S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