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인공지능기술(AI) 사용 의도와 태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Intention and Attitude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Healthcar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4, 2017년, pp.53 - 60  

김장묵 (단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UTAUT 모델을 이용하여 보건의료분야 대학생들의 인공지능기술(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I)의 사용 의도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78명의 대학생으로, 2016년 5월 15일부터 6월 1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업무의 유용성, 불안요인이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과기대, 업무의 유용성, 불안요인은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 의도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요인과 업무의 유용성이 태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사용 의도에 의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AI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사용 의도와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실에 근거한 정확한 정보전달과 막연한 불안감을 줄이면서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인지된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and attitud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AI) of university students in healthcare using UTAUT model. Participants were 278 college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May 1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분야의 직무에 인공지능 기술도입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의 연구모델을 적용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장차 보건의료분야에 종사하여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노동시장 변화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보건의료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들로 이루어져 이들의 인공지능기술의 사용 의도와 태도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 때문에 최근 새로운 정보기술의 사용자 수용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UTAUT를 연구모형으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기반으로 AI 기술 사용자가 기술수용 사용 의도와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각 요인들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의료분야 대학생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사용 의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기술수용이론의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이론적인 모델을 활용하여 성과기대, 학습 용이성,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업무의 유용성, 그리고 불안 요인이라는 변인을 통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이를 설문조사를 통해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UTAUT모형을 기반으로 초기 모델을 분석하여 AI 기술수용에 대한 최종 구조모형을 만들고 이에 대한 모형적합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가설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래의 Table 3에서와 같이 연구모형의 경우에 적합도가 대부분 낮게 나타나, 수정지수의 공변량, 잔차를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오차항 등 연결하여 수정모형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분야의 직무에 인공지능 기술도입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의 연구모델을 적용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장차 보건의료분야에 종사하여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노동시장 변화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보건의료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들로 이루어져 이들의 인공지능기술의 사용 의도와 태도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거중심의학과 정밀의료가 대중이 목표로 하는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이와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과 정밀의료(PrecisionMedicine)이다. 근거중심의학과 정밀의료가 의료계와 일단 대중이 목표로 하는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최신의 지식을 계속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컴퓨터의 기계학습을 통해 대규모의 생물학적 자료와 환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치료를 위한 결정을 내린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보건의료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IBM의 왓슨(Watson)이 개발되어 의료진을 위한 암환자의 치료 결정을 지원하고 있다[4].
AI의 의료분야 적용을 바라보는 시각 중 하나는 무엇인가? 이러한 관심은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이 초래할 노동시장 변화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기에 이르렀다. AI의 의료분야 적용을 바라보는 시각 중 하나는 의료행위의 자동화와 정밀화로 보건의료 인력이 상당 부분 대체될 수 있는 위험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슈들의 대부분은 다분히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것들이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사실에 근거한 종합적인 정리 및 검증 등의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3].
근거중심의학과 정밀의료는 어떤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었는가? 최근 의료계의 치료 결정에 있어서 의사결정의 개선에 대한 요청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얼마나 많이 검토하며, 검증이 된 최신의 의학 정보를 가지고 진단을 하는가의 문제이다[4]. 그리고 노령화에 대한 대책과 이를 부양할 인구의 감소는 보건의료의 지속가능성의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과 정밀의료(PrecisionMedicine)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G. Lee. (2015).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and Policy, which will dominate the Future of Japan. IT Communication & Broadcast Policy, 27(6), 1-7. 

  2. J. H. Lee et al. (2014). Big-Data Utilization Trend in Healthcare. Journal of Korean Telecommunication, 32(1), 63-75. 

  3. Y. J. Chun. (2016). AI and Future of Healthcare Personnel-Trends, Prospects and Implications. Healthcare Management and Policy Research, 5(2), 106-112. 

  4. K. Y. Lee & J. H. Kim. (2016).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ends and IBM Watson References in the Medical Field.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8(2), 51-57. DOI : 10.17496/kmer.2016.18.2.51 

  5. S. G. Lee. (2005).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Technology Adop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view, 7(2), 61-84. 

  6. V. Venkatesh. (2000).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1(4), 342-365. DOI : 10.1287/isre.11.4.342.11872 

  7. V. Venkatesh et al.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8. F. D. Davis, R. Bagozzi & R. Warshaw.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9. I. Ajzen.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20(2), 179-211. 

  10. S. Taylor & A. Todd. (1995).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6(2), 144-176. DOI : 10.1287/isre.6.2.144 

  11. F. D. Davis, R. Bagozzi & R. Warshaw. (1992).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12. R. L. Thompson, C. A. Higgins & J. M. Howell. (1991). Personal computing: toward a conceptual model of utilization. MIS quarterly, 15(1), 125-143. DOI : 10.2307/249443 

  13. G. C. Moore & I. Benbasat. (199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92-222. 

  14. D. R. Compeau & C. A. Higgins. (1995). Computer self-efficacy: Development of a measure and initial test. MIS quarterly, 19(2), 189-211. DOI : 10.2307/249688 

  15. C. Carlsson, J. Carlsson, K. Hyvonen, J. Puhakainen & P. Walden. (2006). Adoption of mobile devices/services-searching for answers with the UTAUT. The 39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132a). Kauia : IEEE. DOI : 10.1109/hicss.2006.38 

  16. Y. S. Wang, H. H. Lin & L. P. Luarn. (2006). Predicting Consumer Intention to Use Mobile Service. Information Systems Journal, 16(2), 157-179. DOI : 10.1111/j.1365-2575.2006.00213.x 

  17. H. Amin. (2007). An Analysis of Mobile Credit Card Usage Intentions. Information Management & Computer Security, 15(4), 260-269. DOI : 10.1108/09685220710817789 

  18. S. Y. Morna, J. Peter, M. Goldrick, A. Kathleen & J. D. Keeling. (2003). Using ZMET to Explore Barriers to the Adoption of 3G Mobile Banking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31(6), 340-348. DOI : 10.1108/09590550310476079 

  19. C. A. Chang. (2011). User Acceptance of NFC Mobile Phone Service: An Investigation Based on The UTAUT Model.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