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Smok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a Health Belief Model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4, 2017년, pp.205 - 213  

양선이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강희경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제주지역 41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가 진행되었고 기술 통계 및 다중회귀 분석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성별(t=-7.44, p<.001), 용돈 (t=-2.06, p=.040), 가족의 흡연 여부(t=4.43, p<.001), 친구의 흡연 여부(t=9.59, p<.001), 지각된 장애(t=0.87, p=.014), 행동의 계기(t=6.33, p<.001)는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흡연과 관련된 건강 및 건강 관련 변수 중 대학생의 흡연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적 및 치료적 접근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smo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lens of a Health Belief Model. A descrip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417 college students in Jeju, South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일반적 특성 및 흡연 관련 특성과 건강신념 관련 변인인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행동의 계기, 자기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궁극적으로는 Fig. 1의 건강신념 관련 변인들을 토대로 우리나라 대학생의 흡연습관을 개선 및 교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Rosenstock의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15].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용돈, 흡연 관련 변인에서 가족과 친구의 흡연 여부, 건강신념 관련 변인에서 지각된 장애, 행동의 계기가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 흡연의 융합적 영향요인으로써 건강신념 관련 변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건강신념모델을 기반으로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인 제주지역 대학생의 건강신념 변인을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검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셋째, 제주지역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일반적 특성 및 흡연 관련 특성과 건강신념 관련 변인인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행동의 계기, 자기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궁극적으로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이 직간접적으로 흡연환경에 상당 부분 노출된 원인은 무엇인가?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상태로 성장발달 특성상 습관이 고착화되는 시기이며 가치 있는 건강습관을 정착시켜 평생 건강을 유지·증진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2]. 대학생은 성인이 되어 청소년기에 통제되고 제약되었던 생활에서 벗어나 자유를 만끽하고자 하는 특성이 크며, 흡연에 대해서도 암묵적 승인을 받은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선행연구에 따르면 대학생은 또래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아 흡연하는 친구의 수가 흡연 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10], 또 다른 연구에서도 흡연 시작의 계기가 대학 내의 팀 학습 및 동아리 활동이라고 하여 대학 내 환경이 흡연에 큰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그 외에도 스트레스 해소 목적이나 호기심이 흡연을 시작한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12].
흡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흡연은 뇌혈관계, 호흡기계, 심혈관계 질환 및 각종 암을 일으키고 사망률을 높이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인 손실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1,2]. 세계보건기구 담배규제기본협약(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WHO FCTC)의 담배규제 정책포럼에서는 전 세계 연간 흡연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약 600만 명이며[3], 금연 관련 조치를 적절히 취하지 않을 경우 21세기에는 흡연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0억 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4].
우리나라 흡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몇위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흡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국가 중 11위이며, 성인 남성 흡연율은 36.6%로 세계 1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8]. 그중에서도 그간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학생을 포함한 19~29세 성인의 흡연 통계치를 보면 남성 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Y. M. Hong, C. Y. Lee, K. H. Lee, S. H. Bae, O. K. Ham & J. H. Han. (2004). Predicting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8(2), 218-224. 

  2. K. A. Kim. (2016).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Smoking and Smoking Conditions among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8), 465-476. DOI : 10.5762/kais.2016.17.8.465 

  3. WHO FCTC. (2016). Report of the seventh session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Delhi : WHO FCTC. 

  4.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National Tobacco Control Center. (2015). Global forum on tobacco control 10th anniversary of the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Seoul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National Tobacco Control Center. 

  5. E. H. Lee et al. (2010). Cigarette smoking and mortality in the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 (KMCC) stud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2), 151-158. DOI : 10.3961/jpmph.2010.43.2.151 

  6. National Cancer Center. (2013). The risk of contributing cancer patients in Korea for the first time. National Cancer Center. http://www.ncc.re.kr/prBoardView1.ncc?nwsId1873 

  7. S. H. Choi, Y. J. Kim & K. W. Oh. (2016). Tobacco control policy and smoking trends in Korea. Weekly Health and Disease, 10(21), 530-533. 

  8. OECD Health Data. (2014). OECD Health Data: Health expenditure and financing. Paris : OECD Health Statistics. DOI : 10.1787/health-data-en 

  9. S. J. Kim, S. T. Moon & H. S. Kang. (2011). Factors influencing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4), 434-443. 

  10. C. S. Shin & C. H. Kim. (2010). The smoking related factors of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esearch on Nicotine and Tobacco, 2010(1), 26-32. 

  11. K. H. Rhim, J. H. Lee, M. K. Choi & C. J. Kim. (2004). A study of the correlation students' drinking and smoking habi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30(1), 57-70. 

  12. M. H. Lim & M. Y. Park. (2006). A survey of smoking status of women workers. Dental Research, 17, 238-247. 

  13. H. S. Jo, C. B. Kim, H. W. Lee & H. J. Jeong. (2004). A meta-analysis of health related behavior study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1), 69-84. 

  14. C. L. Jones, J. D. Jensen, C. L. Scherr, N. R. Brown, K. Christy & J. Weaver. (2014). The health belief model as an explanatory framework in communication research: exploring parallel, serial, and moderated mediation. Health Communication, 30(6), 566-576. DOI : 10.1080/10410236.2013.873363 

  15. I. M. Rosenstock. (1974).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Monographs, 2(4), 328-335. DOI : 10.1177/109019817400200403. 

  16. I. M. Rosenstock, V. J. Strecher & M. H. Becker. (1988).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 15(2), 175-183. DOI : 10.1177/109019818801500203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2016. Seoul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8.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 : 10.3758/bf03193146 

  19. M. H. Becker. (1974).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Health Education Monographs, 2, 324-508. 

  20. J. S. Moon.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1. A.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s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London : Prentice-Hall. 

  22. M. Sherer, J. E. Maddux, B. Merca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3. S. W. Jeon.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Gyeonggi province. Unpublished master thesis. Kangnam University, Yongin. 

  24. S. J. Kim, S. Y. Moon & K. S. Han. (2002). The actual condition of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3(1), 147-160. 

  25. K. H. Lee, W. J. Jung & S. M. Lee. (2006). Association of stress level with smok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7, 42-48. 

  26. S. Y. Han. (2016). A factor analysis of th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Ganwon province. Journal of Kangwon, 8(1), 63-77. 

  27. P. Jha, P. Musgrove, F. J. Chaloupka & A. Yurekli. (2000). The economic rationale for intervention in the tobacco market. Tobacco control in developing countries. Washington : World Bank Group. 

  28. W. N. Kim. (2005). The effect of tobacco price increase on tobacco demand. Cancer Prevention Research, 10(3), 172-191. 

  29. S. J. Ko. (2013). Cognition and behavioral change according to tobacco price change.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0. E. K. Kim & J. A. Choo. (2011). The health belief model and assertive behavior of asking smokers not to smok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1(3), 160-168. 

  31. M. H. Han. (2017).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preparation capacity and stress from college lif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1), 81-86. DOI : 10.22156/cs4smb.2017.7.1.081 

  32. I. S. Kim & S. Y. Kim. (2016).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4), 107-114. DOI : 10.22156/cs4smb.2016.6.4.107 

  33. M. S. Kim & S. Y. Yun. (2017).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self-efficacy on nursing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2), 111-117. DOI : 10.22156/cs4smb.2017.7.2.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