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상수조가 실내 환경의 습도와 오염물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quariums on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3 no.1, 2017년, pp.87 - 94  

이지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반현경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용일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  조기철 (동남보건대학교 바이오환경과) ,  고형범 (해양수산부 양식산업과) ,  이기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aquariums on indoor air quality for improving humidity and reducing indoor air pollutants. Methods: An air-conditioning chamber was used to determine humidity increase by aquarium volume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20^{\ci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관상용 수조를 설치하기 전과 설치한 후의 습도 변화 및 실내 오염물질 농도 변화를 통하여, 관상용 수조가 실내 습도에 주는 영향과 실내 오염물질의 감소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수용성 실내 오염물질의 경우, 실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수용성 오염물질(수용성 VOCs, Formaldehyde)가 수조 표면의 물과 결합하여 수조에 녹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으며, 실험 결과 일부 수용성 실내 오염물질과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는 수조를 설치할 경우 감소되는 것을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비수용성인 휘발성 유기 화학물질의 감소에 비해 1~2시간안에 20% 정도 더 감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의 습도는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실내의 습도는 공간의 실내오염물질 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건축 자재 등에서 배출되어 높아지며,11,12) 이산화황 및 이산화질소의 경우 또한 공기 중 습기와 결합하여 황산 및 질산을 생성한다.
낮은 습도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실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한데 그중 습도는 수준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 습도가 낮아 지면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4) 낮은 습도에 장시간 노출 되는 경우, 감기, 재채기, 인후염 등의 호흡기 감염 증상의 발생률이 더 높아진다는 연구들이 있다.5-7) 또한, 전염성 균의 전파는 작은 입자의 형태로 존재하는 균이 확산 등에 의해 퍼질 때 가능한데, 실내 습도가 15~40%로 낮을 때 독감 바이러스의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습도를 관리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방안은? 습도를 관리하는 방안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실내 활동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17) 실내 습도를 낮출 경우 난방기를 가동하거나 제습제 및 제습기 사용을, 실내 습도를 높일 경우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실내에 젖은 빨래를 너는 등의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 외에 주택 내에 숯이나 녹색 식물을 키우는 것으로 실내 습도를 자연 조절 하는 것 또한 방안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권고 방안들이 근거를 두고 제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ersonal exposure assessment study based on Korean individual's daily time-activity patter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p. 61 Available: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downloadResearchAttachFile.do?work_key001&file_-typeCPR&seq_no001&pdf_conv_ynN&research_id1480000-200900233 [accessed 30 December 2016]. 

  2. Institute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A study on indoor air pollution 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p. i Available: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downloadResearchAttachFile.do?work_key001&file_typeCPR&seq_no001&pdf_conv_ynN&research_id1480000-200800499 [accessed 31 December 2016]. 

  3. Arundel AV, Sterling EM, Biggin JH, Sterling TD. Indirect Health Effects of Relative Humidity in Indoor Environment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986; 65: 351-361. 

  4. Liviana JE, Rohles FH, Bullock PE. Humidity, comfort and contact lense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Transactions. 1988; 94(Part 1): 3-11. 

  5. Korsgaard J. Preventive measures in house-dust allergy.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982; 125(1): 80-84. 

  6. Arlian LG, Bernstein IL, Gallagher JS. The prevalence of house dust mites, dermathphagoides spp.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homes in Ohio.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982; 69(6): 527-532. 

  7. Murray AB, Zuk P. The seasonal variation in a population of house dust mites in a North American city.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979; 64(4): 266-269. 

  8. Hemmes JH, Winkler K, Kool SM. Virus survival as a seasonal factor in influenza and poliomyelitis. Antonie Van Leeuwenhoek. 1960; 28(1): 221-233. 

  9. Gravesen S. Fungi as a cause of allergic disease, Allergy. 1979; 34(3):135-154. 

  10. Wraith DG, Cunnington AM, Seymour WM. The role and allergenic importance of storage mites in house dust and other environments. Clinical and Experimental Allergy. 1979; 9(6): 545-561. 

  11. Anderson I, Lundqvist GR, Molhave L. Effect of air humidity and Sulphur dioxide on formaldehyde emission from a construction material (chipboard). Holzforschung und Holzverwertung. 1976; 28(5): 120-121. 

  12. Gupta KC, Ulsamer AG, Preuss PW. Formaldehyde in indoor air: sources and toxicity. Environment International. 1982; 8(1-6): 349-358. 

  13.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ir quality criteria for oxides of nitrogen. Environmental Criteria and Assessment Office, Research Triangle Park, NC. 

  14. Mueller FX, Loeb L, Mapes WH. Decomposition rates of ozone in living area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1973; 7(4): 342-346. 

  15. Cho H, Choi JM, Kim WJ. Assessment of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by humidity variation in new a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06; 13(4): 283-289. 

  16. Yeom J, Lee D, Lee K, Spengler JD, Kim G, Yu 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wo types of residenc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4; 13(4): 1-10. 

  17.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Household inoor air quality management guidance.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vailable: http://www.me.go.kr/home/file/readDownload-File.do?fileId6588&fileSeq1 [accessed 30 December 2016].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anua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p.21 https://cleanindoor.seoul.go.kr/download.do?fileNo3869 [accessed 30 December 2016]. 

  19. Urakawa H, Tajima Y, Numata Y, Tsuneda S. Low temperature decreases the phylogenetic diversity of ammonia-oxidizing archaea and bacteria in aquarium biofiltration system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008; 74(3): 894-9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