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김치 양념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Past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1, 2017년, pp.9 - 19  

천선화 (세계김치연구소) ,  이상일 (세계김치연구소) ,  황인민 (세계김치연구소) ,  서혜영 (세계김치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pastes. Methods: Th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aste purchased from 12 companies (KP 1-12) were investigated. Results: Commercial kimchi pas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이루어진 김치의 양념에 관한 연구로는 부재료가 배추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부재료가 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솔잎, 송화, 녹차 및 고추냉이 분말이 김치양념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starter 및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양념 및 겉절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다(No HK 등 1995, Choi TK 등 2003, NhaYA & Park JN 2003, Ku KH 등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시판 김치 양념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분석하여 김치 양념의 위생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Na/K 비율을 낮춘 레시피 표준화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시판 김치 양념 12종을 구매하여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특성 분석을 통해 김치 양념의 레시피 표준화 및 나트륨 함량을 저감시킨 김치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판 김치양념의 수분함량은 61.

가설 설정

  • 3) ND: not detected.
  • 4) 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효능은 무엇인가? 김치의 독특한 맛과 향기, 각종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들은 주재료와 향신료의 적절한 조합 및 발효과정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부재료 및 양념류에 따라 김치의 식품가치가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치는 저 열량식품으로 비타민과 무기질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항산화 및 면역증강, 고혈압 예방, 항암효과 및 변비예방 등의 효과가 있어 인체의 건강을 유지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 EJ 등 1997, Cho EJ 등 1998, Ko YT 등 2004, Ku HS 등 2007).
김치의 산업시장 성장은 어떤 사회적 배경에 기인하는가? 국민생활수준의 향상과 핵가족화, 싱글족 증가, 외식기회 확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및 초·중·고 학교 급식의 전면 실시화 등의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우리의 식생활 방식도 간편화 및 대중화되면서 김치의 산업시장도 날로 성장하고 있다(Yi SH 등 2009). 김치의 산업시장 성장으로 절임방법, 제조방법, 발효 및 숙성, 저장 및 유통, 기능성 및 제조시설분야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 걸쳐 현재까지 다양한 김치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배추김치 제조 시 어떤 재료가 사용되는가? 김치는 지역 및 계절에 따라 사용하는 배추와 부재료의 품종, 기후, 첨가량 등의 차이와 제조 방법이 달라서 다양한 맛과 독특한 풍미가 있으며, 그 종류도 200여 가지에 이른다(You JH 등 2007). 그 중 배추김치 제조 시 주재료로 배추, 무, 고춧가루, 마늘, 생강, 소금이 사용되나, 김치의 종류에 따라서 각종 식물성 부재료와 더불어 다양한 젓갈이 첨가된다. 김치의 독특한 맛과 향기, 각종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들은 주재료와 향신료의 적절한 조합 및 발효과정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부재료 및 양념류에 따라 김치의 식품가치가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ng BH, Seo JS, Jeong EJ.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21(1):51-55. 

  2. Bong YJ, Jeong JK, Park KY. 2013.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1):1717-1726. 

  3. Cha YJ, Lee YM, Jung YJ, Jeong EJ, Kim SJ, Park SY, Yoon SS, Kim EJ. 2003.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inor ingredients for winter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4):555-561. 

  4. Chang JY, Choi YR, Chang HC. 2011. Change in the microbial profiles of commercial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 J Food Preserv 18(5):786-794. 

  5. Chang JY, Choi YR, Chang HC. 2011. Change in the microbial profiles of commercial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5):786-794. 

  6. Cheon SH, Kang MR, Seo HY.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bak kimchi with freeze-dried ingredien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23(2):145-154. 

  7. Cho EJ, Park KY, Rhee SH. 1997.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 ratios of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9(6):1228-1235. 

  8. Cho EJ, Rhee SH, Park KY. 1998. Standardization of kinds of ingredient in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6):1456-1463. 

  9. Cho SK, Moon JS, Kim YJ, Kim JE, Choi HY, Ahn JE, Otgonbayar GE, Eom HJ, Kim TJ, Kim YM, Kim HR, Han NS. 2012. Comparison of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in Korea and Jap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2):155-161. 

  10. Choi TK, Park SH, Yoo JH, Lim HS, Jo JS, Hwang SY. 2003. Effect of starter and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quality of kimchi paste and Geotjeori kimchi. Korean J Food Cult 18(2):96-104. 

  11. Goto A, Tobian L, Iwai J. 1981. Potassium feeding reduces hyperactive central nervous system pressor responses in Dahl salt-sensitive rats. J Hypertens 3(3):128-134. 

  12. Hwang GH, Yoo YK, Chung DL, Cho NC, Jung LH. 2000. Effects of sensory acceptability for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conditions of fermented seafood and red pepper. Korean J Food Nutr 13(3):201-212. 

  13. Kang KO, Lee SH, Cha BS. 1995. A study on the material ratio of kimchi products of Seoul and Chung Cheong area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fermented kimchis. Korean J Soc Food Sci 11(5):487-493. 

  14. Kim DG, Kim BK, Kim MH. 1994. Effect of reducing sugar content in Chinese cabbage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3(1):73-77. 

  15. Kim DH, Yoo JY, Jang KI. 2016. Effects of a pre-filter and electrolysis systems on the reuse of brine in the Chinese cabbage salting process. Prev Nutr Food Sci 21(2):147-154. 

  16. Kim HY. 2011. Activation of nutrition labeling in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for sodium reduction. Food Sci Ind 44(1):28-38. 

  17. Kim S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alt replaced by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J Korean Soc Food Cult 28(6):674-683. 

  18. Ko YT, Hwang JK, Baik IH. 2004. Effects of Jeotkal addition on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123-128. 

  19.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6. Food code. KFDA, Seoul, Korea. p 154. 

  20. Ku HS, Noh JS, Kim HJ, Cheigh HS, Song YO. 2007.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1497-1502. 

  21. Ku KH, Cho MH, Park WS. 2003.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the standardization of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316-319. 

  22. Ku KH, Jeong MC, Chung SK. 2013. Industrial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s and fresh-cut Chinese cabbage. Food Sci Ind 46(4):2-11. 

  23. Ku KH, Kim NY, Park JB, Park WS.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2):231-237. 

  24. Ku KH, Sunwoo J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2):267-276. 

  25. Lee MK, Lee HJ, Park WS, Koo KH, Kim YJ, Jang DJ, Suh JW. 2009. Changes of S-adenosy1-L-methionine (SAM) in kimchi using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4):417-422. 

  26. Lee MK, Yang HJ, Woo HN, Rhee YK, Moon SW. 2011. Changes in the texture and salt content of Chinese cabbage using different salt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8):1184-1188. 

  27. Lee YH, Yang IW. 1970. Studies on the packaging and preservation of kimchi. J Korean Soc Appl Biol Chem 13(3):207-218. 

  28. Lim HS, Ko YS, Shin DS, Heo YR, Chung HJ, Chae IS, Kim HY, Kim MH, Leem DG, Lee YK. 2013.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8):1303-1317. 

  29. Lim YR, Kyung YN, Jeong HS, Kim HY, Hwang IG, Yoo SM, Lee JS. 2012.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9):1315-1319. 

  30. Liu W, Ko KH, Kim HR, Kim IC. 2012. The effect of insoluble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Chinese cabbage waste on plasma lipid profiles in rats fed a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33-40. 

  31. Marketou ME, Zacharis EA, Parthenakis F, Kochiadakis GE, Maragkoudakis S, Chlouverakis G, Vardas PE. 2013. Association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with ventricular arrhythmic burden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J Am Soc Hypertens 7(4):276-282. 

  32.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6. Korean traditional food standards. Available from: https://www.naqs.go.kr/multiboard/board/detail.naqs?menuMN30506&groupno282&cate0&page1&seq48927&schType&schKeyword. Accessed January 23, 2016. 

  33. Nha YA, Park JN. 2003. Effect of dried powders of pine needle, pine pollen, green tea and horseradish on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Korean J Culin Res 9(4):179-190. 

  34. No HK, Lee SH, Kim SD. 1995.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4):642-650. 

  35. Obarzanek E, Sacks FM, Vollmer WM, Bray GA, Miller III ER, Lin PH, Karanja NM, Most-Windhauser MM, Moore TJ, Swain JF, Bales CW, Proschan MA. 2001. Effects on blood lipids of a blood pressure-lowering diet: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trial. Am J Clin Nutr 74(1):80-89. 

  36. Park HY, Jung LH, Lee SS.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3):426-431. 

  37. Park SJ, Paik HY, Lee SY. 2007. The influence of mixed NaCl-KCl salt on sodium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sodium and potassium. Korean J Nutr 40(6):500-508. 

  38. Park YH, Kim YS, Kim SB. 2009. Consumer preference for salted cabbage in Gyeonggi province. Food Sci Ind 42(3): 28-34. 

  39. Ryu JY, Lee HS, Rhee HS. 1984.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2):169-174. 

  40. Sacks FM, Svetkey LP, Vollmer WM, Appel LJ, Bray GA, Harsha D, Obarzanek E, Conlin PR, Miller III ER, Simons-Morton DG, Karanja N, Lin PH. 2001.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N Engl J Med 344(1):3-10. 

  41. Shin JH, Kim RJ, Kang MJ, Kim GM, Sung NJ. 2012. Qual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garlic-added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9(4):539-546. 

  42. Song MR, Lee KJ. 2008. 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stew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4(1):84-91. 

  43. Yi SH, Park SY Jeong DH, Kim JY, Lee AJ, Shin HA, Moon JH, Lee JH, Kim SE, Ryou HJ, Om AS. 2009. Survey research of homemade and commercial cabbage (Baechu) kimchi on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 Sci 25(6):671-676. 

  44. You JH, Kwak EJ, Shin MJ. 2007. A study on kimchi preference and the types of kimchi purchased at markets to improve kimchi marketi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17(4):511-5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