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재래식 간장과 시판 개량식 간장의 품질특성 분석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gional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 Sauce (Gan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1, 2017년, pp.45 - 53  

김슬기 (한국식품연구원) ,  박선영 (한국식품연구원) ,  홍상필 (한국식품연구원) ,  임상동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ies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ith commercial soy sauce (Ganjang). Methods: Nineteen traditional products were collected from six provinces and three commercial products were purchased in domestic market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래식 간장과 개량식 간장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6개의 도에서 수집한 19개의 재래식 간장과 3개의 시판 개량식 간장의 일반성분, 무기원소, 미생물학적 품질 분석 및 색도를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은 재래식 간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량식 간장이 높았으며, 간장 시료의 지방 및 단백질 함량은 제조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시료간의 함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전통 재래식 간장의 경우 사용 원료 및 발효 방법 등에 의해 다양한 맛과 향을 가져 지역적으로 품질 차이가 크지만 재래식 간장과 시판 개량식 간장과의 품질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는 경인지역의 재래식 간장과 시판 개량식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Kim YA 등 1996), 시판 개량식 간장과 서울 지역 재래식 간장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성분 연구(Ko YS & Chun MJ 1986), 경기 지역에서 제조된 재래식 간장과 시판 개량식 간장의 이화학 및 관능적 특성 비교 연구(Choi NS 등 2013) 등과 같이 특정한 지역에 국한되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래식 간장과 개량식 간장의 품질특성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6개의 도에서 수집한 지역별 재래식 간장과 시판 개량식 간장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및 미생물학적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재래식 간장과 개량식 간장의 L, a, b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G10 의 경우 L, a, b값이 다른 간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로써 본 연구 결과는 지역별 재래식 간장과 개량식 간장의 품질특성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래식 간장의 제조방법은? 간장은 제조방법에 따라 재래식 간장과 개량식 간장으로 구분된다. 재래식 간장은 대두를 이용하여 메주를 만들어 자연 발효시킨 후 염수에 담금하고 숙성·발효시켜 덧의 건더기와 여액을 분리하여 그 여액을 가공한 것으로 재래 한식간장, 재래식 조선간장 또는 재래식 국간장으로 불린다(Kim DH 등 2001, Park HR 등 2012). 개량식 간장은 개량식 메주를 이용하여 발효·숙성시켜 그 여액을 가공한 개량 한식간장(개량식 국간장)과 대두, 탈지 대두 또는 곡류 등에 누룩균 등을 배양하여 염수 등에 섞어 발효·숙성시켜 그 여액을 가공한 양조간장으로 분류된다(Kim ND 2007, Kim DH 등 200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3).
간장이란? 간장(soy sauce, Ganjang)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 중 하나로 콩을 주원료로 제조된 조미 식품이다(Park HR 등 2012). 예로부터 간장은 과거 육류자원이 풍부하지 못 하였을 때 곡류 섭취로 부족하기 쉬운 필수 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공급원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한국인의 식생활에 깊게 자리매김하여 짠맛을 제공하는 조미료로 사용되고 있다(Choi SY 등 2006).
간장이 짠맛 뿐만 아니라 다른 맛도 생기는 이유는? 예로부터 간장은 과거 육류자원이 풍부하지 못 하였을 때 곡류 섭취로 부족하기 쉬운 필수 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공급원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한국인의 식생활에 깊게 자리매김하여 짠맛을 제공하는 조미료로 사용되고 있다(Choi SY 등 2006). 또한 짠맛 외에도 발효과정을 통해 다양한 아미노산과 유리당, 유기산이 생성되어 구수한 맛, 단맛, 신맛 등을 제공한다(Choi KS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e SK, Kang KS, Ma SJ, Bang KY, Oh MH, Oh SH. 2000. Standard food analytic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460-463. 

  2. Choi KS, Choi JD, Chung HC, Kwon KI, Im MH, Kim YH, Kim WS. 2000. Effects of mashing proportion of soybean to salt brine on Kanjang (soy sauce)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174-180. 

  3. Choi NS, Chung SJ, Choi JY, Kim HW, Cho JJ. 201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f mass-produced vs. small scale farm produced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Food Nutr 26(3):553-564. 

  4. Choi SY, Sung NJ, Kim HJ. 2006.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 (Acer mono Max.) and Kojesu (Brtula costata T.) saps. Korean J Food Nutr 19(3):318-326. 

  5. Ha JO, Park KY. 1998.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3):413-418. 

  6. Ham SS, Kim SH, Yoo SJ, Oh HT, Choi HJ, Chung MJ.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 sauce (Kanjang) supplemented with deep sea water and sea tangle. Korean J Food Preserv 15(2):274-279. 

  7. Itokawa Y, Tanaka C, Fujiwara M. 1974.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in rats with calcium and magnesium deficiencies. J Appl Physiol 37(6):835-839. 

  8. Jeon MS, Sohn KH, Chae SH, Park HK, Jeon HJ. 2002.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prepared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32-38. 

  9. Jin YX, Je JH, Lee YH, Kim JH, Cho YS, Kim SY. 2011. Comparison of the mineral contents of sun-dried salt depending on wet digestion and dissolution. Korean J Food Preserv 18(6):993-997. 

  10. Kang HJ, Yang HJ, Kim MJ, Han ES, Kim HJ, Kwon DY. 2011. Metabolomic analysis of Meju during fermentation by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 MS). Food Chem 127(3):1056-1064. 

  11. Kim DH, Yook HS, Kim KY, Shin MG, Byun MW. 2001.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Meju by the molding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2):250-255. 

  12.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Korean J Environ Health 30(1):22-28. 

  13. Kim JK, Kim CS. 1980. The taste components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J Korean Agric Chem Soc 23(2):89-105. 

  14. Kim MJ, Chang BH, Kim IC, Lee DW, Ahn M. 2005. Posttraumatic Bacillus cereus andophthalmitis. J Korean Ophthalmol Soc 46(9):1597-1604. 

  15. Kim ND. 2007. Trend of research papers on soy sauce tastes in Japan. Food Ind Nutr 12(1):40-50. 

  16.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Jung ST. 2000. Fermented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6):1365-1370. 

  17. Kim YA, Kim HS, Chung MJ. 1996. Physicochemic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Korean J Soc Food Sci 12(3):273-279. 

  18. Kim YA, Kim HS. 1996. Consumption pattern and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Korean J Soc Food Sci 12(3):280-290. 

  19. Ko YS, Chun MJ. 1986. Studies on the chemical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commercial and homemade soy sauce. Fam Environ Res 24(4):105-116. 

  2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3.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1-67. 

  21. Kwon OJ, Kim MA, Kim TW, Kim DG, Son DH, Choi UK, Lee SH.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made with salts obtained from deep ocean water. Korean J Food Preserv 17(6):820-825. 

  22. Lee JG, Kwon KI, Choung MG, Kwon OJ, Choi JY, Im MH. 2009. Quality analysis on the size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Meju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Kanjang). J Appl Biol Chem 52(4):205-211. 

  23. Lee KS, Lee YB, Lee DS, Chung SK. 2006. Quality evaluation Korean soy sauce fermented in Korean earthenware (Onggi) with different glazes. Int J Food Sci Technol 41(10):1158-1163. 

  24. Lertsiri S, Maungma R, Assavanig A, Bhumiratana A. 2001. Roles of the Maillard reaction in browning during moromi process of Thai soy sauce. J Food Process Preserv 25(2):149-162. 

  25. Oh GS, Kang KJ, Hong YP, An YS, Lee HM. 2003. Distribution of organic acids in traditional and modified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1177-1185. 

  26. Park HR, Lee MS, Jo SY, Won HJ, Lee HS, Lee H, Shin KS. 2012.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and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2):228-234. 

  27. Park S, Lee S, Park S, Kim I, Jeong Y, Yu S, Shim SC, Kim M. 2015.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ermented in Korean earthenware, Onggi, from different reg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6):847-853. 

  28. Woo KL, Lee SC, Jang DK.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3):220-224. 

  29. Yoo HY, Park YJ, Lee SK, Son CB. 1979. Studies on the iron component of soy sauce, 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Part I. Iron content of soy sauce. J Korean Agric Chem Soc 22(3):160-1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