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5 no.1, 2017년, pp.67 - 80  

양지선 (경상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과) ,  유태명 (경상대학교 대학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an the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e practical problem is 'what should the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ith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be?' was address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가정과교육과정 동향의 특징을 분석하고 세계 교육과정의 추세를 파악하여 문제의 맥락을 검토함으로써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제안을 위한 틀의 구성과 주요 내용요소를 도출한다. 문제의 맥락에서 도출된 기본 틀에 설정된 가치를 둔 목표를 고려한 내용요소를 기반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안한다.
  • 이러한 배경에서 가정과교육을 받은 학습자는 어떤 특성을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사회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교육의 실천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제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가정과교육의 미래 비전을 구축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고 본질적인 숙고를 통하여 가정과교육의 철학적 기초를 다지는 의의를 찾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논의가 가정과교육 연구자의 인간상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끌어내는 실마리가 될 것을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문제는 가정과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의 문제이고 실천적인 문제로 보았기 때문에 쟁점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가정과교육을 통해 이룰 수 있는 인간상은 어떤 바람직한 상태 혹은 어떤 본질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입장을 세워 가치를 둔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가치를 둔 목표는 첫째, 교육의 실천에 있어서 실현가능성이 높아야 하며, 둘째, 교과의 맥락성이 반영되어야 하고 셋째, 가정교과의 특성에 비추어 비판과학 관점이 강조되어야 한다로 설정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천적 추론을 통해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해야 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숙고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였고 서로 연결되고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특히 대안에서는 가치를 둔 목표와 맥락에서 논의된 내용들이 반영된 제안을 도출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추세를 반영하여 교과 맥락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개발하게 된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비판과학 관점이 강조된 인간상은 Brown과 Paolucci [8]의 가정학의 사명과 Habermas [12, 13]의 인식론에 기초하고 Ju와 Yoo [16]의 틀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치를 둔 목표를 바탕으로 인간상 예시를 진술한 제안이다. 제안의 진술방식은 생활세계의 영역을 개인, 사회, 문화의 차원으로 논의하고 있는 Habermas의 이론에 기초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판과학의 맥락이 요구되므로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통해서 ~해 나가는 사람'의 형식으로 자아형성, 자립, 상호작용, 사회적 참여, 문화화 등 다섯 영역의 인간상을 제안하였다.
  • 대안에서 검토된 제안은 2015년 10월 30일부터 11월 6일까지 교과교육 전공교수 5인, 박사학위를 소지한 가정과 교사 5인 총 10명에게 이메일로 전문가 협의를 의뢰하였으며 평균 경력이 20년인 전문가 집단 중에는 국가 교육과정 개발진 3인, 검토진 1인, 협의진 1인이 포함되어 있었다. 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설계안의 진술과 내용요소에 대한 타당성과 포괄성을 검증받고 제안의 파급효과에 대해 협의하였다. 파급효과에서 전문가 협의는 개발된 제안에 대한 기여점과 제한점, 추가요소들에 대한 협의를 포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과교육의 본질은? 가정과교육의 본질이 전문분야로서 실천학문의 성격으로 가정의 안녕을 이루고 가정생활에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음에 비추어 지금까지 가정과교육에서 Brown [3, 5, 7]이 추구하는 자유로운 사회, 이상적인 사회에 이르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며 비판이론에서 언급하고 있는 사회·문화 속에서 사회화되고 자아를 형성해 나가는 개인이 어떠한 인간상으로 나타나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Yoo와 Lee [27]도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이 제시되어 왔지만 가정과교육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은 명시되어 있지 않기에 각론에 제시된 성격이나 목표를 통해 유추할 수밖에 없다고 하였다.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상정하기 위해 도출해야하는 쟁점은? 첫째,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상정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인간상과 관련한 연구들을 통해 교육받은 인간에 대한 이상적인 상태는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쟁점들을 도출한다. 이에 따라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인간상에 대한 가치를 둔 목표(valued ends)를 설정한다.
비판이론에서 주장하는 것은?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은 1930년대 독일의 프랑크푸르트학파에 의해 정립되고 체계화되었으며 비판이론가들은 인간의 이성과 합리화에 관심을 두어 왔다. 이들은 인간의 이성은 다양한 형태의 지배와 권력관계 내에서 중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중립적이지 않고 지배와 권력관계 내에서 형성된 인간의 이성을 이들은 도구적 이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ldwin, E. E. (1984).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OR, USA. 

  2. Brown, M. M. (1978).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Madison, WI: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3. Brown, M. M. (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Minneapolis, MN: Minnesot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Vocational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4. Brown, M. M. (1984). Home Economics: Proud past-promising future, 1984 AHEA commemorative lecture. Journal of Home Economics, 76(4), 48-54. 

  5. Brown, M. M. (1985a). Philosophical studies of home economics in the United States: Our practical-intellectual heritage I.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for Vocational Education. 

  6. Brown, M. M. (1985b). Philosophical studies of home economics in the United States: Our practical-intellectual heritage II.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for Vocational Education. 

  7. Brown, M. M. (1993). Philosophical studies in home economics: Basic ideas by which home economists understand themselves.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8.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9. Habermas, J. (1971).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Boston, MA: Beacon Press. 

  10. Habermas, J. (1979). Communica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Boston, MA: Beacon Press. 

  11. Habermas, J. (1982). A reply to my critics. In J. B. Thompson & D. Held (Eds.), Habermas: Critical debates (pp. 219-283). Cambridge, MA: The MIT Press. 

  12. Habermas, J. (1984).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 1. Reason and the rationalization of society. Boston, MA: Beacon Press. 

  13. Habermas, J. (1987).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 2. Lifeworld and system: 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Boston, MA: Beacon Press. 

  14. Hittman, L., & Brodacki-Thorsbakken, P. (1993). The book of questions. Unpublished manuscript. 

  15.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 (2008). Home economics in the 21st century position statement. Bonn: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 

  16. Ju, S., & Yoo, T. (2015). Integrativ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rough delibera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4), 447-461. https://doi.org/10.6115/fer.2015.036 

  17. Kim, Y. C. (2006). After Tyler: Curriculum theorizing 1970-2000. Seoul: Moonumsa. 

  18. Knorr, A. J., Schmalzel, P., & Van de Bogart, E. (1981). Reasoning and acting on practical problems of home and family (project no. 81-904C-03-05). Phoenix, AZ: Arizona Department of Education. 

  19. Lee, S. H. (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Maryland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007). Maryland family and consumer science. Baltimore, MD: Maryland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1.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Administrators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2008).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Retrieved January 10, 2017, from http://www.nasafacs.org/national-standards-overview.html 

  22.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1994). Work and family life curriculum guide. Columbus, OH: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23. Oregon Department of Education. (1996). Family and consumer science studies curriculum for Oregon middle schools. Salem, OR: Oregon Department of Education. 

  24. Queensland Studies Authority. (2010). Home economics: Senior syllabus, 2010. Brisbane: Queensland Studies Authority. 

  25. Staaland, E., & Strom, S. (1996). Family, food, and society: A teacher's guide. Milwaukee, WI: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26. Watters, M. E. (1981). Family and self-formation: A qualitative analysis drawing from the critical theory of Jurgen Haberma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27. Yoo, T. M., & Lee, S. H. (2010). Practical problem orient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e theory and practice. Seoul: Book Korea. 

  28. Young, R. E. (2003). A critical theory of education: Habermas and our children's future (J. H. Lee & J. E. Lee, Trans.). Seoul: Kyoyookbook.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