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마늘 첨가 김치 양념소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imchi Seasoning with Black Garlic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1, 2017년, pp.175 - 180  

이경행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영태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reduce the off-flavor of garlic in the Kimchi, we manufactured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25~75% black garlic instead of raw garlic and measured the contents of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 was $27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 첨가되는 마늘의 불쾌취를 줄이고, 생리활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김치 양념소를 제조할 때 생마늘을 흑마늘로 부분 대체하여 제조하였으며, 흑마늘 첨가 김치 양념소의 저장기간 동안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식품으로서의 용도는? 김치에 첨가되는 향신료 중 마늘은 예로부터 김치를 비롯한 소스류, 스프, 부식 및 각종 요리에서 사용하는 조미향신료(Jeong JH 1998)로 이용되고 있으며, 생마늘의 형태 이외에도 paste, 분말 및 과립형태 등으로 가공되어 마늘 제품의 고급화와 다양화되고 있다(Kim 등 1990).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마늘제품이 생산되어지고 있는 이유는 마늘의 항균작용(Cavallito & Bailey 1944; Ankri & Mirelman 1999), 항고혈압 작용(Ruffin & Hutter 1983), 항암 및 세포의 항돌연변이 효과(Belman S 1983; Shin & Kim 2004) 및 항산화 효과(Corzo-Martinez 등 2007; Hwang 등 2007) 등의 생리활성은 마늘 내 함유되어 있는 함황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Fanelli 등 1998; Avato 등 2000).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소금 절임한 배추를 세척한 후,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등의 갖은 부재료들을 혼합하여 적당한 온도에서 발효시킨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Kim 등 1994; Park KY 1995)으로, 배추의 절임과정과 부재료들의 조화로 맵고 새콤하며, 자극적인 탄산미 등의 다양한 풍미를 가지고 있다(Chang 등 2011).
흑마늘 첨가 김치 양념소의 저장 기간과 flavonoid 함량 간의 상관관계는? 72 mg%로 흑마늘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중 flavonoid 함량 변화는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과 달리 모든 실험군에서 flavonoid의 함량이 일차가 지날수록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전자공여능의 경우, 대조군은 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kri S, Mirelman D. 1999. Antimicrobial properties of allicin from garlic. Microbes Infec 2:125-129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3. Avato P, Tursil E, Vitali C, Miccolis V, Candido V. 2000. Allylsulfide constituents of garlic valatile oil as antimicrobial agents. Phytomedicine 7:239-243 

  4. Belman S. 1983. Onion and garlic oils inhibit tumor promotion. Carcinogenesis 4:1063-1067 

  5.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6. Cavallito C, Bailey JH. 1944. Allicin the antibacterial principle of Allium sativum. Isola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action. J Am Chem Soc 66:1944-1952 

  7. Chang JY, Kim IC, Chang HC. 2011. Effect of solar sal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8:256-265 

  8. Choi DJ, Lee SJ, Kang MJ, Cho HS, Sung NJ, Shin JH.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65-471 

  9. Choi DJ. 2008. Studies on functional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lack garlic.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0. Corzo-Martinez M., Corzo N and Villamiel M. 2007. Biological properties of onions and garlic. Trends Food Sci Tech 18:609-625 

  11. Fanelli SL, Castro GD, de Toranzo EG, Castro JA. 1998. Mechanisms of the preventive properties of some garlic components in the carbon tetrachloride-promoted oxidative stress.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 allyl mercaptoan, and allyl methyl sulfide. Res Commun Mol Path 102:163-174 

  12. Hwang IG, Woo KS, Kim DJ, Hong JH. Hwang BY, Lee YR.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substnace from heated garlic(Allium sativum L.). Food Sci Technol 16:963-966 

  13. Jeong JH. 1998. Quality changes of fresh garlic past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Nutr 11:278-282 

  14. Kikuzak H, Nakatani N. 1993. Antioxidant effect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58:1407-1410 

  15. Kim BS, Park NH, Park MH, Han BH, Bae TJ. 1990. Manufacture of garlic juice and prediction of its boiling point ris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486-491 

  16. Kim MK, Kim SY, Woo CJ, Kim SD. 1994. Effect of air controlled fermentation on Kimchi quality. J Korean Soc Food Nutr 23:268-273 

  17. Kim YD, Seo JS, Kim KJ, Kim KM, Hur CK, Cho IK. 2005. 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12:161-165 

  18.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331-336 

  19. Lee HS, Yang ST, Ryu BH. 2011.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lipid improvement in rats fed with high fatcholesterol diet. J Life Sci 21:884-892 

  20.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5:519-526 

  21. Mazelis M, Crews L. 1968. Purification of the alliin lyase of garlic, Allium sativum L. Biochem J 108:725-730 

  22. Moreno M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nopharmacol 71: 109-114 

  23.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169-182 

  24. Ruffin J, Hutter S. A. 1983. An evaluation of the side effects of garlic as an antihypertensive agent. Cytobios 37:85-89 

  25.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Sung N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garlic(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65-971 

  26. Shin SH, Kim MK. 2004. Effect of dried powders or ethanol extracts of garlic flesh and peel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16-mouth-old rats. Korean J Nutr 37:633-644 

  27. Sohn KH, Lim JK, Kong UY, Park JY. 1996. High pressure inactivation of alliinase and its effects on flavor of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28:593-599 

  28. Stoll A, Seebeck E. 1951. Chemical investigations on alliin, 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 Enzymol 11:377-399 

  29. Sung NJ. 2008. Physicochemical compon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black garlic. Food Preserv & Processing Industry 7:45-53 

  30. Yu KW, Hwang JH, Keum JH, Lee KH.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seasoning with black garlic. Korean J Food Nutr 29:677-6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