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
Experience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2, 2017년, pp.421 - 429  

진주혜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소년 및 성인기 초기 연령의 스마트폰 사용자는 급증하였고,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질적 연구를 통한 접근은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험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이용하여 중독자를 선별하였고, 고위험군 중에서 최종 1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일대일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면담은 녹음과 녹취 과정을 거쳐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주요 범주는 '중독의 악순환'으로, 세부 범주는 금단 증상의 자각, 다양한 부정적 결과 경험, 중독으로부터 탈출 시도, 중독된 현실에 안주함 이었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는 연구 참여를 통해 중독의 심각성을 깨달았으며,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정서적, 대인관계적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들을 이해하고, 중독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학교 기반 프로그램을 개선, 개발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igh rates of smartphone usage among younger people and the negative impacts are well-known, but there remains a paucity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opic.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ed to smartphones. The author conducted in-depth indivi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의 중독 경험을 심층 탐색하기 위해 귀납적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양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면담 대상자를 선별하여 중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의 구체적인 주관적 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독 과정의 시작이자 중독 자각에 대한 결정적인 계기는 금단 증상의 경험이었는데, 스마트폰과 거리상 분리되거나 사용을 의지적으로 중단, 혹은 줄이게 될 경우 나타나는 초조나 불안과 같은 심리적 증상이 양적 연구를 토대로 마련된 중독 척도의 주요 개념 항목과 유사하게 나타났다[26].
  •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을 이용하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을 탐색하였다. 중독 척도 점수 상 고위험 대상군을 참여자로 하여 구체적인 중독 경험 일화를 확인하였으며, 금단 증상을 통한 중독 자각, 각종 부정적인 사건 경험, 중독 탈출의 시도, 그리고 중독 현실에 머물 수밖에 없는 악순환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경험자가 처한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한 핵심 개념인 중독 경험의 악순환은 금단 증상 자각에서 중독에의 안주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학생 중독자가 있음을 확인하게 하였고, 구체적인 일화로 그 증거를 뒷받침하였다. 추후 대학생 중독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근본적인 치료적 도움, 행동수정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기기 사용을 않더라도 적절하고 건강하게 사회적 관계를 맺고 소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훈련도 함께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의 중독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하기 위함이며, 연구 질문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개념적 실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추후 중독 예방 및 치료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자의 중독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하기 위함이며, 연구 질문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험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중독이란? 국내에서 스마트폰 중독 인구가 꾸준히 증가되고 사회적으로 이슈화되면서 최근 몇 년간 관련 연구에서 과도하게 몰입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한 개인의 자기통제력 상실과 그로 인해 파급된 각종 일상생활에서의 장애를 스마트폰 중독이라 정의하고 있다[4, 5]. 하지만 보다 포괄적이고 선행된 연구 분야인 인터넷 중독과 비교할 때 스마트폰 중독은 보다 명확한 개념화를 위한 다각도의 추가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2013년 보고된 국내 스마트폰 중독자는 몇명이며 주된 연령층은? 국내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6년 3월 기준 91%로 우리나라 인구의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보유, 사용하고 있다[1]. 하지만 보급률 증가와 더불어 스마트폰 중독 또한 꾸준히 늘어나 2013년 보고된 국내 스마트폰 중독자는 만오천 명을 넘어 중독률이 11.8%에 달하며, 10대와 20대 연령층이 주요 중독 집단군으로 보고되었다[2]. 이러한 취약 인구 집단 중에서 대학생은 중·고등학교 시절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와 해방을 만끽하는 시기로 학교생활 중 스마트폰 사용이 훨씬 자유롭다.
스마트폰 중독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보다도 국내 질적 연구를 통한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관한 지식은 극소수에 불과하며[6], 대다수의 양적 연구를 통한 스마트폰 중독이 보고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로는 두통, 손가락이나 어깨 통증 등의 근골격계 증상, 눈의 피로, 시력저하나 안구건조와 같은 눈 증상, 수면장애를 포함하는 신체적 문제, 그리고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신적 문제가 두루 알려져 있다[7-12]. 국외에서는 90년대 후반 소수 연구자들을 선두로 인간과 테크놀로지 간의 상호작용에 매개된 인터넷 중독에 대한 개념화가 주로 이루어졌는데[13, 14], 중독이란 개념적으로 특정 활동에 대한 습관화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등 다양한 차원의 안녕에 있어서 중차대한 결과를 초래함을 내포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rend Spectrum. Mobile Trend in the first half of 2016, DIGIECO, Issue & Trend 2016,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11047&board_idissue_trend, November 14, 2016.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Smartphone addiction, Statistics Korea, 2015,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27&tblIdDT_12019_B000B&vw_cdMT_ZTITLE&list_id110_12019_VVV&conn_pathF0&path, November 14, 2016. 

  3. S. Y. Park, G. Im, "Suggestions for building 'Smart Campus' based on cas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s with Smart-Pad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3, pp. 1-12, 2012. 

  4. H. Y. Kang, C. H. Par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1, No. 2, pp. 563-580, 2012. 

  5. Yong-Min Park, "A study on adults'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Master's thesis, p. 6, Sangji University, 2011. 

  6. M. J. Lee, K. S. Ko,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features of smartphone use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9, pp. 301-310, 2013. 

  7. J. Y. Yun, J. S. Moon, M. J. Kim, Y. J. Kim, H. A. Kim, B. L. Huh, J. U. Kim, S. Y. Chung, J. E. Chung, H. J. Chung, E. H. Lee, J. H. Choi, S. Y. Hong, J. Y. Bae, H. J. Park, H. J. Hong, "Smartphone addiction and health problem in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3, No. 2, pp. 92-104, 2011. 

  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 study on featur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smart-media addiction (Report No.: NIA IV-RER-12090),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9. H. J. Dan, N. H. Bae, C. M. Koo, X. Wu, M. Y. Kim, "Relationship of smartphone addiction to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eth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3, pp. 277-286, 2015. 

  10. K. G. Im, S. J. Hwang, M. A. Choi, N. R. Seo, J. N. Byun,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iatric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 26, No. 2, pp. 124-131, 2013. 

  11. H. J. Kang,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use,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Focusing on smartphone uses' attitud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3, pp. 484-489, 2016. 

  12. K. E. Lee, S. H. Kim, T. Y. Ha, Y. M. Yoo, J. J. Han, J. H. Jung, J. Y. Jang, "Dependency on smartphone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anxiety in Korea. Public Health Report", Vol. 131, No. 3, pp. 411-419, 2016. 

  13. M. D. Griffiths, "Technological addictions. Clinical Psychology Forum", Vol. 76, pp. 14-19, 1995. 

  14.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Vol. 1, No. 1, pp. 237-244, 1998. 

  15. S. Haug, R. P. Castro, M. Kwon, A. Filler, T. Kowatsch, M. P. Schaub,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young people in Switzerland.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 4, No. 4, pp. 299-307, 2015. 

  16. M. O. Yu, S. J. Ju, J. H. Kim, "A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and impulsive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at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 409-418, 2014. 

  17. K. Demirci, M. Akgonul, A. Akpinar, "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 4, No. 2, pp. 85-92, 2015. 

  18. H, J. Kim, J. Y. Rha, "Is smartphone smart for everybody? A study of smartphone user typ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 pp. 37-47, 2015. 

  19. S. S. Han, K. S. Oh, "A study on cellular phone addiction symptom depend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s and using inclination: Focus on the case of undergraduates.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0, pp. 371-405, 2006. 

  20. S. Cassidy, "Using social identity to explore the link between a decline in adolescent smoking and an increase in mobile phone use. Health Education", Vol. 106, pp. 238-250, 2006. 

  21. M. D. Griffiths, D. J. Kuss, J. Billieux, H. M. Pontes, "The evolution of Internet addiction: A global perspective. Addictive Behaviors", Vol. 53, pp. 193-195, 2016. 

  22. J. L. Han, G. H. Hu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Vol. 48, No. 6, pp. 138-165, 2004. 

  23. D. I. Kim, Y. J. Chung, J. Y. Lee, M. C. Kim, Y. H. Lee, E. B. Kang, C. M. Keum, J. E. Nam,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 Self-repor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3, No. 2, pp. 629-644, 2012. 

  24. S. Elo, H. Kynga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2, No. 1, pp. 107-115, 2008. 

  25. E. G. Guba,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Journal", Vol. 29, pp. 75-92, 1981. 

  26. H. G. Lee, "Exploration of the predicting variables affecting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2, pp. 133-157, 2008. 

  27. D. Kaptsis, D. L. King, P. H. Delfabbro, M. Gradisar, "Withdrawal symptoms in internet gaming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 43, pp. 59-66, 2016. 

  28. A. Blaszezynsk, Z. Steel, N. McConaghy, "Impulsivity in pathological gambling: The antisocial impulsivity. Addiction", Vol. 92, No. 1, pp. 75-87, 1997. 

  29. M. K. Cho,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use motivations, addiction,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5, pp. 311-323, 2014. 

  30. W. Li, J. E. O'Brien, S. M. Snyder, M. O. Howar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addiction/ pathological internet use in U.S. university students: A qualitative-method investigation. PLoS ONE", Vol. 10, No. 2, e011737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