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거주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Factors Related to Sarcopenic Obesit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1, 2017년, pp.30 - 37  

이민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revalence and identify factors related to sarcopenic obesit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Methods: This i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prospective cohort study. Our analysis included 338 elderly women (${\geq}65$ years old) i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을 확인하고, 근감소성 비만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강점은 동양인에게 적합한 근감소증 진단기준을 적용하고, 실제적으로 중요한 건강관련 요인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데 있다.
  • 본 연구는 동양인에 적합한 기준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을 확인하고, 건강관련 요인을 포괄적으로 포함하여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의료서비스의 인적, 물적 자원의 제한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근감소성 비만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지역사회 수준의 예방 간호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간호학적 의의가 있다. 향후 실무에서 근감소성 비만 발생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본 연구에서 규명된 중요한 건강관련 요인인 신체 내 단백질량과 관련된 영양, 다약제복용, 피로도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을 확인하고, 관련요인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2차 분석연구이다. 원자료는 지역사회 노인 건강 코호트 연구로, 이는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건강행위 중심 코호트를 구축하여 질병과 건강상태의 자연경과, 예후 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을 확인하고, 근감소성 비만의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을 확인하고, 근감소성 비만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강점은 동양인에게 적합한 근감소증 진단기준을 적용하고, 실제적으로 중요한 건강관련 요인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은 6.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유병률을 확인하고, 관련요인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2차 분석연구이다. 원자료는 지역사회 노인 건강 코호트 연구로, 이는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건강행위 중심 코호트를 구축하여 질병과 건강상태의 자연경과, 예후 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지방량 증가와 근력의 감소는 노인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여러 종단적 연구에서 체지방량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여 60-75세경 최고치에 도달하고[1], 근육량은 60세 이후에 더욱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노인에서 체지방량 증가로 인한 비만은 건강상태 악화, 기능 장애, 삶의 질 저하에 매우 큰 위험요인이며[3], 근력의 감소는 입원, 사망의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4]. 특히, 근육량의 감소와 체지방량의 증가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5], 이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근감소성비만이라한다.
노인의 노화 중 가장 중요한 신체 변화는 무엇인가? 노인은 노화로 인하여 신체 조성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 지방량과 근육량의 변화가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여러 종단적 연구에서 체지방량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여 60-75세경 최고치에 도달하고[1], 근육량은 60세 이후에 더욱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노인의 유산소 신체활동은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2%에 불가하여, 우리나라 노인이 신체활동 저하와 좌식생활양식으로 인해서 근감소성 비만 발생 위험에 놓여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여성노인이 동일 연령대 남성에 비해서 신체활동 실천율이 저조하였는데, 여성노인은 남성에 비해서 체지방량이 높고, 상대적으로 근력도 낮아 비만이나 근감소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10]. 여성노인이 비만이되면, 근력이 조금만 감소하여도 거동장애나 체중부하로 인한 어려움이 생겨 노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그로 인한 결과가 더 심각하게 발현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ing J, Kritchevsky SB, Newman AB, Taaffe DR, Nicklas BJ, Visser M, et al. Effects of birth cohort and age on body composition in a sample of community-based elderly.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7;85(2):405-410. 

  2. Frontera WR, Hughes VA, Fielding RA, Fiatarone MA, Evans WJ, Roubenoff R. Aging of skeletal muscle: a 12-y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0;88(4):1321-1326. 

  3. Alley DE, Chang VW. The changing relationship of obesity and disability, 1988-2004. JAMA. 2007;298(17):2020-2027. http://dx.doi.org/10.1001/jama.298.17.2020 

  4. Visser M, Goodpaster BH, Kritchevsky SB, Newman AB, Nevitt M, Rubin SM, et al.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muscle fat infiltration as predictors of incident mobility limitations in well-functioning older perso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5;60(3): 324-333. http://dx.doi.org/10.1093/gerona/60.3.324 

  5. Malafarina V, Uriz-Otano F, Iniesta R, Gil-Guerrero L. Sarcopenia in the elderly: diagnosis, physiopathology and treatment. Maturitas. 2012;71(2):109-114. http://dx.doi.org/10.1016/j.maturitas.2011.11.012 

  6. Baumgartner RN. Body composition in healthy aging.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0;904(1):437-448. http://dx.doi.org/10.1111/j.1749-6632.2000.tb06498.x 

  7. Stenholm S, Alley D, Bandinelli S, Griswold M, Koskinen S, Rantanen T, et al. The effect of obesity combined with low muscle strength on decline in mobility in older persons: results from the InCHIANTI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9;33(6):635-644. http://dx.doi.org/10.1038/ijo.2009.62 

  8. Rolland Y, Lauwers-Cances V, Cristini C, van Kan GA, Janssen I, Morley JE, et al. Difficulties with physical function associated with obesity, sarcopenia, and sarcopenic-obesi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the EPIDOS (EPIDemiologie de l'OSteoporose)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9;89(6):1895-1900. http://dx.doi.org/10.3945/ajcn.2008.26950 

  9. Marcell TJ. Review article: sarcopenia: causes, consequences, and preventio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3;58(10):M911-M916. http://dx.doi.org/10.1093/gerona/58.10.M911 

  10. Visser M, Kritchevsky SB, Goodpaster BH, Newman AB, Nevitt M, Stamm E, et al. Leg muscle mass and composition in relation to lower extremity performance in men and women aged 70 to 79: the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2;50(5):897-904. http://dx.doi.org/10.1046/j.1532-5415.2002.50217.x 

  11. Stenholm S, Sainio P, Rantanen T, Alanen E, Koskinen S. Effect of co-morbidity on the association of high body mass index with walking limitation among men and women aged 55 years and older.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007;19(4):277-283. http://dx.doi.org/10.1007/BF03324702 

  12. Baumgartner RN, Koehler KM, Gallagher D, Romero L, Heymsfield SB, Ross RR, et al. Epidemiology of sarcopenia among the elderly in New Mexico.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98;147(8):755-763. http://dx.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009520 

  13. Chen LK, Liu LK, Woo J, Assantachai P, Auyeung TW, Bahyah KS, et al. Sarcopenia in Asia: consensus report of the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4;15(2):95-101. http://dx.doi.org/10.1016/j.jamda.2013.11.025 

  14. Marsh AP, Wrights AP, Haakonssen EH, Dobrosielski MA, Chmelo EA, Barnard RT, et al. The virtual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15; 70(10):1233-1241. http://dx.doi.org/10.1093/gerona/glv029 

  15. Park YH, Chang HK. Effect of a health coaching self-management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multimorbidity in nursing homes. 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2014;8:959-970. http://dx.doi.org/10.2147/PPA.S62411 

  16.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17. Diouf I, Charles MA, Ducimetiere P, Basdevant A, Eschwege E, Heude B. Evolution of obesity prevalence in France: an age-period-cohort analysis. Epidemiology (Cambridge, Mass). 2010;21(3):360-365. http://dx.doi.org/10.1097/EDE.0b013e3181d5bff5 

  18. Li Z, Maglione M, Tu W, Mojica W, Arterburn D, Shugarman LR, et al. Meta-analysis: pharmacologic treatment of obesity.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5; 142(7):532-546. http://dx.doi.org/10.7326/0003-4819-142-7-200504050-00012 

  19. Kim YS, Lee Y, Chung YS, Lee DJ, Joo NS, Hong D, et al.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based on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12;67(10):1107-1113. http://dx.doi.org/10.1093/gerona/gls071 

  20. Waters D, Baumgartner R, Garry P, Vellas B. Advantages of dietary, exercise-related,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prevent and treat sarcopenia in adult patients: an update.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0;5:259-270. http://dx.doi.org/10.2147/CIA.S6920 

  21. Hwang B, Lim JY, Lee J, Choi NK, Ahn YO, Park BJ. Prevalence rate and associated factors of sarcopenic obesity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2;27(7):748-755. http://dx.doi.org/10.3346/jkms.2012.27.7.748 

  22. Kim HH, Kim JS, Yu JO. Factors contributing to sarcopenia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4;16(2):170-179. http://dx.doi.org/10.17079/jkgn.2014.16.2.170 

  23. Breen L, Phillips SM. Skeletal muscle protein metabolism in the elderly: interventions to counteract the anabolic resistance of ageing. Nutrition & Metabolism. 2011;8:68. http://dx.doi.org/10.1186/1743-7075-8-68 

  24. Solerte SB, Gazzaruso C, Bonacasa R, Rondanelli M, Zamboni M, Basso C, et al. Nutritional supplements with oral amino acid mixtures increases whole-body lean mass and insulin sensitivity in elderly subjects with sarcopenia.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8;101(11):S69-S77. http://dx.doi.org/10.1016/j.amjcard.2008.03.004 

  25. Ashley JM, Herzog H, Clodfelter S, Bovee V, Schrage J, Pritsos C. Nutrient adequacy during weight loss interventions: a randomized study in women comparing the dietary intake in a meal replacement group with a traditional food group. Nutrition Journal. 2007;6:12. http://dx.doi.org/10.1186/1475-2891-6-12 

  26. Hajjar ER, Cafiero AC, Hanlon JT. Polypharmacy in elderly pat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harmacotherapy. 2007;5(4):345-351. http://dx.doi.org/10.1016/j.amjopharm.2007.12.002 

  27. Agostini JV, Han L, Tinetti ME.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medications and weight loss or impaired balance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4;52(10):1719-1723.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4.52467.x 

  28. Nelson ME, Rejeski WJ, Blair SN, Duncan PW, Judge JO, King AC,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in older adults: recommendation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7;116(9): 1094-1105.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7.185650 

  29. Davidson LE, Hudson R, Kilpatrick K, Kuk JL, McMillan K, Janiszewski PM, et al. Effects of exercise modality on insulin resistance and functional limitation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9;169(2):122-131. http://dx.doi.org/10.1001/archinternmed.2008.558 

  30. Beaudart C, Reginster JY, Slomian J, Buckinx F, Dardenne N, Quabron A, et al. Estimation of sarcopenia prevalence using various assessment tools. Experimental Gerontology. 2015;61:31-37. http://dx.doi.org/10.1016/j.exger.2014.11.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