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기류제한 정도와 주관적 건강상태

The Airflow Obstruc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Resid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1, 2017년, pp.38 - 47  

송희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flow obstruc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reported by stabl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residing in the community.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78 stabl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병기간은 대상자가 최초 COPD 진단을 받은 시점과 자료수집 시점 간의 년수로 계산하였으며,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 유무는COPD 환자에게 대상자의 건강상태 및 예후와의 관련성이 높은 빈발하는 동반질환으로 제시되어 온 고혈압과 심장질환[4] 여부를 포함하였으며 이상의 내용은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흡연상태는 흡연한적 없음, 금연, 그리고 현재 흡연 여부에 대해 대상자에게 자가 보고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COPD 환자의 포괄적 상태 사정과 감시를 위한 도구들이 시간과 비용 소모가 요구되는 제한이 있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 못하였고, 주로 급성 악화 등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태 악화의 위험을 사전에 확인하는 예방적 접근이 미비하였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도구보다 간단하고 임상에서 용이하게 활용가능한 도구로 제시된 CAT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안정된 COPD 환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되, 이러한 주관적 지표가 기존에 사용되어 온 객관적 지표인 기류제한 정도를 나타내는 FEV1와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주관적 건강상태가 안정된 COPD 환자의 실제 객관적인 기능상태 반영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안정된 COPD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류제한의 정도를 나타내는 객관적 지표인 FEV1 과 질병 관련 지표들, 그리고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CAT를 적용하여 조사한 후, 이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FEV1과 말초동맥 산소포화도가 높을수록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어 COPD 환자 상태와 관련된 객관적 지표와 자가보고된 주관적 지표 간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COPD 환자 관리시 기도폐쇄 이외에 임상에서 주목이 필요하고 임상적으로 의의있는 정기적 측정을 위해 실제 활용 가능성이 있는 지표를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안정된 COPD 환자에서 현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기류제한 정도 및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안정된 COPD 환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되 임상에서 실제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어 정기적인 측정이 가능한 도구를 적용하고, 기존에 사용되어 온 객관적 지표인 기류제한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COPD 환자에서 기능적 상태의 객관적 지표로 제시되어 온 1초간 강제 호기량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안정된 COPD 환자를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되 임상에서 실제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어 정기적인 측정이 가능한 도구를 적용하고, 기존에 사용되어 온 객관적 지표인 기류제한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COPD 환자에서 기능적 상태의 객관적 지표로 제시되어 온 1초간 강제 호기량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을 포함하여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들과 함께 환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건강상태를 조사한 후, 이 변수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에 널리 활용되어 온 객관적 지표와 함께 대상자의 자가 보고를 포함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조사함으로써 COPD 환자의 증상호소와 질환의 심각성 등 매우 다양한 임상양상의[6] 포괄적 사정과 감시를 위한 접근을 시도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안정된 상태의 COPD 환자를 대상으로 기류제한 정도와 주관적 건강상태를 조사하는 것은 환자의 현재 질환정도를 사정함으로써 질환의 진행 및 합병증 발생과 악화의 예방, 그리고 폐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COPD 환자 관리의 전반적 목표[5]에 부합하는 관점에서의 접근이라 하겠다.
  • 이를 통해 안정된 COPD 환자 관리 시 악화 위험의 감시와 포괄적인 대상자 사정에 필수적인 주관적 건강상태를 정기적으로 측정하는데 있어 임상에서 실제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도구와 그 적용의 적절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치료의 결정과 효과 감시를 위한 주요 지표 중 폐의 기류제한의 정도는 무엇인가? 특히, 질환의 중증도와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하고 치료 효과와 대상자 예후의 지속적 감시가 강조되어 왔는데[3], 대상자의치료효과와 예후 측정을 위해 다양한 지표들이 사용 되어 왔다. 이중 만성적인 기도 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의 특성 상 COPD의 중증도 단계를 나누고 치료의 결정과 효과 감시를 위한 주요 지표로 폐의 기류제한(degree of airflow obstruction)의 정도가 중시되어왔는데[4], 폐활량계(spirometry)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결과 중 1초간 강제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이 그것이다[5].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오랜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비가역적 질환으로[1] 증상이 악화되고 그 중증도 증가에 따라 과다 의료비용 지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만성 질환이 중증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체계적 노력과 효과적인 관리가 중요하다[2].
COPD를 예방하는 방법은? COPD 환자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서는 약물요법과 비약물 요법을 병행하여[3] 호흡곤란 등의 증상 완화와 일상생활 등 활동성 유지에 초점을 두어 대상자의 신체적, 사회적 기능수행과 자율성을최적화하고 급격한 악화를 예방하여야 한다[1]. 특히, 질환의 중증도와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하고 치료 효과와 대상자 예후의 지속적 감시가 강조되어 왔는데[3], 대상자의치료효과와 예후 측정을 위해 다양한 지표들이 사용 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ici L, Donner C, Wouters E, Zuwallack R, Ambrosino N, Bourbeau J, et al.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statement on pulmonary 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6;173(12):1390-1413. http://dx.doi.org/10.1164/rccm.200508-1211ST 

  2. Yoon HS. Health insurance policies preparing the aging society. KDI Economic trend, 2013;2:31-42. 

  3. Vestbo J, Hurd SS, Agusti AG, Jones PW, Vogelmeier C, Anzueto A, et al.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13;187(4):347-365. http://dx.doi.org/10.1164/rccm.201204-0596PP 

  4. Dijk WD, Bemt L, Haak-Rongen S, Bischoff E, Weel C, Veen JC, et al. Multidimensional prognostic indices for use in COPD patient care. A systematic review. Respiratory Research, 2011;12:151-161. http://dx.doi.org/10.1186/1465-9921-12-151 

  5. Esteban C, Quintana JM, Aburto M, Moraza J, Capelastegui A. A simple score for assessing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QJM : Monthl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Physicians. 2006;99(11):751-759. http://dx.doi.org/10.1093/qjmed/hcl110 

  6. Van der Molen T, Diamant Z, Kocks JW, Tsiligianni IG. The use of health status questionnaires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 Expert Review of Respiratory Medicine. 2014;8(4):479-491. http://dx.doi.org/10.1586/17476348.2014.918851 

  7. Jones PW, Quirk FH, Baveystock CM, Littlejohns P. A self-complete measure of health status for chronic airflow limitation: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The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 1992;145(6):1321-1327. http://dx.doi.org/10.1164/ajrccm/145.6.1321 

  8. Guyatt GH, Berman LB, Townsend M, Pugsley SO, Chambers LW. A measure of quality of life for clinical trials in chronic lung disease. Thorax. 1987;42(10):773-778. http://dx.doi.org/10.1136/thx.42.10.773 

  9. McGarvey L. Keeping up appearance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health status in COPD. Thorax. 2015;70(9):813-814. http://dx.doi.org/10.1136/thoraxjnl-2015-207355 

  10. Jones PW, Harding G, Berry P, Wiklund I, Chen WH, Kline Leidy N. Development and first validation of the COPD Assessment Test. Th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09;34(3):648-654. http://dx.doi.org/10.1183/09031936.00102509 

  11. Silva GP, Morano MT, Viana CM, Magalhaes CB, Pereira ED. Portuguese-language version of the COPD Assessment Test: validation for use in Brazil. Jornal Brasileiro de Pneumologia. 2013;39(4):402-408. http://dx.doi.org/10.1590/S1806-37132013000400002 

  12. Kim S, Oh J, Kim YI, Ban HJ, Kwon YS, Oh IJ, et al.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of COPD group using COPD assessment test (CAT) or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mMRC) dyspnea scores: a cross-sectional analyses. BMC Pulmonary Medicine. 2013;13:35. http://dx.doi.org/10.1186/1471-2466-13-35 

  13. Lee CH, Ko SJ, Kwak NW, Kim JH, Bae W, Lee HY, et al. Comparison betwee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ment Test (CAT) and modified medical round council (mMRC) in COPD patients. Conference Proceeding of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of Respiratory Disease. 2012;114(0):225. 

  14. Irwin DE, Atwood CA, Jr., Hays RD, Spritzer K, Liu H, Donohue JF, et al. Correlation of PROMIS scales and clinical measures amo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with and without exacerbations. Quality of Life Research. 2015;24(4):999-1009. http://dx.doi.org/10.1007/s11136-014-0818-1 

  1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1988.109-138. 

  16. Vercoulen JH, Daudey L, Molema J, Vos PJ, Peters JB, Top M, et al. An Integral assessment framework of health statu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8;15(4):263-279. http://dx.doi.org/10.1080/10705500802365474 

  17. Bestall JC, Paul EA, Garrod R, Garnham R, Jones PW, Wedzicha JA. Usefulness of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MRC) dyspnoea scale as a measure of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orax. 1999;54(7):581-586. http://dx.doi.org/10.1136/thx.54.7.581 

  18. American Thoracic Society. Standardization of Spirometry, 1994 Updat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995;152(3): 1107-1136. http://dx.doi.org/10.1164/ajrccm.152.3.7663792 

  19. Jones PW. Health status and the spiral of decline. COPD. 2009;6(1):59-63. http://dx.doi.org/10.1080/15412550802587943 

  20. Hwang YI, Jung KS, Lim SY, Lee YS, Kwon NH. A Valid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ment Test (CAT).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13;74(6):256-263. http://dx.doi.org/10.4046/trd.2013.74.6.256 

  21. Agusti A, Soler-Cataluna JJ, Molina J, Morejon E, Garcia-Losa M, Roset M, et al. Does the COPD assessment test (CATTM) questionnaire produce similar results when self- or interviewer administered? Quality of Life Research. 2015;24(10):2345-2354. http://dx.doi.org/10.1007/s11136-015-0983-x 

  22. Wedzicha JA, Seemungal TA, MacCallum PK, Paul EA, Donaldson GC, Bhowmik A, et al.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re accompanied by elevations of plasma fibrinogen and serum IL-6 levels. Thrombosis and Haemostasis. 2000;84(2):210-215. 

  23. Donaldson GC, Hurst JR, Smith CJ, Hubbard RB, Wedzicha JA. Increase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following exacerbation of COPD. Chest. 2010;137(5):1091-1097. http://dx.doi.org/10.1378/chest.09-2029 

  24. Ham HS, Lee HY, Lee SJ, Cho YJ, Jung YY, Kim HC, et al.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inflammatory marker, oxidative stress and body mass index in stable COPD patient.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6;61(4):330-338. http://dx.doi.org/10.4046/trd.2006.61.4.330 

  25. Wilke S, Jones PW, Mullerova H, Vestbo J, Tal-Singer R, Franssen FM, et al. One-year change in health status and subsequent outcomes in COPD. Thorax. 2015;70(5):420-425. http://dx.doi.org/10.1136/thoraxjnl-2014-205697 

  26. Cunningham S, McMurray A. The availability and use of oxygen saturation monitoring in primary care in order to assess asthma severity. Primary Care Respiratory Journal. 2006;15(2):98-101. http://dx.doi.org/10.1016/j.pcrj.2006.01.005 

  27. Schermer T, Leenders J, in 't Veen H, van den Bosch W, Wissink A, Smeele I, et al. Pulse oximetry in family practice: indications and clinical observations in patients with COPD. Family Practice. 2009;26(6):524-531. http://dx.doi.org/10.1093/fampra/cmp063 

  28. Jensen LA, Onyskiw JE, Prasad NG. Meta-analysis of arterial oxygen saturation monitoring by pulse oximetry in adults. Heart & Lung. 1998;27(6):387-4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