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발성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환아 2례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Idiopathic Precocious Puberty in Two Children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1 no.1, 2017년, pp.74 - 81  

이혜림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유화승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동서암센터) ,  박승찬 (하이키 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ase of precocious puberty in two children treated by taking herbal medicine. Methods Two patients diagnosed with precocious puberty were prescribed Jogyeongseongjang-tang and were observed the effect of treatment on height, body weight, body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조숙증으로 내원한 환아 2례에 대하여, 調經成長湯을 투여하여 급격한 사춘기 진행을 억제하고, 최종 키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유의한 효과가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한의계 연구는 원인 및 임상적 분석20), 단기 치료 후 호르몬 변화를 관찰한 증례연구21-2)가 보고되었으나 장기간 치료를 통해 호르몬 변화 및 성장 효과를 관찰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1년 이상 장기 치료를 통해 급격한 사춘기 진행을 억제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한 임상증례에 대해 유효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調經成長湯 투여로 급격한 사춘기 진행을 억제하고, 최종키의 손실을 최소화한 환아 2례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자의 검사, 시술에 대한 추가 수집을 하지 않고 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보고하는 2례에 대한 증례보고로 대전대학교둔산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에서 심의면제를 받았다 (DJDSKH-17-E-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조숙증이란 무엇인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정상적인 사춘기 유발 기전이 여아에서 8세 미만, 남아에서 9세 미만에 발생되는 경우를 특발성 성조숙증이라 한다1). 2차 성징의 발달은 남아에서 고환의 크기 증가, 여아에서 유방 발달이 가장 먼저 관찰되고, 성조숙증 환아는 2차 성징의 진행속도가 정상보다 빠르며, 임상소견의 발달과 진행이 기복을 보이기도 한다2).
성조숙증 치료의 한방적인 치료법은 어떤것이 있는가 ? 이에 저자는 調經成長湯 투여로 급격한 사춘기 진행을 억제하고, 최종키의 손실을 최소화한 환아 2례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자의 검사, 시술에 대한 추가 수집을 하지 않고 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보고하는 2례에 대한 증례보고로 대전대학교둔산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에서 심의면제를 받았다 (DJDSKH-17-E-01).
성조숙증 환아의 2차 성징 특징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정상적인 사춘기 유발 기전이 여아에서 8세 미만, 남아에서 9세 미만에 발생되는 경우를 특발성 성조숙증이라 한다1). 2차 성징의 발달은 남아에서 고환의 크기 증가, 여아에서 유방 발달이 가장 먼저 관찰되고, 성조숙증 환아는 2차 성징의 진행속도가 정상보다 빠르며, 임상소견의 발달과 진행이 기복을 보이기도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rberoglu M. Precocious puberty and normal variant puberty: definition, etiology, diagnosis and current management. J Clin Res Pediatr Endocrinol. 2009;1:164-74. 

  2.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Pediatric endocrinology. 3rd ed. Seoul: Koonja Press. 2014:417-35. 

  3. Carel JC, Lahlou N, Roger M, Chaussain JL. Precocious puberty and stature growth. Hum Reprod Update. 2004;10:135-47. 

  4. Choi KH, Park SC. An increase of patients diagnosed as precocious puberty among Korean children from 2010 to 2015. J Pediatr Korean Med. 2016;30(4):60-5. 

  5. Carel JC, Leger J. Precocious puberty. N Engl J Med. 2008;358:2366-77. 

  6. Partsch CJ, Sippell WG. Pathogenesis and epidemiology of precocious puberty, effects of exogenous oestrogens. Hum Reprod Update. 2001;7:292-302. 

  7. Roger M, Lahlou N, Chaussain JL.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testing in pediatrics. In: Ranke MB, editor. Diagnostics of endocrine 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eidelberg, Germany: Johann Ambrosius Barth Verlag. 1996:346-69. 

  8. Neely EK, Hintz RL, Wilson DM, Lee PA, Gau tier T, Argente J, Stene M. Normal ranges for immunochemiluminometric gonadotropin assays. J Pediatr. 1995;127:40-6. 

  9. Lim JS, Lee HS, Kim EY, Yi KH, Hwang JS. Early menarche increases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young and middle-aged Korean women. Diabet Med. 2015;32:521-5. 

  10. Baek TH, Lim NK, Kim MJ, Lee JW, Ryu SH, Chang YS, Choi Y, Park HY. Age at menarche and its association with dysglycemia in Korean middle-aged women. Menopause. 2015;22:542-8. 

  11. Gong TT, Wang YL, Ma XX. Age at menarche and endometrial cancer risk: a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Sci Rep. 2015;5:140-51. 

  12. Carel JC, Eugster EA, Rogol A, Ghizzoni L, Palmert MR. Consensus statement on the use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s in children. Pediatr. 2009;123:752-62. 

  13. Klein KO, Barnes KM, Jones JV, Feuillan PP, Cutler GB. Increased final height in precocious puberty after long-term treatment with LHRH agonists: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experience. J Clin Endocrinol Metab. 2001;86:4711-6. 

  14. Paul DL, Conte FA, Grumbach MM, Kaplan SL. Long-term effect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therapy on final and near-final height in 26 children with true precocious puberty treated at a median age of less than 5 years. J Clin Endocrinol Metab. 1995;80:546-51. 

  15. Lazar L, Padoa A, Phillip M. Growth pattern and final height after cessation of gonadotropin-suppressive therapy in girls with central sexual precoc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7;92:3483-9. 

  16. Baek KH, Jin DG. Etiology and age incidence of precocious puberty.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02;7(2):199-205. 

  17. Lee YJ, Lee KH. Overview and treatment of precocious puberty. J Korean Med Assoc. 2015;58(12):1138-44. 

  18. Kim EY. Long-term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s in girls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Korean J Pediatr. 2015;58(1):1-7. 

  19. Jung KM, Sin SH, Lee SA, Pakr MJ, Kim S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J Korean Health Psychol. 2012;17(2):461-77. 

  20. Kim KH, Shin DG, Kin DH. Estimated factor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diagnosed with idiopathic prcocious puberty. J Pediatr Korean Med. 2011;25(2):111-20. 

  21. Lim YK, Hur KW, Park SY, Suh KS, Chun SY, Lee SJ, Lee H, Kim HC. A case report of precocious puberty in a female patient: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trolling the sex hormone levels. J Pediatr Korean Med. 2014;28(4):64-70. 

  22. Kim JE, Yang SJ, Cho SH, Park KM. A report on the effect of Jowisengchoun-tang in 2 cases of precocious puberty.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2):178-87. 

  23.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Clinical Guidelines. Seoul: Ui hak moon hwa sa. 2011. 

  24. Carel JC, Leger J. Precocious puberty. N Engl J Med. 2008;358:2366-77. 

  25.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Y, Lee JY, Chang GT, Jung MJ, Chai JW, Cheon JH,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15:99-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