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특성에 대한 욕구가 패션성향과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on fashion orientation and consumption value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1, 2017년, pp.104 - 116  

주나안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규혜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지연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ople tend to maintain and express their individuality in unique ways.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is defined as an individual's pursuit that differentiates themselves from others, thereby developing and enhancing their personal ident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s' need for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그 동안 의류학에서는 독특성 욕구의 개념보다는 이와 상대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동조성에 관한 연구들이 많았으며, 독특성 욕구를 패션성향이나 소비가치와 연결시켜 연구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별하게 지각되어 다른 사람과 차별되고자 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소비자 독특성 욕구요인이 소비자의 패션성향과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독특성 욕구를 가진 소비자의 차원을 밝히고, 이들의 패션성향과 소비가치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으며, 실제 독특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설문 대상을 찾는 과정에서 독특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들이 많이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벤트를 서울 패션 위크로 한정하여 응답자의 대부분이 패션 관련 산업 종사자 및 전공자이며, 10대와 20대가 대부분이었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가 패션성향과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가 패션성향과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특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들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소비자 독특성 욕구는 ‘독창적 선택’, ‘유사성 회피’, ‘비순응적 선택’, ‘비대중적 선택’의 4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 연구문제 2.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가 소비자의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1.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가 소비자의 패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특한 개성에 대한 사회의 반응은? 사람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유지하고 표출하여 다른 사람과 구별되고자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는 일반적으로 규범에 대한 순응이라는 사회적 압력과 상충되며, 아직까지 많은 사회에서 사회적 규범에 반하는 행동은 비난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소비행위를 통한 독특성 욕구의 표출은 반사회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자존감을 높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는 긍정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소비행위를 통한 독특한 개성이 미치는 영향은? 이러한 욕구는 일반적으로 규범에 대한 순응이라는 사회적 압력과 상충되며, 아직까지 많은 사회에서 사회적 규범에 반하는 행동은 비난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소비행위를 통한 독특성 욕구의 표출은 반사회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자존감을 높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는 긍정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Snyder and Fromkin(1977)은 다른 사람과 구별되고자 하는 이러한 개인의 욕구를 독특성 욕구라 칭하고, 독특성 욕구에 따른 사회행동의 개인차를 연구하였으며, Tian, Bearden, and Hunter(2001)는 소비자 행동에서 독특성 욕구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한 바 있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란? Snyder and Fromkin(1977)은 다른 사람과 구별되고자 하는 이러한 개인의 욕구를 독특성 욕구라 칭하고, 독특성 욕구에 따른 사회행동의 개인차를 연구하였으며, Tian, Bearden, and Hunter(2001)는 소비자 행동에서 독특성 욕구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한 바 있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consumers’ need for uniqueness)는 상품의 습득과 사용, 처분과정을 타인과 상대적으로 차별적으로 함으로써 자기 이미지와 사회적 이미지의 발달과 고양을 도모하려는 욕구로 하나의 개인특질을 말한다(Tian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lk, R. W. (1988). Possessions and the exte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139-168. doi:10.1086/209154 

  2. Bertrandias, L., & Goldsmith, R. E. (2006). Some psychological motivations for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fashion opinion seeking.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0(1), 25-40. doi:10.1108/13612020610651105 

  3. Gim, W.-S., & Ryu, Y. J. (2003). Korean version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K-CNFU):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4(1), 79-101. 

  4. Gross, H. E. (1977). Micro and macro level implications for a sociology of virtue: The case of draft protesters to the Vietnam War. The Sociological Quarterly, 18(3), 319-339. doi:10.1111/j.1533-8525.1977.tb01418.x 

  5. Gutman, J., & Mills, M. K. (1982). Fashion life style, self-concept,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patronage: An integrative analysis. Journal of Retailing, 58(2), 64-86. 

  6. Heckert, D. M. (1989). The relativity of positive deviance: The case of the French impressionists. Deviant Behavior, 10(2), 131-144. doi:10.1080/01639625.1989.9967806 

  7. Holt, D. B. (1995). How consumers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1), 1-16. doi:10.1086/209431 

  8. Jeon, K. S., & Park, H. J. (2005). The effect of fashion orientation and consumer needs for uniqueness on buying intentions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2), 231-241. 

  9. Kim, I. (2010).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on the effects of scarcity message typ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K. H., & Chung, S. J. (2000).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conformity and clothing attitud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Seoul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3), 401-411. 

  11. Kim, S. H. (1999).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the relation betwee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involvement and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Y.-H. (2008). An empirical examination of consumers' innovation adoption: The role of innovativeness, fashion orientation, and utilitarian and hedonic consumers'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NC, USA. 

  13. Knight, D. K., & Kim, E. Y. (2007). Japanes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Effects on brand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1(2), 270-280. doi:10.1108/13612020710751428 

  14. Kron, J. (1983). Home-psych: The social psychology of home and decoration. New York: Potter. 

  15. Lee, K.-H., & Choi, J.-Y. (2011). Fashion orientation, goal-directed or experiential motivations, shopping flow experience and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3(2), 185-193. 

  16. Lumpkin, J. R. (1985). Shopping orientation segmentation of the elderly consume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3(1), 271-289. doi:10.1007/BF02729720 

  17. Lynn, M., & Harris, J. (1997). The desire for unique consumer products: A new individual differences scale. Psychology & Marketing, 14(6), 601-616. doi:10.1002/(SICI)1520-6793(199709)14:6 3.0.CO;2-B 

  18. Park, S.-J., & Park, S.-K. (2016). The effect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on brand, store and price switching inten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4(3), 1-9. 

  19.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doi:10.1016/0148-2963(91)90050-8 

  20. Simonson, I., & Nowlis, S. M. (2000). The role of explanations and need for uniqueness in consumer decision making: Unconventional choices based on reas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7(1), 49-68. doi:10.1086/314308 

  21. Snyder, C. R., & Fromkin, H. L. (1977). Abnormality as a positive characteristic: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measuring need for uniquenes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6(5), 518-527. doi:10.1037/0021-843X.86.5.518 

  22. Solomon, M. R., & Rabolt, N. J. (2004). Consumer behavior: In fashio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3. Tepper, K., & Hoyle, R. H. (1996). Latent variable models of need for uniquenes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1(4), 467-494. doi:10.1207/s15327906mbr3104_4 

  24. Tian, K. T., & McKenzie, K. (2001). The long-term predictive validity of the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0(3), 171-193. doi:10.1207/s15327663jcp1003_5 

  25. Tian, K. T., Bearden, W. O., & Hunter, G. L. (2001).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8(1), 50-66. doi:10.1086/321947 

  26. Vinson, D. E., Scott, J. E., & Lamont, L. M. (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1(2), 44-50. doi:10.2307/1250633 

  27. Workman, J. E., & Kidd, L. K. (2000). Use of the need for uniqueness scale to characterize fashion consumer group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4), 227-236. doi:10.1177/0887302X0001800402 

  28. Yuan, L., & Kim, J. H. (2015). The influence of the uniqueness for need on impulsive purchase, regrets and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hinese fashion product consumers.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3(2), 105-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