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산 외암마을 일원의 변화과정 추적을 통해 본 문화경관상(文化景觀相)
Shape of Cultural Landscape in Oeam Village, Asan by Investigating Change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4, 2017년, pp.88 - 97  

이창훈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아산 외암마을을 대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경관상(文化景觀相)을 살펴 마을의 소경관(素景觀)의 형성배경과 시기별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암기(巍巖記)"를 비롯한 여러 문헌에서 언급되는 외암마을의 주변 지형과 경관요소의 내용에서 과거 선인들에게 인식되었던 소경관의 내용을 확인하였고, 지형분석을 통해 외암마을이 형성되기 전에 흐르던 자연수계와 마을 내 인공수로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둘째, 외암마을의 경관변화를 특정 지을 수 있는 (1) 예안 이씨 동족촌의 확장기, (2) 마을 경관에 큰 변화가 없이 주민 간에 유기체적 관계를 형성하며 마을이 유지된 정체기, (3) 국가정책에 의해 마을 경관모자이크가 가장 크게 변하는 변화기, (4) 문화재 지정 이후 보존을 원칙으로 한 관광활용을 도모하는 보존 활용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셋째, 과거 마을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였던 지역은 마을의 동쪽에서 서측으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과거에는 마을의 동측지역에서 마을의 생성과 확장의 과정에서, 농업을 중심으로 한 기능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마을이 산업화와 관광화의 외부간섭을 받는 과정에서 마을의 서측에 위치한 진입부로 마을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중심지가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외암마을의 과거모습의 이해를 위한 문헌발굴과 해석을 통한 진정성 규명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며, 마을 내 세부 경관요소의 변화과정과 특성비교 등의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the Original landscape(始景觀) of Oeam Village based on the landscape that changes over time and the relevant factors and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First, Original landscape perceived by th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암마을 관련 조영배경 및 공간배치의 추정이 가능할 만한 시문, 예안 이씨일가의 가승집(家乘集), 조선시대 기록물 외에 근현대에 발간된 서적 및 보고서 내용을 기준으로 외암 마을의 조영배경과 변화과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고지도, 수치지형도, 항공사진, 위성사진 등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공간유추가 가능한 자료의 분석으로 주변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아산 외암마을에 조성된 시기별 변화와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고문헌, 관련기사, 사진자료, 위성사진 등을 바탕으로 변화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아산 외암마을의 형성과 소경관(素景觀, Original landscape) 이후 변화과정의 분석을 위해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원생 및 원시의 상태에서 인공의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 즉 자연 상태가 달라지는 과정에 있을 때 자연경관(自然景觀)과 원생경관(原生景觀)의 개념사이에서 혼동이 발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외암마을 입향조가 세거를 시작한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적 범위 안에서 외암마을 경관 및 공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로 판단되는 주요시기를 제1기(입향기∼일제강점기 이전), 제2기(일제강점기∼새마을 운동 이전), 제3기(새마을 운동 이후∼문화재지정 이전), 제4기(문화재지정 이후∼현재)로 나누고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외암마을 관련 조영배경 및 공간배치의 추정이 가능할 만한 시문, 예안 이씨일가의 가승집(家乘集), 조선시대 기록물 외에 근현대에 발간된 서적 및 보고서 내용을 기준으로 외암 마을의 조영배경과 변화과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고지도, 수치지형도, 항공사진, 위성사진 등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공간유추가 가능한 자료의 분석으로 주변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외암마을에 예안 이씨 일가가 입향한 시기부터 현재까지의 사회변화과정을 구분 지을 수 있는 4개의 시기의 변화요인과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외암마을이 동족촌락을 이룰 수 있었던 배경으로부터 마을을 둘러싼 환경에서 일어나는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요인과 추이를 살펴, 현재 외암마을과 연관하는 문화경 관상(文化景觀相, 인간집단에 의해 형성된 경관의 모든 모습이나 상태)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마을에 나타날 경관변화를 예측하고 마을 정비 시, 각 공간의 위계설정에 따른 보존관리를 위한 자료제공을 목적에 두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외암마을이 동족촌락을 이룰 수 있었던 배경으로부터 마을을 둘러싼 환경에서 일어나는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요인과 추이를 살펴, 현재 외암마을과 연관하는 문화경 관상(文化景觀相, 인간집단에 의해 형성된 경관의 모든 모습이나 상태)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마을에 나타날 경관변화를 예측하고 마을 정비 시, 각 공간의 위계설정에 따른 보존관리를 위한 자료제공을 목적에 두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산 외암마을의 형성과 기원에 근거한 전통민속마을에서의 진정성 회복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예안 이씨가의 마을 입향 시기부터 현재까지 주요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추가적인 문헌발굴과 해석을 통한 외암마을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규명하는 연구는 병행되어야 하며, 마을 내 세부 경관요소의 변화과정과 특성비교 등의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문헌조사 및 예비조사의 자료를 보완하여 6차례에 걸쳐 현장답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문헌에서 다루지 않거나 동일 사건의 해석이 다른 문헌에 대해, 가승되어 오는 자료를 바탕으로 변화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타 ArcGIS ver10.

가설 설정

  • 또한 새마을 안길 넓히기 사업으로 인해 농기계가 지나다닐 수 있는 도로폭으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돌담무르기가 실시되었고, 외암마을 동서방향의 중심길을 포함한 남북방향의 소로도 당시 사업으로 확장되었다.6) 현재 외암마을에 형성된 마을길은 새마을 운동 때 형성된 도로의 폭이다. 또한 지붕의 슬레이트 개량 작업이 이뤄졌으며, 마을입구에서 남측하천을 따라 설화리로 이어지는 도로공사가 개설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사란? 과거 일련의 사건들은 현재에는 경험이 되고, 문화로 치부되는 경험들은 전승된다. 다시 말하면, 과거와 현재는 상호간의 영향을 미치며, 역사란 과거를 통한 현재의 이해이자 현재를 통한 과거의 이해를 의미한다. 역사는 사회, 전체 사회에 관한 연구가 되며 따라서 그것은 과거에 대한 연구이자 또한 현재에 대한 연구가 되는 것이다[1][2].
외암마을이란? 충남 아산시 송악면에 위치한 외암마을은 예안 이씨(禮安李 氏)가 정착하고, 그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면서 인재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조선시대 반촌(班村)의 면모를 갖춘 우리나라 대표 민속마을이다. 이러한 아산 외암마을이 가지는 역사⋅전통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8년 ‘전통건조물보존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외암마을의 소경관은 어떠한가? 평촌(坪村)들판이 위치하고, 마을 앞면에 물줄기는 마을을 남사면을 서남방향으로 흐른다. 남쪽에는 면잠산이 위치하고 마을에서 바라보았을 때, 남산과 같다고 표현하고 있다. 현재 면잠산의 한 능선이 북으로 흘러 마을 앞쪽에서 위치한 것이 바람동산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audel (1972). Personal Testimony. Journal of Mordern History. 44(4): 467. 

  2. Braudel (1977). Afterthrought on Material Civilization and Capitalism. 46. 

  3. Lee, I. S.(1993).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Upper-Class housing in the OeAm-ri(外岩里) Village. Master's Thesis of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4. Lee, C. C.(2015).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in Traditional Village. Master's Thesis of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5. Kim, H. J.(2014). Study on the Sit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Korea Traditional village: A Case Study of Asan Oeam Village. 

  6. Kim. Y. K. and Nam. S. H.(2000). A Study on the Water Space in Woeam-ri Folk Villag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1): 60-69. 

  7. Sung, J. S. and Lee, E. S.(2005). A Study on the Ecological Context and the Sense of Place in the Folk Village of Foreign Folk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utumn Annual Conference. 79-86. 

  8. Gil, J. H.(2016). Research on prototype of Oeamli traditional folk village. Master's Thesis of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9. Jeon, J. H.(2006). The Landscape Prototype and the Landscape Dynamics of the Korean Folk Village 'Oeam-Ri'.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18(2): 38-56. 

  10. Jeong, K. W.(2009). A study on the character of the landscape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Master's Thesis of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1. Choi. H. K.(2001).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Oe-am Folk Village: Form 1988 to 2001. Master's Thesis of Mokwon University, Daejeon, Korea. 

  12. Choi, Y.(2008). The Analysis of Ecological Architecture Elements in Yangdong Village and Oeamri Village. 10(2): 117-124 

  13. Choi, E. J.(2013). A Study on the House Transformation of Oiam Folk Village. Master's Thesis of Mokwon University, Daejeon, Korea. 

  14. Lee, W. H.(2009). A Study on the Transitional Aspects in Korean Gardens that Reflected of the Korean Folk Village 'Oeam-Ri'. Mun Hwa Jae. 42(1): 100-121. 

  15. Hwang, G. W.(2011). Interpreting Landscap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6. Village Research Group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2007). Asan Oeam Village. Daewonsa. 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