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마을의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한 보호수 잠재력 분석 - 김천시를 중심으로 -
Analyzing the Potential of legally protected Trees to Create Community Space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Case of Gimchon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1, 2017년, pp.73 - 81  

정태열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김은진 (경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70년대에 새마을 운동의 실시로 새마을회관이 조성된 것이 정책적으로 마련된 커뮤니티 공간의 시초이다. 이후에도 마을회관이나 노인정과 같은 실내 커뮤니티 공간이 주로 조성되어 왔으나, 1990년대에 농촌 마을쉼터 조성사업을 실시함으로써 정책적으로 실외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다. 한편, 보호수는 산림보호법 제13조(보호수의 지정관리)에 의거하여 시도지사 또는 지방산림청장이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한 노목, 거목, 희귀목을 의미하며, 휴식 및 휴양을 위한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지역민의 생활의 장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수의 효용가치는 농촌마을의 사라져가는 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해 높이 평가되기도 하고, 보호수를 활용하여 농촌 마을쉼터나 소공원과 같은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될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보호수의 효용가치는 보호수의 현황이나 주변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농촌에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어떤 보호수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나, 이와 관련된 연구와 노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에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하여 향후 보호수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김천시에서 지정 관리하고 있는 40본의 보호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9개 항목을 선정하고, 이 평가항목들을 접근성, 공공시설과의 연계성, 환경성 및 안전성, 상징성, 조성 용이성의 5개 요소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보호수를 평가요소별로 잠재력 정도에 따라 1~5점으로 차등 평가한 후, 이 점수들을 합산하여 보호수의 최종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최종 잠재력(최대값은 25점)이 20점 이상으로 가장 높은 보호수는 7번과 12번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잠재력이 높은 보호수가 효용가치도 높다고 할 수 있으므로,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 보호수들을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1990s, policy was put in place to create resting spaces in rural areas. This policy was associated with a government project to improve the rural residence environment and it attracted attention to outdoor spaces in rural areas. Many communities have gradually disappeared in rural areas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천시를 대상으로 농촌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에 효용가치가 높은 보호수를 파악하기 위해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이는 향후 보호수를 활용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와 관련하여 농촌마을의 커뮤니티 공간 조성과 보호수의 활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 하지만,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 어떤 보호수를 우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보호수의 효용가치는 보호수의 현황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보호수 현황과 주변 환경을 분석한 후,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보호수의 잠재력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보호수를 활용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마을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나? 농촌마을은 역사적으로 경작이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경작을 하기 위해서 씨족단위의 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성원간의 협동으로 존속되었다. 이러한 농촌마을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서로 상호교류하고 만남을 통하여 다양한 삶의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곳으로 변화하였다(Park, 1999: Shin and Kim, 2014).
마을회관이나 노인정과 같은 건물이 가지는 역할은? 이후에도 농촌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을 통하여 마을회관이나 노인정과 같은 건물을 주로 조성해왔다. 이러한 곳은 농촌마을에서 커뮤니티 활동과 화합 등의 생활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고령화되고 있는 농촌마을에서 종합복지시설로서, 다기능화를 통한 농촌문제의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Sin, 2007; Kang et al., 2009).
농촌마을의 특징은? 농촌마을은 역사적으로 경작이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경작을 하기 위해서 씨족단위의 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성원간의 협동으로 존속되었다. 이러한 농촌마을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서로 상호교류하고 만남을 통하여 다양한 삶의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곳으로 변화하였다(Park, 1999: Shin and Kim,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gricultural Ministry(1996) A Guide for the Creation of Mini Parks in Rural Villag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 Hillery, G.(1955)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11-123. 

  3. Jeong, W. J. and S. J. Yoon(2014) Utilization of the old big tree and Its surrounding space pertaining to cultural value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1): 215-233. 

  4. Kang, Y. E., Y. S. Shin, D. N. Jee, J. A. Kim and S. B. Im(2009) A study on the spatial model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Focused on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1): 31-46. 

  5. Kim, C. B., Y. I. Kim and B. W. Kim(2001) A study on the user's behaviors and satisfactions of the rural mini parks in Rural Villages of Gyonggi-d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9(2): 59-69. 

  6. Kim, H. R., D. Y. Kim, J. S. Park, K. E. Lee and W. J. Park(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in Gangwon-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1): 12-24. 

  7. Kim, K. H.(2011)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protected trees in Gyeongsan City.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5(2): 69-83. 

  8. Kim, S. H. and S. H. Kim(1996) A study on old trees as they relate to the organization of space in Busan -Attaching importance to the growth environment and arrangement form in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4(2): 2086-2098. 

  9. Kim, Y. H. and U. S. Yeo(2010) A suitability analysis of public owned land build small park - The case of Busan Megalopol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 31-41. 

  10. Lee, C. S. and S. B. Im(1997) A study on the minimum size of Rural-Pocket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1): 1036-1046. 

  11. Lee, W. H. and C. S. Lee(2007)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future-oriented community service faciliti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2(4):95-113. 

  12. Park, C. S.(1999) Evaluation on the Behavior Patterns and the Improvement Necessity of the Korean Rural Settlement,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3. Park, K. O., H. J. Cho and S. U. Lee(2004)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in rural area as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community center: Life pattern and use of facilities of rural reside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 49-58. 

  14. Seo, J. Y., Y. Y. Lee, M. H. Na and J. K. Lee(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rearing status of legally protected trees -With focus on legally protected trees in Hwasung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3): 93-102. 

  15. Shin, J. S. and S. B. Kim(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and rating system for remodeling in rural community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4): 233-242. 

  16. Sin, Y. S.(2007) A Study on the Spatial Cognition of Rural Villages Using the Cognitive Map,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