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Job Stress, Resilience,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Burnout in Operation Room Nurse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0 no.1, 2017년, pp.31 - 40  

임은진 (부산보훈병원 수술실)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a total of 109 operating room nurses working at 7 general hospitals with 300 beds or more in B city were analyze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 탄력성, 전문직 정체성 및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술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 탄력성, 전문직 정체성 및 소진의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소진은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전문직 정체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 탄력성, 전문직 정체성의 정도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전문직 정체성 및 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전문직 정체성 및 소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수술실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질적 간호와 간호 인력관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오차항의 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할 수 있는지 케이스별 진단을 실시한 결과 표준화 잔차가 모두 ±3 이내의 값으로 나타나 오차항의 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회복탄력성은 개인이 역경에 직면하였을 때 이에 적응하고 성장하게 하는 개인의 사회 심리적 특성을 의미한다(Connor & Davidson, 2003). Cameron과 Brownie (2010)는 간호사에게 회복탄력성은 간호실무의 성공적인 현장적응에 중요한 개념이라고 강조하였다.
간호사의 소진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의료서비스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병원으로(Go, 2013), 수술실은 병원 내에서도 독립된 특수부서로서 엄격한 통제와 제한된 환경 속에서 의료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이며(Caldeira, Avila, & Braga, 2013), 수술실 간호사는 외래와 일반 병동의 간호사들과는 달리 특수한 근무환경과 직무구조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Jang, 2013).간호사의 소진은 환자들의 간호만족도 감소, 간호 오류의 증가, 간호사의 이직의도 증가를 초래할 수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June & Byun, 2009). 더욱이 소진은 감염성이 높아 간호사 자신뿐 아니라 동료와 병원 직원, 환자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 Han, 2013).
수술실 간호사가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의 큰 영향요인으로 간호사는 업무 수행 시 환자의 생명과 관련된 많은 응급상황과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Choi & Han, 2013). 수술실 간호는 외과적 치료를 요하는 환자들을 위해 전문교육을 이수한 간호사가 수행하는 것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행동은 기계적이 아닌 생각과 판단에 의해 환자의 생명에 위협이 되지 않는 수술 결과에 초점을 두고 의사 및 다른 의료진들과 협동체를 이루어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서서일하는 시간이 많을 뿐 아니라 수술분야별 최신 수술방법의 다양성,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 증대 및 의사와 의료요원과의 인간관계가 어렵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높다(Chung & Kang,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k, H. S., Lee, K. U., Joo, E. J., Lee, M. Y., & Choi, K. S. (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ation, 7(2), 109-115. 

  2. Bea, H. J. (2012). A study on verbal violence experienc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eajeon, Korea. 

  3. Caldeira, S. M., Avila, M. A. G., & Braga, E. M. (2013). Educ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in surgical and aesthetical recovery center: perception of the nursing team. Journal of Nursing UFPE, 7(8), 5232-5238. 

  4. Cameron, F., & Brownie, S. (2010). Enhancing resilience in registered aged care nurse.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29(1), 66-71. 

  5. Choi, J., Ha, N. S., & Pack, H. M.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7S factors of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Administration, 10(2), 255-264. 

  6. Choi, K. J., & Han, S. S. (2013). The Influence of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clinical nurse's burnout.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1), 55-61. 

  7. Chung, J. H., & Kang, H. Y. (2013). Job stress and fatigue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291-298. 

  8. Connor, K.M., & Davidson, J. R.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 Davidson resilience scale. Depression and Anxiety, 18(2), 76-82. 

  9. Foureur, M., Besley, K., Burton, G., Yu, N., & Crisp, J. (2013). Enhancing the resilience of nurses and midwives: pilot of a mindfulness based program for increased health, sense of coherence and decrease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Contemporary Nurse, 45(1), 114-125. 

  10. Go, H. M. (2013). A study on differences of burnout, job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3(1), 337-353. 

  11. Hong, B. H. (1995).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ress of the operating room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nam University, Kyunsan, Korea. 

  12. Hwang, S. W.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behavior and job burnout among service worker's: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emotional leadership and tru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nam University, Kyunsan, Korea. 

  13. Jackson, D., Firtko, A., & Edenborough, M. (2007).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1), 1-9. 

  14. Jang, H. S. (2013). Relations among verbal violence experien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operating room nurses.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18(1), 59-70. 

  15. Jeong, J. S. (2014).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is on the performance impact of the operating room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 Korea. 

  16. Ju, J. I. (2014). The effect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job exhaustion on the patient safety performance among operation room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Kimhye, Korea. 

  17. June, K. J., & Byun, S. W.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305-313. 

  18. Kang, J. S., & Lim, J. Y. (2015).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1), 263-273. 

  19. Kim, B. N., & Oh, H. S., & Pack, Y. S.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20(1), 14-23. 

  20. Kim, J. H., Ahn, H. Y., Eom,M. R., & Lee, M. Y. (2010). A study of emergency room nurses' burnout, nursing performance, and professional identity.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1), 50-59. 

  21. Kim, J., & Lee, T. W. (2016).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2), 109-117. 

  22. Kim, J. S., & Yu, K. L. (2010). A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burnou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1), 53-69. 

  23. Kim, M. J. (2013). Organizational culture, profession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perating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4. Kim, S. N., & Yu, M. S. (2014).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Home Care Nursing, 21(1), 36-43. 

  25. Lee, H. A., & Lee, K. H. (2009).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1), 83-102. 

  26.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27. Oh, H. J. (2013).Effect of the work stress and resilience on burnout of the nurses in the operation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Kyonggido, Korea. 

  28. Sood, A., Prasad, K., Schroeder, D., & Varkey, P. (2011). Stress management and resilience training among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6(8), 858-861. 

  29. Won, H. K. (2009). The relevance between operating room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Kyonggido, Korea. 

  30. Yang, H. S. (2013). Effects of work stres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