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아동의 가족중심돌봄 개념분석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28 - 36  

정소영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  탁영란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concept analysis of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e concept analysis approach of Walker and Avant was used. A search of multidisciplinary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1960 and 2016 was undertaken using the keyword 'family centere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입원 아동의 가족, 의료진, 기관측면에서의 전제와 결과를 각각 제시하였다. 먼저, 가족중심돌봄의 전제로 가족의 의지, 의료진의 능력과 의지, 기관의 정책과 제도를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11]의 개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입원 아동의 가족중심돌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규명함으로서, 입원 아동에게 가족중심돌봄 제공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하지만, 국내의 간호 연구 분야에서 가족중심돌봄의 개념 및 적용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입원 아동의 가족중심돌봄 개념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여, 입원 아동에게 가족중심 돌봄 적용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검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른 처방으로 ceftriaxone이라는 항생제를 처방받아 간호사는 ceftriaxone이라는 항생제를 주입 하였다. 하지만, 만 하루가 지났는데도 열은 변화가 없었고, 결국 C의 엄마는 조심스레 주치의에게 사실 C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ceftriaxone이라는 약은 잘 안맞는 경우가 있어서 같은 종류인 cefotaxime이라는 약을 처방해주면 안되겠냐고 제안하였다. 그러자 전공의 1년차인 주치의는 당신이 의사냐며 화를 내었고, C의 엄마는 속상 함에 울먹이며 간호사에게 하소연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원한 아동들에게 있어서 가족의 역할은 무엇인가? Salmela, Salantera, & Aronen[1]는 4-6세 아동 90명에게 병원과 관련된 경험을 조사한 연구에서 아동의 91%가 두려움을 경험하고 그러한 두려움은 통증, 주사, 낯선 환경, 입원, 가족과의 분리 등이라고 하였다. 가족은 입원한 아동들이 이러한 스트레스에 잘 대처할 수 있는 힘의 원천이 되고, 일생 동안 변함없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아동이 입원을 하는 경우 보호자로서 부모는 아동에 관한 정보를 의료진보다 더 많이 가지고 있고, 아동의 입원 생활과 돌봄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아동의 입원 적응과 질병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2].
아동의 입원은 어떠한 사건인가? 아동의 입원은 두려움, 분리, 불안을 느끼게 하는 사건이다. Salmela, Salantera, & Aronen[1]는 4-6세 아동 90명에게 병원과 관련된 경험을 조사한 연구에서 아동의 91%가 두려움을 경험하고 그러한 두려움은 통증, 주사, 낯선 환경, 입원, 가족과의 분리 등이라고 하였다.
질병 중심의 진료에서 환자 중심의 진료로의 발전이 시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는 질병 중심의 진료에서 환자 중심의 진료로 발전하고 한발 더 나아가 가족 중심의 진료로 발전하는 것이 올바른 진료의 방향으로 보는 관점에 의한 것이다. 즉, 환자의 생물 의학적 측면뿐 아니라, 정신 사회적 측면을 효과적 으로 평가하고 접근하기 위해 가족 중심 진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16]. 따라서, 가족 중심 진료는 포괄적으로 대상자를 이해하고자 하는 의료의 방식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almela M, Salantera S, Aronen E. Child-reported hospital fears in 4 to 6-year-old children. Pediatric Nursing. 2009;35(5):269-276. 

  2. Potts NL, Mandleco BL. Pediatric Nursing: Caring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3rd ed. Delmar: Cengage Learning; 2012. p.15-21. 

  3. Shields L, Young J, McCann D. The needs of parents of hospitalized children in Australia.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2008;12(1):60-75. http://dx.doi.org/10.1177/1367493507085619. 

  4. Mikkelsen G, Frederiksen K. Family-centred care of children in hospital-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5):1152-1162.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574.x. 

  5. Abraham M, Moretz JG. Implementing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art I-understanding the challenges. Pediatric Nursing. 2012;38(1):44-47. 

  6. Foster MJ, Whitehead L, Maybee P, Cullens V. The parents', hospitalized child's, and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family centered care within a pediatric critical care setting: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Family Nursing. 2013;19(4):431-468. http://dx.doi.org/10.1177/1074840713496317. 

  7. Kuo DZ, Houtrow AJ, Arango P, Kuhlthau KA, Simmons JM, Neff JM. Family-centered care: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in pediatric health care. Maternal & Child Health Journal. 2012;16(2):297-305. http://dx.doi.org/10.1007/s10995-011-0751-7. 

  8. Choi M, Kim J. Associated factors in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176-184. http://dx.doi.org/10.4094/chnr.2014.20.3.176. 

  9. Choi MY. Parent participation in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2):105-112. http://dx.doi.org/10.4094/chnr.2014.20.2.105. 

  10. Im MH, Oh JA. An integrative review on family-centered rounds for hospitalized children car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2):107-116. http://dx.doi.org/10.4094/chnr.2016.22.2.107. 

  11. Walker LO, Avant KC.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Prentice Hall; 2005. 

  12.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Internet].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2014[cited 2014 May 28].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13. Institute for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Core Concepts[Internet]. Arlington: Institute for Patient-and Family-Centered Care;2012[cited 2016 September 20]. Available from: http://ipfcc.org/about/pfcc.html 

  14. Oxford Advanced Learner's English-Korea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UK. 2008. 

  15. Kong BH. Art of caring in nursing. Philosophy of Medicine. 2007;3:97-116. 

  16. Kim JS, Oh MK, Park JS. Clinical application of family-centered health car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9;30(6):405-414. https://doi.org/10.4082/kjfm.2009.30.6.405. 

  17. Yu YJ, Paek ER. An impact of the family-centered practice on the family burden of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Korea Academy Disability and Welfare. 2013;22:207-224. 

  18. Kim KM, Lee MS, Kwak SS, Noh JN. A study on family-centered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abilities. 2013;29(3):131-154. 

  19. Choi MY, Bang KS.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194-202. http://doi.org/10.4040/jkan.2013.43.2.194. 

  20. Maternal and Child Health Bureau(MCHB). Division of service for children with special health needs[Internet]. Albuquerque:Maternal and Child Health Bureau(MCHB); 2013[cited 2014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familyvoices.org/admin/work_family_centered/files/FCCare.pdf 

  21. Hutchfield K. Family-centered car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9;29(5):1178-1187. http://doi.org/10.1046/j.1365-2648.1999.00987.x. 

  22. Nethercott SA. Concept for all the family. Family centered care: a concept analysis. Professional Nurse, 1993;8(12):794-797. 

  23. Malusky SK. A concept analysis of family-centered care in the NICU. Neonatal Network: NN. 2005;24(6):25-32. http://doi.org/10.1891/0730-0832.24.6.25. 

  24. Gallo KP, Hill LC, Hoagwood KE, Olin SC. A narrative synthesis of the components of and evidence for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Clinical Pediatrics. 2016;55(4):333-346. http://dx.doi.org/10.1177/0009922815591883. 

  25. Ramezani T, Hadian Shirazi Z, Sabet Sarvestani R, Moattari M. Family-centered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concep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Based Nursing and Midwifery. 2014;2(4):268-278. 

  26. Committee on Hospital Care-and Institute for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olicy statement.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and the pediatrician's role. Pediatrics. 2012;129(2):394-404. http://dx.doi.org/10.1542/peds.2011-3084. 

  27. Lewis EH. A culture shift: principles and values of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changing the patient and provider experience. Anesth Analg. 2013;116(6):1191-1192. http://dx.doi.org/10.1213/ANE.0b013e3182884484. 

  28. Cypress BS. Family presence on round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012;31(1):53-64. http://dx.doi.org/10.1097/DCC.0b013e31824246dd. 

  29. Hawala-Druy S, Hill MH. Interdisciplinary: Cultural competency and culturally congruent education for millennials in health professions. Nurse Education Today. 2012;32(7):772-778. http://dx.doi.org/10.1016/j.nedt.2012.05.002. 

  30. Nguyen TK, Bauman GS, Watling CJ, Hahn K.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oncologist perspectives. Support Care Cancer. 2017;25(1):213-219. http://dx.doi.org/10.1007/s00520-016-34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