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간식 섭취 실태
Study on snack intakes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in Jeju cit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1, 2017년, pp.85 - 97  

고양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유영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채인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윤경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제갈윤석 (제주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박형근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료관리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교 4 5학년 비만아동 117명 (남자 70명, 여자 47명)과 정상체중아동 117명 (남자 70명, 여자 47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체중감량 관련 식행동, 간식 식습관을 조사하였으며, 더불어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간식섭취 및 균형 잡힌 영양소섭취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및 비만도는 각각 정상체중아동은 143.8 cm, 38.5 kg, -0.42%이며 비만아동은 147.5 cm, 56.6 kg, 35.4%로 모두 체중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체중군별 열량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조사대상자의 체중감량 관련 식행동에서 식사량 감소 경험 유무와 살찌는 음식임을 고려하여 섭취하는 비율은 체중군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총 열량 섭취 열량은 아침, 점심, 저녁, 간식이 각각 289.8 kcal, 569.0 kcal, 499.2 kcal, 325.1 kcal로, 끼니별 열량 섭취 비율은 17.2%, 33.8%, 29.7%, 19.3%로 나타났다. 특히 간식으로 섭취하는 열량은 체중군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특정 간식 음식을 섭취한 아동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비만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사탕 초콜릿류를 유의적으로 더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성별과 체중군별로 간식을 섭취하는 이유로는 공통적으로 '배가 고파서'가 64.1%, '심심해서'는 12% 순으로 나타났다. 간식 섭취 횟수에서 일반 간식의 경우 정상체중군 (2.1회/주)이 비만군 (1.6회/주)보다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나 학원 주변에서 섭취하는 간식의 경우에는 체중군별 차이 (1회/주)가 없었다. 일반 간식과 학교나 학원 주변 간식을 합한 총간식의 섭취 횟수는 정상체중군은 3.1회/주, 비만군은 2.6회/주로 나타났다. 일반 간식에서 자주 먹는 간식 음식은 과일 과일주스, 과자 사탕 초콜릿, 우유 요구르트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학교나 학원 주변 간식에서는 김밥 삼각김밥 떡볶이 순대, 아이스크림, 과자 사탕 초콜릿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군별 간식 선택 음식의 종류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간식음식을 저열량 고영양 간식과 고열량 저영양 간식으로 구분하고, 간식 음식선택 여부와 섭취 횟수를 고려한 섭취 수준으로 비교하였을 때에는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저열량 고영양 간식의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제주의 일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은 체중군별로 비만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체중 감량을 위해 더 노력하지만,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저열량 고영양 간식을 유의적으로 낮게 섭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열량 저영양의 부적절한 종류의 간식음식의 섭취는 하루 세끼 식사에 영향을 미치고,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비만군 뿐만 아니라 정상체중군에서도 올바른 간식 선택 및 식행동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균형 잡힌 하루 세끼 식사를 충분히 섭취한 후, 부족한 부분을 간식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영양적인 측면과 관련지어 간식 섭취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연계를 통해 체계적으로 전개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habits related to weight reduction and snack intake habits of $4^{th}$ to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located in Jeju-si, Jeju, South Korea. Methods: The $4^{th}$ and $5^{th}$ grade elementa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등이 있으나, 대상자를 체중군별로 나누어 그들의 간식 섭취와 관련 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학동기의 양호한 건강·영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간식 섭취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교 4, 5학년 비만아동과 정상체중아동을 대상으로 간식 식습관, 1일 섭취 열량 및 영양소, 식품군별 1일 및 간식의 영양소 섭취량, 끼니별 영양소 섭취상태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및 전체적인 간식 섭취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아동의 체중관리를 위한 올바른 간식 음식 선택 및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영양교육에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들이 간식을 통해서 영양보충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아동들은 성인과는 달리 성장 발육이 빠르고 신체 활동과 운동이 매우 활발하므로 성장 및 활동에 필요한 영양 요구량이 매우 크며, 이 시기의 아동들은 체중 당 영양 필요량이 높은 반면, 소화기관의 용량이 작고 소화 기능의 발달이 부족하여 많은 양의 음식을 일시에 먹을 수 없으므로 세끼의 식사만으로 필요한 만큼의 영양을 충분히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식을 통해서 영양보충을 받아야 한다.10,15적절한 간식은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할 뿐만 아니라 지적 발달과 정서적인 안정을 도모하기 때문에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열량 저영양의 부적절한 종류의 간식음식은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제주의 일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은 체중군별로 비만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체중 감량을 위해 더 노력하지만,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저열량 고영양 간식을 유의적으로 낮게 섭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열량 저영양의 부적절한 종류의 간식음식의 섭취는 하루 세끼 식사에 영향을 미치고,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비만군 뿐만 아니라 정상체중군에서도 올바른 간식 선택 및 식행동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균형 잡힌 하루 세끼 식사를 충분히 섭취한 후, 부족한 부분을 간식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영양적인 측면과 관련지어 간식 섭취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연계를 통해 체계적으로 전개되어야 하겠다.
자주 먹는 일반 간식과 학교나 학원 주변 간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6회/주로 나타났다. 일반 간식에서 자주 먹는 간식 음식은 과일 과일주스, 과자 사탕 초콜릿, 우유 요구르트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학교나 학원 주변 간식에서는 김밥 삼각김밥 떡볶이 순대, 아이스크림, 과자 사탕 초콜릿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군별 간식 선택 음식의 종류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간식음식을 저열량 고영양 간식과 고열량 저영양 간식으로 구분하고, 간식 음식선택 여부와 섭취 횟수를 고려한 섭취 수준으로 비교하였을 때에는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저열량 고영양 간식의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o YS. Abstracts of articles: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 of the long-lived elderly people in Jeju area. J Cheju Studies 2003; 23: 95-129.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3. World Health Organization 10 facts on obesity 2010.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4. Ministry of Education (KR). School health examination survey 2014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5 [cited 2015 Feb 11]. Available from : http://www.moe.go.kr/. 

  5. Lee JB, Lee JO, Kim SW, Kang JH, Yang YJ.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in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J Korean Acad Fam Med 2000; 21(7): 866-875. 

  6. Knittle JL. Obesity in childhood: a problem in adipose tissue cellular development. J Pediatr 1972; 81(6): 1048-1059. 

  7. Lee DH.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J Korean Pediatr Soc 1996; 39(8): 1055-1065. 

  8. Lee HK. Obesity and its associated diseases. Korean J Obes 1992; 1(1): 34-39. 

  9. Phillips SM, Bandini LG, Naumova EN, Cyr H, Colclough S, Dietz WH, Must A. Energy-dense snack food intake in adolescence: longitudinal relationship to weight and fatness. Obes Res 2004; 12(3): 461-472. 

  10. van der Horst K, Oenema A, Ferreira I, Wendel-Vos W, Giskes K, van Lenthe F, Brug J. A systematic review of environmental correlates of obesity-related dietary behaviors in youth. Health Educ Res 2007; 22(2): 203-226. 

  11. Baek S. Do obese children exhibit distinguishable behaviours from normal weight children?: based on literature review.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3): 386-395. 

  12. Lee YN, Yim KS, Lee SK, Mo S, Choi H. Diet-related factors of overweight adolescent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3): 354-365. 

  13. Lee YJ, Chang KJ. A comparative study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on dietary intake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Inchon. Korean J Community Nutr 1999; 4(4): 504-511. 

  14. Her ES. Associ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snack with a focus on obesity index and snack preparations i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15; 28(2): 178-188. 

  15. Choi MK, Bae YJ. Relation among snack intake, obesity index and blood parameters in obese elementary-school childre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8; 18(4): 489-498. 

  16. Choi JH, Cho SY, Heo BY. Special nutrition. Seoul: Kyomonsa; 1994. 

  17. Yang BM. The food and water consumption condition of the preschool children in Jeju by duplicated food collection [dissertation].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2004. 

  18. Park YS. Intake of snack by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Hansan-do area 1.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03; 19(1): 96-106. 

  19. Lee KW, Lee HS, Lee MJ.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of self-purchasing snac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05; 20(5): 594-602. 

  20. Beak YM, Jung SJ, Beak HI, Cha YS. A study on eating out and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Hum Ecol 2007; 10(2): 77-87. 

  21. Cho EA, Lee SK, Heo GJ.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heung-si.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169-179. 

  22.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Y.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c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4): 453-463. 

  23. OH SJ.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behaviro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Jeju [dissertation].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2007. 

  24. Ko YS, Kang HY. A study of the major dish group, food group and meal contributing to sodium and nutrient intake in Jeju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 Nutr Health 2014; 47(1): 51-66.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6. Kim OH, Park HA, Cho YG, Kim KW, Hur Y, Song JH, Kang JH.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6): 717-726. 

  27. Kim SA, Lee BH.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ent intake status, dietary habi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cheon-si. Korean J Nutr 2008; 41(8): 786-796. 

  28. Lee JC, Kim MH. A study on dietary related factors and blood parameters of obese children residing in Samcheok. J Korean Diet Assoc 2005; 11(2): 190-204. 

  29. Yim KS, Yoon EY, Kim CI, Kim KT, Kim CI, Mo SM, Choi HM. Eating behavior, obes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children. Korean J Nutr 1993; 26(1): 56-66. 

  30. Kim JY. Between-and within-individual variation in nutrient intake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Jeju [dissertation].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 2001. 

  31. Kim BH, Choi JH. Perceived body image, intentional caloric restriction and physical manifestations of unbalanced nutrit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09; 15(4): 359-366. 

  32. Ha SA, Lee SY, Kim KA, Seo JS, Sohn CM, Park HR, Kim KW.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nutriti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by obesity statu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 Res Pract 2016; 10(6): 597-605.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34. Kim Y, Chang H. Correlation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sugar consumption, quality of diet, and dietary behavior in 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2011; 5(3): 236-245. 

  35. Livingstone MB, Robson PJ. Measurement of dietary intake in children. Proc Nutr Soc 2000; 59(2): 279-293. 

  36. Chae PS. Study on the factor of dietary habit and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child in Daegu [dissertation]. Gyeongsan: Daegu Haany Universi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