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GNPTAB 유전자 돌연변이로 진단된 뮤코지방증 2형 1례를 포함한 국내 뮤코지방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분석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of 11 Korean Patients with Mucolipidosis II and III Including a Case of Mucolipidosis II with a Novel Mutation of GNPTAB 원문보기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v.17 no.3, 2017년, pp.85 - 91  

김진섭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양미선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양아람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은혜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박형두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손영배 (아주대학교병원 의학유전학과) ,  조성윤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  진동규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뮤코지방증 2형과 3형은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이다.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기능 이상은 리소좀 효소의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mannose-6-phosphate와 리소좀 효소간의 결합을 저해하여 리소좀 효소들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리소좀 효소의 부족으로 인해 리소좀 기능 이상 및 뮤코지질의 축적으로 인해 다양한 임상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는 새롭게 진단된 뮤코지방증 환자의 임상 및 생화학, 분자유전학적 양상을 기술하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11명의 뮤코지방증 2, 3형 환자들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저자들은 17개월에 특징적 얼굴 모양 및 관절 구축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효소 검사를 통해 리조솜 효소의 혈장 내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GNPTAB 유전자의 직접염기 서열분석을 통해 복합이형접합자 돌연변이 (c.3428 dupA [pAsn1143Lysfs*3], c.673C>T [p.Gln225*])를 발견하였다. 새로 진단된 환자를 포함하여 총 11명의 환자(뮤코지방증 2형: 7명, 3형: 4명)들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을 분석하였고 진단 시 나이는 뮤코지방증 2형은 2세 1개월, 3형은 6세 9개월이었으며 진단 시 신장 표준편차지수는 각각 -3.2 (${\pm}1.5$), -1.3 (${\pm}1.1$)였다. 심초음파 결과에서 뮤코지방증 3형 환자들은 심장 판막의 이상만을 보였으나 2형 환자들에서는 비후성 심근증(n=3), 좌심비대(n=1)이 동반되었다. 간비비대(n=4)는 뮤코지방증 2형 환자에서만 확인되었다. 뮤코지방증 2형의 경우, 3명의 환자가 호흡 곤란으로 기관 절개 및 호흡기 보조를 받았으며 2 명의 환자가 호흡기 문제로 사망하였다. Pamidronate 치료는 4명의 뮤코지방증 3형 환자와 4명의 2형 환자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유효성 및 안정성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features as well as the molecular analysis of a newly diagnosed illustrative case with ML II and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11 Korean patients with ML II/III. Method: Including a newly diagnosed patient, total 11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저자들은 최근 진단된 뮤코지방증 2형 환자를 포함하여, 총 10가계, 11명의 뮤코지방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흔히 접하기 어려운 뮤코지방증 2형과 3형 환자의 임상적차이를 설명하고 2형의 환자의 임상적 양상을 기술함으로써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저자들은 최근 진단된 뮤코지방증 2형 환자를 포함하여, 총 10가계, 11명의 뮤코지방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흔히 접하기 어려운 뮤코지방증 2형과 3형 환자의 임상적차이를 설명하고 2형의 환자의 임상적 양상을 기술함으로써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NPTAB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무엇의 결핍을 유발하는가? 2)에 위치하고 있는 GNPTAB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100개 이상의 돌연변이가 보고 되었다2). GNPTAB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Mannose6-phosphate (M6P)의 합성에 관여하는 UDP-Nacetylglucoseamine-1-phosphotransferase(GlcNAc-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결핍을 유발 하여 몸의 조직과 세포 안에 뮤코지질과 탄수화물 복합체가 축적된다3). 이로 인해 특징적인 얼굴 모양 및 골격계 이상, 발달 지연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뮤코지방증 2형과 3형의 원인은? 뮤코지방증 2형과 3형은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이다.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기능 이상은 리소좀 효소의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mannose-6-phosphate와 리소좀 효소간의 결합을 저해하여 리소좀 효소들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GNPTAB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나타나는 신체적 특징은? GNPTAB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Mannose6-phosphate (M6P)의 합성에 관여하는 UDP-Nacetylglucoseamine-1-phosphotransferase(GlcNAc-phosphotransferase) 효소의 결핍을 유발 하여 몸의 조직과 세포 안에 뮤코지질과 탄수화물 복합체가 축적된다3). 이로 인해 특징적인 얼굴 모양 및 골격계 이상, 발달 지연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 외에 두개골과 얼굴에 다양한 병변이 나타나고 성장도 지연되며 각막 혼탁을 비롯한 안과적 이상을 동반한다. 특징적인 검사 소견으로는 섬유아세포의 세포질에 다수의 봉입체(inclusion body)가 관찰되며, 혈청 내 리소좀 효소의 활성도 증가, GlcNAc-phosphotransferase 활성도의 감소를 보인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ightbody J, Wiesmann U, Hadorn B, Herschkowitz N. I-cell disease: multiple lysosomal-enzyme defect. Lancet 1971;1:451. 

  2. Kudo M, Brem MS, Canfield WM. Mucolipidosis II (I-Cell Disease) and Mucolipidosis IIIA (Classical Pseudo-Hurler Polydystrophy) Are Caused by Mutations in the GlcNAc-Phosphotransferase ${\alpha}/{\beta}$ -Subunits Precursor Gene.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006;78:451-63. 

  3. Hasilik A, Waheed A, von Figura K. Enzymatic phosphorylation of lysosomal enzymes in the presence of UDP-N-acetylglucosamine. Absence of the activity in I-cell fibroblas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81;98:761-7. 

  4. Wiesmann U, Vassella F, Herschkowitz N. "I-cell" disease: leakage of lysosomal enzymes into extracellular fluids. N Engl J Med 1971;285:1090-1. 

  5. Otomo T, Muramatsu T, Yorifuji T, Okuyama T, Nakabayashi H, Fukao T, et al. Mucolipidosis II and III alpha/beta: mutation analysis of 40 Japanese patients showed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J Hum Genet 2009;54:145-51. 

  6. Paik KH, Song SM, Ki CS, Yu H-W, Kim JS, Min KH, et al. Identification of mutations in the GNPTA (MGC4170) gene coding for GlcNAc-phosphotransferase ${\alpha}/{\beta}$ subunits in Korean patients with mucolipidosis type II or type IIIA. Human Mutation 2005; 26:308-14. 

  7. Yang M, Cho SY, Park HD, Choi R, Kim YE, Kim J, et al. Clinical, biochem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Korean patients with mucolipidosis II/III and successful prenatal diagnosis. Orphanet J Rare Dis 2017;12:11. 

  8. Cathey SS, Leroy JG, Wood T, Eaves K, Simensen RJ, Kudo M, et al. Phenotype and genotype in mucolipidoses II and III alpha/beta: a study of 61 probands. J Med Genet 2010;47:38-48. 

  9. Cathey SS, Kudo M, Tiede S, Raas-Rothschild A, Braulke T, Beck M, et al. Molecular order in mucolipidosis II and III nomenclatur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Part A 2008;146A:512-3. 

  10. Heo JS, Choi KY, Sohn SH, Kim CK, Kim YJ, Shin SH, et al. A case of mucolipidosis II presenting with prenatal skeletal dysplasia and severe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at birth. Korean J Pediatr 2012;55:438-44. 

  11. Suh SY, Cheon CK, Jung JH. Ocular Findings in Mucolipidosis Type II.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616-9. 

  12. Cho SY, Kim K-Y, Kim SJ, Sohn YB, Maeng SH, Kim CH, et al. Characterization of a Mucolipidosis Type II Mouse Model and Therapeutic Implication of Lysosomal Enzyme Enriched Fraction Derived from Placen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12;12(1):5-13. 

  13. Ko AR, Jin DK, Cho SY, Park SW, Przybylska M, Yew NS, et al. AAV8-mediated expression of Nacetylglucosamine- 1-phosphate transferase attenuates bone loss in a mouse model of mucolipidosis II. Mol Genet Metab 2016;117:447-55. 

  14. Kollmann K, Pestka JM, Kuhn SC, Schone E, Schweizer M, Karkmann K, et al. Decreased bone formation and increased osteoclastogenesis cause bone loss in mucolipidosis II. EMBO Mol Med 2013;5:1871-86. 

  15. Robinson C, Baker N, Noble J, King A, David G, Sillence D, et al. The osteodystrophy of mucolipidosis type III and the effects of intravenous pamidronate treatment. J Inherit Metab Dis 2002;25:681-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