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nterococcus faecium SA5의 기능적 특성과 인삼 ginsenoside Rb1의 전환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nterococcus faecium SA5 and Its Potential in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in Ginseng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2 = no.202, 2017년, pp.172 - 179  

김은아 (서울F&B) ,  랜친핸드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어르가말 막살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박영우 (포트벨리 주립대학교 농업연구본부) ,  남명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몽골 마유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Enterococcus faecium SA5의 이화학 특성을 파악하고 유산균 E. faecium SA5의 ${\beta}$-glucosidase의 활성과 이를 통한 ginsenoside 전환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E. faecium SA5는 내산성, 내담즙성을 나타내었으며 4종의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typhimurium KCTC 3216,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710, Bacillus cereus KCTC 1012,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에 항균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항생물질 colistin, gentamycin, neomycin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E. faecium SA5는 bile salt hydrolase 활성을 나타내어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준 감소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며 10% skim milk에서 배양하였을 때, pH가 감소하고 산도 및 생균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발효유 스타터로써의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E. faecium SA5의 ${\beta}$-glucosidase에 의해 ginsenoside $Rb_1$이 ginsenoside $Rg_3-s$$Rg_3-r$으로 전환되었음을 T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E. faecium SA5는 잠재적인 probiotics로 이를 이용하여 발효유 제조 및 ginsenoside 전환 관련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rmentation of Panax ginseng can yield many compounds from ginsenosides that have a wide variety of biological functions. Lactic acid bacteria (LAB) strains are capable of converting ginsenosid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characterize Enterococcus faecium SA5, an isolated LAB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전환[26]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몽골 마유로부터 분리한 Enterococcus faecium SA5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Enterococcus faecium SA5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ginsenoside 전환을 밝히고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을 이용한 ginsenoside 전환의 장점은 무엇인가? 인간의 장내미생물 가운데 유산균은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probiotics로 장 운동 조절, 병원성 세균의 성장 억제, 소화 흡수의 촉진, 변비 설사 방지 등의 영양생리적인 건강 증진과 더불어 발효유제품, 자연발효식품, 가축의 사료 및 제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1] 유산균의 건강 증진 효과로 항암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면역증강 효과 등의 효능이 보고되면서 광범위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7]. 최근 유산균을 이용한 ginsenoside 전환에 대한 연구가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유산균과 효소의 종류에 따라 ginsenoside 전환 경로와 그에 따른 유용 ginsenoside 산물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고 특정한 ginsenoside만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10].
인간의 장내미생물 가운데 유산균은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의 장내미생물 가운데 유산균은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probiotics로 장 운동 조절, 병원성 세균의 성장 억제, 소화 흡수의 촉진, 변비 설사 방지 등의 영양생리적인 건강 증진과 더불어 발효유제품, 자연발효식품, 가축의 사료 및 제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1] 유산균의 건강 증진 효과로 항암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면역증강 효과 등의 효능이 보고되면서 광범위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7]. 최근 유산균을 이용한 ginsenoside 전환에 대한 연구가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유산균과 효소의 종류에 따라 ginsenoside 전환 경로와 그에 따른 유용 ginsenoside 산물을 다양하게 얻을 수 있고 특정한 ginsenoside만을 선택적으로 또는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10].
ginsenoside의 약리작용은 어떠한 효과를 내는가? PPD계열의 ginsenoside Rb1, Rb2, Rc, Rd 및 PPT 계열의 Re, Rg1을 포함한 6종 major ginsenoside가 총 ginsenoside의 90%를 차지한다[20]. Ginsenoside가 갖는 약리작용은 매우 다양하여 항암작용[11], 항당뇨작용[17], 혈압조절기능[26], 항스트레스작용[15], 고지혈증 개선 작용[27], 알레르기 조절작용[31], 중추신경조정기능[12], 신경세포보호[13]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능은 사람 개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대장세균의 분포 및 활성이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이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n, Y. G. 2011. Health supplement food and probiotics. Kor. J. Food Nutr. Winter Season Conference. pp. 32-43. 

  2. Begley, M., Hill, C. and Gahan, C. G. 2006.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in probiotics. Appl. Environ. Microbiol. 72, 1729-1738. 

  3. De Smet, I., Hoorde, L. V., Saeyer, N. D. E., Woestyne, M. V. and Verstraete, W. 1994. In vitro study of bile salt hydrolase (BSH) activity of BSH isogenic Lactobacillus plantarum 80 strains and estimation of cholesterol lowering through enhanced BSH activity. Microbiol. Ecol. Health Dis. 7, 315-329. 

  4. Erkki, S. and Petaja, E. 2000. Screening of commercial meat starter cultures at low pH and in the presence of bile salts for potential probiotic use. Meat Sci. 55, 297-300. 

  5. Hu, S. Y. 1976. The genus Panax (Ginseng) in Chinese medicine. Econ. Bot. 30, 11-28. 

  6. Hyun, M. S., Hur, J. M., Shin, Y. S., Song, B. J., Mun, Y. J. and Woo, W. H. 2009. Comparison study of White Ginseng, Red Ginseng, and fermented Red Ginseng on the protective effect of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 264.7 cells. J. Appl. Biol. Chem. 52, 21-27. 

  7. Ji, G. E. 2011. Development of evidence based probiotic Bifidobacterium for the improvement of human health. Kor. J. Food Nutr. Winter Season Conference. pp. 77-89. 

  8. Kang, K. S., Yamabe, N., Kim, H. Y., Park, J. H. and Yokozawa, T. 2010. Effects of heat-processed ginseng and its active component ginsenoside 20(S)- $Rg_3$ on the progression of renal damage and dysfunction in type 2 diabetic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Biol. Pharm. Bull. 33, 1077-1081. 

  9. Kaur, I. P., Chopra, K. and Saini, A. 2002. Probiotics; potential pharmaceutical applications. Eur J. Pharm Sci. 15, 1-9. 

  10. Kim, J. Y. 2013.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gasseri 3B2 and Its Use for Red Ginseng Fermentation. Master's Thesis of Bioresources & Technology. Yonsei Uni. Wonju. Korea 

  11. Kim, H. S., Lee, E. H., Ko, S. R., Cho, K. J., Park, J. H. and Im, D. S. 2004. Effects of ginsenosides $Rg_3\;and\;Rh_2$ on the proliferation of prostate cancer cells. Arch. Pharm. Res. 27, 429-35. 

  12. Kim, Y. C., Lee, J. H., Kim, M. S. and Lee, N. G. 1985. Effect of the saponin fraction of Panax ginseng on catecholamines in mouse brain J. Arch. Pharm. Res. 8, 45-49. 

  13. Kong, Y. H., Lee, Y. C. and Choi, S. Y. 2009. Neu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n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33, 111-114. 

  14. Lee, Y. J., Kim, H. Y., Kang, K. S., Lee, J. G., Yokozawa, T. and Park, J. H. 2008. The chem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anges of ginsenoside $Rb_1$ by heat processing. Bioorg. Med. Chem. Lett. 18, 4515-4520. 

  15. Lee, M. J., Kim, E. H. and Rhee, D. K. 2008. Effects of Panax ginseng on stress. J. Ginseng Res. 32, 8-14. 

  16. Liu, W. K., Xu, S. X. and Che, C. T. 2000. Anti-proliferative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 Life Sci. 67, 1297-1306. 

  17. Ma, S. W., Benzie, I. F., Chu, T. T. W., Fok, B. S. P., Tomlinson, B. and Critchley, L. A. H. 2008. Effect of Panax ginseng supplementation on biomarkers of glucose tolerance, antioxidant status and oxidative stress in type 2 diabetic subjects: results of a placebo-controlled human intervention trial. Diabetes Obes. Metabol. 10, 1125-1127. 

  18. Martini, M. C., Bolweg, G. L., Levitt, M. D. and Savaiano, D. A. 1987. Lactose digestion by yoghurt ${\beta}$ -galactosidase: Influence of pH and microbial cell integrity. Am. J. Clin. Nutr. 45, 432-437. 

  19. McAuliffe, O., Cano, R. J. and Klaenhammer, T. R. 2005. Genetic analysis of two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in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Appl. Environ. Microbiol. 71, 4925-4929. 

  20. Park, J. H. 2004. Sun ginseng-a new processed ginseng with fortified activity. Food Ind. Nutr. 9, 23-27. 

  21. Perry, J. D., Morris, K. A., James, A. L., Oliver, M. and Gloud, F. K. 2007. Evaluation of novel chromogenic substrates for the detection of bacterial ${\beta}$ -glucosidase. J. Appl. Microbiol. 102, 410-415. 

  22. Quan, L. H., Min, J. W., Yang, D. U., Kim, Y. J. and Yang, D. C. 2012. Enzymatic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b_1$ to 20(S) $Rg_3$ by recombinant ${\beta}$ -glucosidase from Microbacterium esteraromaticum. Appl. Microbiol. Biotechnol. 94, 377-384. 

  23. Quan, L. H., Liang, Z., Kim, H. B., Kim, S. H., Kim, S. Y., Noh, Y. D. and Yang, D. C. 2008. Conversion of ginsenoside Rd to compound K by crude enzymes extracted from Lactobacillius brevis LH8. J. Ginseng Res. 32, 226-231. 

  24. Quan, L. H., Kim, Y. J., Li, G. H., Choi, K. T. and Yang, D. C. 2013. Microbial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b1 to compound K by Lactobacillus paralimentarius.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9, 1001-1007. 

  25. Renchinkhand, G., Park, Y. W., Cho, S. H., Song, G. Y., Bae, H. C., Choi, S. J. and Nam, M. S. 2015. Identification of ${\beta}$ -glucosid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CRNB22 in Kimchi and its potential to convert ginsenoside Rb1 from Panax ginseng. J. Food Biochem. 39, 155-163. 

  26. Renchinkhand, G., Park, Y. W., Song, G. Y., Cho, S. H., Urgamal, M., Bae, H. C., Choi, J. W. and Nam, M. S. 2016. Identification of ${\beta}$ --glucosidase activity of Enterococcus faecalis CRNB-A3 in Airag and its potential to convert ginseno side Rb-1 from Panax ginseng. J. Food Biochem. 40, 120-129. 

  27. Shinkai, K, Akedo, H., Mukai, M., Imamura, F., Isoai, A., Kobayashi, M. and Kitagawa, I. 1996. Inhibition of in vitro tumor cell invasion by ginsenoside $Rg_3$ . Jap. J. Cancer Res. 87, 357-362. 

  28. Stavro, P. M., Woo, M., Heim, T. F., Leiter, L. A. and Vuksan, V. 2005. North American ginseng exerts a neutral effect on blood pressure in individuals with hypertension. Hypertension 46, 406-411. 

  29. Trinh, H. T., Han, S. J., Kim, S. W., Lee, Y. C. and Kim, D. H. 2007. Bifidus fermentation increases hypo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of red ginseng. J. Microbiol. Biotechnol. 17, 1127-1133. 

  30. Yan, Q., Zhou, W., Li, X., Feng, M. and Zhou, P. 2008. Purification method improve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ginsenosidehydrolyzing beta-glucosidase from Paecilomyces bainier sp. 229. Biosci. Biotech. Biochem. 72, 352-359. 

  31. Yi, E. J., Lee, J. M., Yi, T. H., Cho, S. C., Park, Y. J. and Kook, M. C. 2012.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by Lactobacillus brevis THK-D57 Isolated from Kimchi. Kor. J. Food Nutr. 25, 629-636. 

  32. Yun, T. K., Lee, Y. S., Lee, Y. H., Kim, S. I. and Yun, H. Y. 2001. Anticarcinogenic effect of Panax ginseng C. A. Meyer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J. Kor. Med. Sci. 16, 6-18. 

  33. Zhang, R., Jie, J., Zhou, Y., Cao, Z. and Li., W. 2009. Long-term effects of Panax ginseng on disposition of fexofenadine in rats in vivo. Am. J. Chin. Med. 37, 657-6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