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에서 기공 형태에 대한 오해와 진실
Misconceptions and Truth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lant Stomat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2 = no.202, 2017년, pp.241 - 246  

김대재 (충북대학교 생물교육과) ,  이준상 (충북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변세포는 선태류, 양치류 그리고 모든 관다발식물의 잎에서 발견되며, 공변세포벽의 특징은 식물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특수하다. 식물에서 공변세포의 형태적 특징은 단자엽식물쌍자엽식물에서 관찰할 수 있는 두 종류로 분류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단자엽식물은 아령형이고 쌍자엽식물은 콩팥형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많은 단자엽식물의 공변세포는 콩팥형이다. 벼과에 속하는 옥수수와 벼 그리고 사초과의 공변세포는 아령형이다. 아령형의 공변세포를 보이는 식물은 부세포가 있다. 쌍자엽식물의 공변세포는 대부분 콩팥형이며 부세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기공은 공변세포와 부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대부분의 쌍자엽식물은 부세포가 없다. 이제까지 단자엽식물은 공변세포 모양이 아령형이며 쌍자엽식물은 콩팥형으로 알고 있으나, 결론적으로 공변세포의 모양은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에 의해 분류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벼과와 사초과를 제외하면 단자엽식물의 공변세포도 콩팥형이다. 돌나물은 공변세포가 가늘고 긴 입술형 그리고 자주달개비의 공변세포는 완벽하게 반달형이다. 따라서 콩팥형의 경우는 식물에 따라 그 모양이 모두 다르다고 할 수 있으며, 아령형의 경우는 그 공변세포의 형태가 비교적 일정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alls of guard cells have many different specialized features. Guard cells are present in leaves of bryophytes, ferns and almost all of the vascular plants. Guard cells show considerable morphological diversities. It is understood that the stomata show two types in terms of morphological cha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각 엽육세포에는 약 40~60 개의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서 식물의 광합성은 잎에 있는 엽육세포에서 주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변세포와 엽육세포에 존재하는 엽록체는 형태와 기능이 일치할까? 공변세포의 엽록체는 엽육세포의 엽록체보다 작으며, 탄소고정능력과 Rubisco의 활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18, 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쌍자엽식물의 공변세포의 특징은 무엇인가? 아령형의 공변세포를 보이는 식물은 부세포가 있다. 쌍자엽식물의 공변세포는 대부분 콩팥형이며 부세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기공은 공변세포와 부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대부분의 쌍자엽식물은 부세포가 없다.
돌나물과 자주달개비 모두 공통적으로 콩팥형 공변세포이나, 공변세포의 형태에 나타나는 차이점은? 이제까지 단자엽식물은 공변세포 모양이 아령형이며 쌍자엽식물은 콩팥형으로 알고 있으나, 결론적으로 공변세포의 모양은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에 의해 분류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벼과와 사초과를 제외하면 단자엽식물의 공변세포도 콩팥형이다. 돌나물은 공변세포가 가늘고 긴 입술형 그리고 자주달개비의 공변세포는 완벽하게 반달형이다. 따라서 콩팥형의 경우는 식물에 따라 그 모양이 모두 다르다고 할 수 있으며, 아령형의 경우는 그 공변세포의 형태가 비교적 일정하다.
단자엽식물 중 공변세포가 아령형인 식물은? 그러나 많은 단자엽식물의 공변세포는 콩팥형이다. 벼과에 속하는 옥수수와 벼 그리고 사초과의 공변세포는 아령형이다. 아령형의 공변세포를 보이는 식물은 부세포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sady, B., Ni, W., Kircher, S., Schafer, E. and Quail, P. H. 2006. Photoactivated phytochrome induces rapid PIF3 phosphorylation prior to proteasome-mediated degradation. Mol. Cell 23, 439-446. 

  2. El-Din El-Assal, S., Alonso-Blanco, C., Peeters, A. J., Wagemaker, C., Weller, J. L. and Koorneef, M. 2003. The role of cryptochrome 2 in flowering in Arabidopsis. Plant Physiol. 133, 1504-1516. 

  3. Fatemeh, Z. 2006. Density, size and distribution of stomata in different Monocotyledon. Parkistan J. Biol. Sci. 9, 1650-1659. 

  4. Hetherington, A. M. and Woodward, F. I. 2003. The role of stomata in sensing and driving environmental change. Nature 424, 901-908. 

  5. Kim, D. J. and Lee, J. S. 2007. Current theories for mechanism of stomatal opening. J. Plant Biol. 50, 523-526. 

  6. Kohl, F. G. 1886. Die Transpiration der Pflanzen und ihre Einwirkung auf die Ausbildung pflanzticher Gewebe. Braunschweig. 

  7. Kohl, F. G. 1895. Uber Assimilationsenergie und Spaltoffnungsmechanik. Bot. Zbl. 64, 109-110. 

  8. Lee, G. B. 2016. Plant morphology. 410 pp., Life Science Co. Korea. 

  9. Lee, J. S. 1992. Influence of the mesophyll on stomatal opening. Ph.D Thesis Aberdeen Univ. U.K. 

  10. Lee, J. S. 2010. Stomatal opening mechanism of CAM plants. J. Plant Biol. 53, 19-23. 

  11. Lee, J. S. 2013. Do really close stomata by soil drying ABA produced in the roots and transported in transpiration stream? Am. J. Plant Sci. 4, 169-173. 

  12. Lee, J. S. and Bowling, D. J. F. 1992. Effect of the mesophyll on stomatal opening in Commelina communis. J. Exp. Bot. 43, 951-957. 

  13. Lee, J. S. and Bowling, D. J. F. 1993. Influence of the mesophyll on the change of electrical potential difference of guard cells induced by red light and $CO_2$ in Commelina communis L. and Tradescantina virginiana L. Kor. J. Bio. 36, 383-389. 

  14. Lee, J. S. and Bowling, D. J. F. 1995. Influence of the mesophyll on stomatal opening. Australian J. Plant Physiol. 22, 357-363. 

  15. Lee, J. S., Kwon, Y. M., Koh, S. C., Kim, J. C., Moon, B. Y., Park, M. C., Park, H. B., Park, I. H., Lee, Y. S., Lee, I. H., Lee, J. B., Lee, C. H., Jun, B. O., Cho, S. H. and Hong, J. B. 2003. New plant physiology. 478 pp., Academy Books. Korea. 

  16. Lee, J. S. and Park. C. H. 201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ization of guard cells in different plants. J. Environ. Sci. Int. 25, 1051-1056. 

  17. Lee, Y. S. 2002. Plant systematics. 575 pp., Usung Co. Korea. 

  18. Lu, P., Outlaw, W. H., Smith, B. G. and Freed, G. A. 1997. A new mechanism for the regulation of stomatal aperture size in intact leaves. Plant Physiol. 114, 109-118. 

  19. Meidner, H. and Mansfield, T. A. 1968. Physiology of stomata. 457 pp., McGgraw Hill Co. U.K. 

  20. Outlaw, W. 1996. Stomata, pp. 241-259, In N. R. Baker (ed.), Photosynthesis and the environment. Springer Dordreht, Netherland. 

  21. Park, H. D., Park, J. H., Park, S. J. and Jung, B. G. 2006. Plant systematics. 280 pp., World Sci. Korea. 

  22. Poffenroth, M., Green, D. B. and Tallman, G. 1992. Sugar concentrations in guard cells of Vicia faba illuminated with red or blue light. Plant Physiol. 98, 1460-1471. 

  23. Ritte, G., Sakr, S., Rohrig, R. and Raschke, K. 1999. Rates of sugar uptake by guard cell protoplasts of Pisum sativum L. related to the solute requirement for stomatal opening. Plant Physiol. 121, 647-655. 

  24. Taiz, L. and Zeiger, E. 2010. Plant physiology. 812 pp.,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United States. 

  25. Talboll, L. D., Shimayevich, I. J., Chung, Y., Hammad, J. W. and Zeiger, E. 2003. Blue light and phytochrome-mediated stomatal opening in the npq1 and phot1 phot2 mutants of Arabidopsis. Plant Physiol. 133, 1522-1529. 

  26. Talboll, L. D. and Zeiger, E. 1998. The role of sucrose in guard cell osmoregulation. J. Exp. Bot. 49, 329-337. 

  27. Ting, I. P. 1987. Stomata in plants with crassulacean acid metabolism, pp. 353-366, In: Zeiger, E., Faquhar, G.D., Cowan, I.R. (eds), Stomatal func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 

  28. Wallace, R. A., Sanders, J. P. and Perl, R. J. 1991. The science of life. 1074 pp., HarperCollinis Publiishers Inc. New York. 

  29. Zeiger, E., Iino, M. M., Shimazaki, K. and Ogawa, T. 1987. The blue light response of stomata, pp. 209-227, In Zeiger, E., Faquhar, G. D., Cowan, I. R. (eds), Stomatal func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 

  30. Zeiger, E. and Talbott, L. D. 1998. The role of sucrose in guard cell osmoregulation. J. Exp. Bot. 49, 329-337. 

  31. Zeiger, E., Talbott, L. D., Frechilla, S., Srivastava, A. and Zhu, J. 2002. The guard cell chloroplast: a perspectiv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New Phyto. 153, 415-4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