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암사 소장 <용문자수탁의(龍紋刺繡卓衣)> 연구
Study on Housed at Museum of Sun Am Templ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7 no.2, 2017년, pp.88 - 100  

심연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r the textiles of at Sun Am Temple and characteristic of embroidery. Tak Ui was composed of orange body and green upper cover, and had no strings. The body plate was covered with embroidery, with Gauze base, and upper part was appliqued, by cutting dragon pattern, cloud pattern on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스플릿 스티치라는 자수기법에 대한 명명을 찾을 수 없어 필자가 가칭한 이름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기법은 서양자수에서는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벽수(劈繡)’라고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이 자수기법에 대한 명명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필자는 이 자수법을 ‘가름이음수’라고 가칭하였다.
탁의는 무엇인가? 탁의는 왕실이나 사찰에서 의식을 행할 때 상 위를 덮거나 옆으로 쳐서 두르던 중요한 장엄구이다. <숙종실록> 30권 1696년 11월의 기록에 “삼언 등은 체종이 불탁의(佛卓衣)를 훔쳤는데, 저희들에게 발각되자 이렇게 거짓으로 끌어대었다 하였다(三彦等以爲: 體宗偸佛卓衣, 爲渠輩所覺, 有此誣引)”는 내용을 통해 사찰에서 쓰는 탁의는 ‘불탁의(佛卓衣)’라고 하였으며, 통도사 소장 용문탁의에도 ‘탁의(卓衣)’라는 명문이 묵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용문자수탁의는 중요민속문화제 제 몇 호인가? 순천 선암사(仙巖寺)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용문자수탁의(龍紋刺繡卓衣)>1)는 삼보명자수가사(三寶名刺繡袈裟), 쌍용문직은가사(雙龍紋織銀袈裟)와 함께 중요민속문화재 제244호로 지정되어 있다. 탁의는 몸판 전체가 자수로 조성되었으며, 특별한 자수기법과 다채한 색채구성으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Dankook University Suk Joo-Sun Memorial Museum. (Ed.) (2001). Textile Patterns in Joseon Dynasty. Seoul, Republic of Korea: Dankook University Press. 

  2. Heo, S. H. (2004). The buddhist altar of the late Joseon period,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44(5), 121-170. 

  3. Kang, W. B. & Kim, S. H. (2010). The World of Nectar Ritual Painting. Seoul, Republic of Korea: Yekyong. 

  4.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0). Costumes Excavated from Yi,Jin-sung's tomb. Seoul, Republic of korea: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5. Sukjong Silok[肅宗實錄] (1696). 

  6. Sim, Y. O. (2002). 5,000 Years of Korean Textiles, Seoul, Republic of Korea: ISAT. 

  7. Sim, Y. O. (2006). 2,000 Years of Korean Textile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 ISAT. 

  8. Sim, Y. O. (2013), Study on Fabric and Embroidery of .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6(3), 230-251. 

  9.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CASS, Museum of Ding Ling & The archaeological team of the city of Beijing. (1990). Ding Ling[定陵]. Beijing, Republic of China: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Press. 

  10. Zhao, F. (1999). Treasures in Silk. Hong Kong, People's Republic of China: ISA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