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청 요산 농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Study between Serum Uric Acid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38 - 46  

박덕현 (차의과학대학 부속 구미차병원) ,  이은령 (경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주정열 (경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과 혈청 요산 농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한 수진자 총 1,444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남성은 977명, 여성은 4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신체계측과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혈청 요산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과의 상관성과 혈청 요산의 등급을 구분하여 발생하는 위험인자의 수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41.63{\pm}6.29$세, $35.75{\pm}6.61$세로 나타났다. 혈청 요산의 평균수치는 남성이 $6.30{\pm}1.39mg/dL$, 여성은 $4.43{\pm}0.89mg/dL$로 남성이 높게 나왔다. 혈청 요산 농도에 따른 상관관계는 남성에서는 나이,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중성지방, HDL-cholesterol, WBC count, ESR이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5), 여성의 경우는 허리둘레,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 HDL-cholesterol, ESR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왔다(p<0.05). 혈청 요산 농도의 등급에 따른 위험인자 수는 혈청 요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전체적인 유병률은 남성이 17.4%로 여성의 10.2% 보다 높게 나왔다. 대사증후군과 혈청 요산 농도와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혈청 요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대사 증후군의 위험인자 또한 관련성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혈청 요산 농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지 않은 젊은 성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예방을 위한 대상자 선정에 혈청 요산 농도를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which is one of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emerging as an issue in the society, and the serum uric acid level.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444 patients who took a medical examination at a health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 역학적 연구에서 고요산혈증이 고혈압, 심부전 등 심혈관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 된 바 있으며[14-17], 최근 비만,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과의 상관관계가 보고되는 등[18-20] 인슐린 저항성 및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에 성인 건강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혈청 요산 증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인자 등의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고 혈청 요산의 측정으로 만성질환 발생을 선행단계에서 감별하는 수단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Kylin이 1923년에 고혈압, 고혈당, 고요산혈증 등이 함께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처음으로 언급된 이후, 1988년 Reaven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이 대사 장애를 이루는 질병을 X증후군 원인임을 밝히고[1], 복부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고혈당과 같은 인슐린저항성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대사성질환과 뇌·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의 집합체이며[2], 유전적 인자와 환경적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그 기전은 불명확하지만, 주된 요인이 생활습관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활 습관병으로 개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기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3][4]. 많은 연구에서 대사증후군이 혈청 요산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5][6],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인 고인슐린혈증, 비만, 당뇨에 선행해서 고요산혈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9].
많은 연구에서 대사증후군과 관련 있다 평가한 요인은? 대사증후군은 Kylin이 1923년에 고혈압, 고혈당, 고요산혈증 등이 함께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처음으로 언급된 이후, 1988년 Reaven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이 대사 장애를 이루는 질병을 X증후군 원인임을 밝히고[1], 복부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고혈당과 같은 인슐린저항성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대사성질환과 뇌·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들의 집합체이며[2], 유전적 인자와 환경적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그 기전은 불명확하지만, 주된 요인이 생활습관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활 습관병으로 개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기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3][4]. 많은 연구에서 대사증후군이 혈청 요산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5][6],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인 고인슐린혈증, 비만, 당뇨에 선행해서 고요산혈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9]. 특히, Alderman 등[10]은 고요산혈증을 보이는 환자에게서 고혈압이 많다는 것을 알았으며, 고요산혈증이 수축기 혈압의 10 mmHg과 총콜레스테롤 20 mg/dL의 증가를 시키는 심혈관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보고하였다.
혈청 요산 증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인자 등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증대되는 배경은? 여러 역학적 연구에서 고요산혈증이 고혈압, 심부전 등 심혈관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 된 바 있으며[14-17], 최근 비만,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과의 상관관계가 보고되는 등[18-20] 인슐린 저항성 및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에 성인 건강검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혈청 요산 증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인자 등의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고 혈청 요산의 측정으로 만성질환 발생을 선행단계에서 감별하는 수단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G. M. Reaven, "Role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Vol.37, pp.1595-1607, 1988. 

  2. R. A. DeFonzo and E. Ferrannini, "Insulin resistance: a multifaceted syndrome responsible for NIDDM, obesity,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tic caru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Vol.14, pp.173-194, 1991. 

  3. A. D. Liese, E. J. Mayer-Davis, H. A. Tyroler, C. E. Davis, U. Keil, and M. I. Schimidt, "Familial components of the multiple metabolic syndrome: the ARIC study," Diabetologia, Vol.40, pp.963-970, 1997. 

  4. Y. Hong, N. L. Pedersen, K. Brismar, and Y. de Faire, "Genetic and environmental architecture of the features of the insulin-resistance syndrome," Am J Genet, Vol.40, pp.963-970, 1997. 

  5. X. Sui, T. S. Church, R. A. Meriwether, F. Lobelo, and S. N. Blair, "Uricaci d and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women and men," Metabolism, Vol.57, No.6, pp.845-852, 2008. 

  6. H. K. Choi and E. S. Ford,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yperuricemia," Am J Med, Vol.120, No.5, pp.442-447, 2007. 

  7. T. Nakagawa, K. R. Tuttles, R. A. Short, and R. J. Johnson, "Hypothesis: fructose-induced hyperuricemia as a causal mechanism for the epidemic of the metabolic syndrome," Nat Clin Pract Nephrol, Vol.1, No.2, pp.80-86, 2005. 

  8. K. Masuo, H. Kawaguchi, H. Mikami, T. Ogihara, and M. L. Tuck, "Serum uric acid and plasma norepinephrine concentrations predict subsequent weight gain and blood pressure elevation," Hypertension, Vol.42, No.4, pp.474-480, 2003. 

  9. A. Dehghan, M. van Hoek, E. J. Sijbrands, A. Hofman, and J. C. Witteman, "High serum uric acid as a novel risk factor for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Vol.31, No.2, pp.361-362, 2008. 

  10. M. H. Alderman, H. Cohen, S. Madhavean, and K. Salah, "Serum uric acid and cardiovascular events in successfully treated hypertensive patients," Hypertension, Vol.34, No.1, pp.144-150, 1999. 

  11. B. Alverez-Lario and J. Macarron-Vicente, "Uric acid and evolution," Rheuma-tology, Vol.49, pp.2010-2015, 2010. 

  12. E. P. De Oliveira and R. C. Burini, "High plasma uric acid concentration: causes and consequences," Diabetology & Metabolic syndrome, Vol.4, pp.4-12, 2012. 

  13. B. Rocic, M. Vucic-Lovrencic, N. Poje, M. Poje, and F. Bertuzzi, "Uric acid may inhibit glucose-induced insulin secretion via binding to an essential arginine residue in rat pancreatic beta-cells," Bioorg Med Chem Lett, Vol.15, No.4, pp.1181-1184, 2005. 

  14. R. Klein, B. E. Klein, J. C. Cornoni, J. Maready, J. C. Cassel, and H. A. Tyroler, "Serum uric acid: its relationship to coronary heart disease risk facto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Evans County, Georgia," Ann Intern Med., Vol.132, pp.401-410, 1973. 

  15. H. A. Kahn, J. H. Medalie, H. N. Neufeld, E. Riss, and U. Goldbourt,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and associated factors: the Israel ischemic heart disease study," Am Heart J., Vol.84, pp.171-182, 1972. 

  16. J. V. Selby, G. D. Friedman, and C. P. Quesenberry Jr, "Precursors of essential hypertension: pulmonary function, heart rate, uric acid, serum cholesterol, and other serum chemistries," Am J Epidemiol, Vol.131, pp.1017-1027, 1990. 

  17. F. Jossa, E. Farinaro, S. Panico, V. Krogh, E. Celentano, and R. Galasso, "Serum uric acid and hypertension: the Olivetti heart study," J Hum Hypertens, Vol.8, pp.677-681, 1994. 

  18. I. Zavaroni, S. Mazza, M. Fantuzzi, E. Dall''Aglio, E. Bonora, and R. Delsignore, "Changes in insulin and lipid metabolism in males with asymptomatic hyperuricaemia," J Intern Med, Vol.234, pp.25-30, 1993. 

  19. H. Vuorinen-Markkola and H. Yki-Jarvinen, "Hyperuricemia and insulin resistance," J Clin Endocrinol Metab, Vol.78, pp.25-29, 1994. 

  20. M. Cigolini, G. Targher, M. Tonoli, F. Manara, M. Muggeo, and G. De Sandre, "Hyperuricaemia: relationship to body fat distribution and other components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38-year-old healthy men and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Vol.19, pp.92-96, 1995. 

  21. C. M. Alexander, P. B. Landsman, S. M. Teutsch, and S. M. Haffner, "NCEP defined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preval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NHANES III participants age 50 years and older," Diabetes, Vol.52, pp.1210-1204, 2003. 

  22. B. S. Cha and H. J. Kim,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 Korean Circ J., Vol.33, pp.645-652, 2003. 

  23. J. R. Sowers and M. Lester,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Care, Vol.22, Suppl.3, pp.C14-20, 1999. 

  24. M. Mazzali, J. Kanellis, L. Han, L. Feng, Y. Y. Xia, and Q. Chen, "Hyperuricemia induces a primary arteriolopathy in rats by a blood pressureindependent mechanism," Am J Physiol Renal Physiol, Vol.282, pp.F991-997, 2002. 

  25. H. J. Ward, "Uric aci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Lancet, Vol.352, pp.670-671, 1998. 

  26. M. H. Ginsberg, F. Kozin, M. O'Malley, and D. J. McCarty, "Release of platelet constituents by monosodium urate crystals," J Clin Invest, Vol.60, pp.999-1007, 1997. 

  27. J. G. Wheeler, K. D. M. Juzwishin, G. Eiriksdottir, V. Gudnason, and J. Danesh, "Serum uric acid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9,458 incident cases and 155,084 controls: prospective study and meta-analysis," PloS Med, Vol.2, No.3, pp.236-234, 2005. 

  28. B. H. Solymoss, M. G. Bourassa, L. Campeau, A. Sniderman, M. Marcil, and J. Lesperance, "Effect of Increasing Metabolic syndrome score on atherosclerotic risk profil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ngiographic severity," Am J Cardiol, Vol.93, pp.159-164, 2004. 

  29. V. Regitz-Zagrosek, E. Lehmkuhl, and M. O. Weickert, "Gender differences in the metabolic syndrome and their role for cardiovascular disease," Clin Res Cardiol, Vol.95, pp.136-147, 2006. 

  30. H. S. Park, S. W. Oh, J. H. Kang, Y. W. Park, and J. M Choi,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J Korean Soc Study Obes, Vol.12, pp.1-14, 2003. 

  31. H. Sumino, S. Ichikawa, T. Kanda, T. Nakamura, and T. Sakamaki, "Reduction of serum uric acid by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hyperuricaemia," Lancet, Vol.354, p.650, 1999. 

  32. Kap-Tae Park, In-Sik Kim, Se-Cheol Yoo, Jin-Seok Yoon, Tae-Ho Ahn, and Jung-Hwa Lee, "Relationship between Serum Uric Acid, Abdominal Obesity, and Waist Circumference in Korean," Korean J Clin Lab Sci., Vol.44, No.2, pp.39-45, 2012. 

  33. S. M. Grundy, "Approach to lipoprotein management in 2001 National Cholesterol Guidelines," Am J Cardiol, Vol.90, pp.11-2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