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현병 환자의 치료 반응에 따른 Mismatch Negativity 변화
Association of Therapeutic Response and Change of Mismatch Negativity in Schizophrenia Patients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4 no.4, 2017년, pp.188 - 195  

이소연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의혁 (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임상병리학과) ,  김종우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강원섭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chizophrenia is characterized by disturbances in perception and cognition. Attenuated mismatch negativity (MMN) reflects central auditory dysfunction in schizophreni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MN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schizophrenia patients and to assess the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조현병 환자와 일반인의 MMN 차이 비교를 통해 인지 기능과의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에 비하여 치료 반응에 따른 MMN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치료 전후 MMN 진폭과 잠재기 측정을 통하여 치료 반응성에 따른 MMN의 변화의 관계 및 MMN 변화와 관련된 임상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치료 전후의 MMN를 측정하고 치료 반응성과 환청 호전 유무로 나누어 MMN의 평균 및 최대 진폭, 최대 잠복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치료 후 치료 반응군의 MMN 진폭이 증가하였고 비반응군과 변화량의 차이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ismatch negativity란 무엇인가? 2) 특히 사건 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 이하 ERP)의 일종인 P50, mismatch negativity(이하 MMN), P300 등이 조현병 환자에서 특이적인 양상을 보여 조현병의 생물학적 지표로서 주목받고 있다.2)3) MMN은 반복적인 표준 자극(standard stimulus)에 간헐적인 변이 자극(deviant stimulus)을 주었을 때의 두 ERP의 차이로 100~250 ms의 잠재기(latency)를 갖는 음성파이다.4) MMN은 자극에 집중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상치 못한 자극을 자동적으로 인지하고 처리하는 과정과 관련된 뇌의 활성 신호이다.5-7) 따라서 피험자의 동기가 없거나 집중하지 않아도 청각 정보처리의 병태 생리를 연구할 수 있다.
조현병이란 무엇인가? 조현병은 실행 기능, 작업 기능 등 인지 기능과 시청각 자극 처리과정 등에서 장애를 보이는 만성적인 질환이다.1) 조현병에서 청각 지각 인지와 처리 이상은 해마의 N-methyl-Daspartate(이하 NMDA) 수용체 기능 저하로 gamma-aminobutyric acid(이하 GABA) 억제 기능이 상실되어 피라미드 세포 내의 글루타메이트(glutamate) 과다로 인한 대뇌피질과분극 및 신경조직의 과활성화로 인해 유발된다.
조현병에서 청각 지각 인지와 처리 이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조현병은 실행 기능, 작업 기능 등 인지 기능과 시청각 자극 처리과정 등에서 장애를 보이는 만성적인 질환이다.1) 조현병에서 청각 지각 인지와 처리 이상은 해마의 N-methyl-Daspartate(이하 NMDA) 수용체 기능 저하로 gamma-aminobutyric acid(이하 GABA) 억제 기능이 상실되어 피라미드 세포 내의 글루타메이트(glutamate) 과다로 인한 대뇌피질과분극 및 신경조직의 과활성화로 인해 유발된다. 조현병의 발생기전 및 원인을 밝히기 위한 여러 내적 표현형들 중 조현병과 관련된 청각 정보처리의 전기생리학적인 이상이 일관되게 발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omayoun S, Nadeau-Marcotte F, Luck D, Stip E.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 dysfunction in schizophrenia-is there a link? Front Psychol 2011;2:148. 

  2. Pearlson GD. Neurobiology of schizophrenia. Ann Neurol 2000;48:556-566. 

  3. Turetsky BI, Calkins ME, Light GA, Olincy A, Radant AD, Swerdlow NR. Neurophysiological endophenotypes of schizophrenia: the viability of selected candidate measures. Schizophr Bull 2007;33:69-94. 

  4. Naatanen R. Selective attention and evoked potentials in humans--a critical review. Biol Psychol 1975;2:237-307. 

  5. Shelley AM, Ward PB, Catts SV, Michie PT, Andrews S, McConaghy N. Mismatch negativity: an index of a preattentive processing deficit in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1991;30:1059-1062. 

  6. Naatanen R, Paavilainen P, Rinne T, Alho K. The mismatch negativity (MMN) in basic research of central auditory processing: a review. Clin Neurophysiol 2007;118:2544-2590. 

  7. Naatanen R, Jacobsen T, Winkler I. Memory-based or afferent processes in mismatch negativity (MMN): a review of the evidence. Psychophysiology 2005;42:25-32. 

  8. Javitt DC, Sweet RA. Auditory dysfunction in schizophrenia: integrating clinical and basic features. Nat Rev Neurosci 2015;16:535-550. 

  9. Bodatsch M, Brockhaus-Dumke A, Klosterkotter J, Ruhrmann S. Forecasting psychosis by event-related potentials-systematic review and specific meta-analysis. Biol Psychiatry 2015;77:951-958. 

  10. Atkinson RJ, Michie PT, Schall U. Duration mismatch negativity and P3a in first-episode psychosis and individuals at ultra-high risk of psychosis. Biol Psychiatry 2012;71:98-104. 

  11. Nagai T, Tada M, Kirihara K, Yahata N, Hashimoto R, Araki T, et al. Auditory mismatch negativity and P3a in response to duration and frequency changes in the early stages of psychosis. Schizophr Res 2013; 150:547-554. 

  12. Todd J, Michie PT, Schall U, Karayanidis F, Yabe H, Naatanen R. Deviant matters: duration, frequency, and intensity deviants reveal different patterns of mismatch negativity reduction in early and late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2008;63:58-64. 

  13. Umbricht D, Krljes S. Mismatch negativity in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Schizophr Res 2005;76:1-23. 

  14. Naatanen R, Kahkonen S. Central auditory dysfunction in schizophrenia as revealed by the mismatch negativity (MMN) and its magnetic equivalent MMNm: a review. Int J Neuropsychopharmacol 2009;12:125-135. 

  15. Kim M, Kim SN, Lee S, Byun MS, Shin KS, Park HY, et al. Impaired mismatch negativity is associated with current functional status rather than genetic vulnerability to schizophrenia. Psychiatry Res 2014;222:100-106. 

  16. Rosburg T, Kreitschmann-Andermahr I. The effects of ketamine on the mismatch negativity (MMN) in humans-a meta-analysis. Clin Neurophysiol 2016;127:1387-1394. 

  17. Kantrowitz JT, Epstein ML, Lee M, Lehrfeld N, Nolan KA, Shope C, et al. Improvement in mismatch negativity generation during d-serine treatment in schizophrenia: correlation with symptoms. Schizophr Res 2017. pii: S0920-9964(17)30116-0. 

  18. Nagai T, Kirihara K, Tada M, Koshiyama D, Koike S, Suga M, et al. Reduced mismatch negativit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plasma level of glutamate in first-episode psychosis. Sci Rep 2017;7:2258. 

  19. Kay SR, Fiszbein A, Opler LA.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or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87;13:261-276. 

  20. Haddock G, McCarron J, Tarrier N, Faragher EB. Scales to measure dimensions of hallucinations and delusions: the psychotic symptom rating scales (PSYRATS). Psychol Med 1999;29:879-889. 

  21. CRAN-Package erp.easy [homepage on the Internet]. Vienna: erp. easy: Event-Related Potential (ERP) Data Exploration Made Easy [updated 2017 March 2; cited 2017 Aug 2]. Available from: https://CRAN.R-project.org/packageerp.easy. 

  22. Fisher DJ, Labelle A, Knott VJ. Alterations of mismatch negativity (MMN) i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auditory hallucinations experiencing acute exacerbation of illness. Schizophr Res 2012;139:237-245. 

  23. Fisher DJ, Grant B, Smith DM, Borracci G, Labelle A, Knott VJ. Effects of auditory hallucinations on the mismatch negativity (MMN) in schizophrenia as measured by a modified 'optimal' multi-feature paradigm. Int J Psychophysiol 2011;81:245-251. 

  24. Kasai K, Shenton ME, Salisbury DF, Hirayasu Y, Lee CU, Ciszewski AA, et al. Progressive decrease of left superior temporal gyrus gray matter volume in patients with first-episode schizophrenia. Am J Psychiatry 2003;160:156-164. 

  25. Erickson MA, Ruffle A, Gold JM. A meta-analysis of mismatch negativity in schizophrenia: from clinical risk to disease specificity and progression. Biol Psychiatry 2016;79:980-987. 

  26. Kargel C, Sartory G, Kariofillis D, Wiltfang J, Muller BW. Mismatch negativity latency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izophrenia. PLoS One 2014;9:e84536. 

  27. Grzella I, Muller BW, Oades RD, Bender S, Schall U, Zerbin D, et al. Novelty-elicited mismatch negativit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n admission and discharge. J Psychiatry Neurosci 2001;26:235-246. 

  28. Picton TW, Alain C, Otten L, Ritter W, Achim A. Mismatch negativity: different water in the same river. Audiol Neurootol 2000;5:111-139. 

  29. Toyomaki A, Kusumi I, Matsuyama T, Kako Y, Ito K, Koyama T. Tone duration mismatch negativity deficits predict impair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schizophrenia.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8;32:95-99. 

  30. Umbricht D, Javitt D, Novak G, Bates J, Pollack S, Lieberman J, et al. Effects of risperidone on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in schizophrenia. Int J Neuropsychopharmacol 1999;2:299-304. 

  31. Zhou Z, Zhu H, Chen L. Effect of aripiprazole on mismatch negativity (MMN) in schizophrenia. PLoS One 2013;8:e52186. 

  32. Oranje B, Aggernaes B, Rasmussen H, Ebdrup BH, Glenthoj BY. Selective attention and mismatch negativity in antipsychotic-naive, firstepisode schizophrenia patients before and after 6 months of antipsychotic monotherapy. Psychol Med 2017;47:2155-2165. 

  33. Korostenskaja M, Dapsys K, Siurkute A, Maciulis V, Ruksenas O, Kahkonen S. Effects of olanzapine on auditory P300 and mismatch negativity (MMN) in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5;29:543-548. 

  34. Umbricht D, Javitt D, Novak G, Bates J, Pollack S, Lieberman J, et al. Effects of clozapine on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in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1998;44:716-725. 

  35. During S, Glenthoj BY, Oranje B. Effects of blocking D2/D3 receptors on mismatch negativity and P3a amplitude of initially antipsychotic naive, first episode schizophrenia patients. Int J Neuropsychopharmacol 2016;19:pyv109. 

  36. Laruelle M, Frankle WG, Narendran R, Kegeles LS, Abi-Dargham A. Mechanism of action of antipsychotic drugs: from dopamine D(2) receptor antagonism to glutamate NMDA facilitation. Clin Ther 2005;27 Suppl A:S16-S24. 

  37. Ceglia I, Carli M, Baviera M, Renoldi G, Calcagno E, Invernizzi RW. The 5-HT receptor antagonist M100,907 prevents extracellular glutamate rising in response to NMDA receptor blockade in the mPFC. J Neurochem 2004;91:189-199.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