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on Children'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1, 2017년, pp.43 - 63  

유민아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황혜신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depending on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Methods: A total of 478 subjects, 239 dyads of 3 and 4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1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아-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은 유아의 기질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수준이므로 어머니가 유아에게 요구하는데 전반적인 경향과 관련 변인을 찾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하지만 이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어머니 요구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기위해 유아의 인구학적인 변인인 성, 연령, 출생순위 및 유아의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가 어떠한지 그리고 어머니의 인구학적인 변인인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유무 및 어머니의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하지만 절대 값으로 측정된 조화적합성은 기질 특성에 대해서 유아와 어머니의 관계가 조화로운지, 조화롭지 못한지의 정도만 알 수 있을 뿐 모든 차원을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방법으로 조화적합성의 모든 차원을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구학적인 변인인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유무 및 어머니의 기질과 유아의 인구학적인 변인인 성, 연령, 출생순위 및 유아의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조화적합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한 방법인 조화적합성 4 단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차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6개 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239명(만3세아 97명, 만4세아 142명)과 유아의 어머니 239명, 유아의 담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인구학적인 변인인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유무 및 어머니의 기질과 유아의 인구학적인 변인인 성, 연령, 출생순위 및 유아의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조화적합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한 방법인 조화적합성 4 단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차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조화적합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어머니 요구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어머니가 자녀에게 요구하는 수준의 전반적인 경향을 제시하고 어머니 요구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조화적합성 연구방법에 있어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조화적합성의 모든 양상에 대한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차이를 검증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김기홍(2009)의 연구에 의하면 어머니와 자녀간의 활발한 기질 조화적합성, 적응적 기질 조화적합성, 규칙적 기질 조화적합성과 보육시설 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어머니와 자녀간의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방법으로 조화적합성을 측정하였고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요구도 수준이 높고 낮은 모든 양상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차이를 밝힐 수 있었다.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요구 수준을 짝지어서 유아-어머니의 조화적합성 4 단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어머니의 인구학적인 변인 및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조화적합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어머니요구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어머니가 자녀에게 요구하는 수준의 전반적인 경향을 제시하고, 조화적합성 연구방법에 있어서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조화적합성의 모든 수준에서 그 양상을 살펴본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유아기는 가족중심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로 확장되어 가는 시기로서, 이때의 안정적인 관계맺음은 이후에 관계를 형성하고 발달하는데 중요하며(김향은, 정옥분, 1999; 신유림, 윤수정, 2009; 오경희, 2010), 유아의 기질 특성은 3세 이전에는 비교적 안정적이나 그 후에는 발달적 변화의 가능성이 높으므로(천희영, 1998) 만3세와 만4세의 유아와 어머니의 조화적합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어머니의 인구학적인 변인 및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유아기는 가족중심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로 확장되어 가는 시기로서, 이때의 안정적인 관계맺음은 이후에 관계를 형성하고 발달하는데 중요하며(김향은, 정옥분, 1999; 신유림, 윤수정, 2009; 오경희, 2010), 유아의 기질 특성은 3세 이전에는 비교적 안정적이나 그 후에는 발달적 변화의 가능성이 높으므로(천희영, 1998) 만3세와 만4세의 유아와 어머니의 조화적합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어머니의 인구학적인 변인 및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조화적합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어머니요구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어머니가 자녀에게 요구하는 수준의 전반적인 경향을 제시하고, 조화적합성 연구방법에 있어서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조화적합성의 모든 수준에서 그 양상을 살펴본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조화적합성을 살펴보기에 앞서 조화적합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환경의 영향으로 나아질 수 있는 어머니의 요구도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어머니의 요구도는 자녀의 성, 연령, 출생순위와 같은 인구학적인 변인보다 자녀의 기질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이는 어머니가 자녀의 기질을 반영하여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 한편, 본 연구는 조화적합성 측정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다른 차원의 방법으로 조화적합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부분 선행연구들(김기홍, 이주리, 2010; 서주현, 2009; 이경옥, 2005; 이순복, 김문숙, 2011; 이시자, 2013; 장유진, 2011; 천희영, 1995, 1996; 최미경, 2010; 허미경, 이소은, 2010)은 조화적합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조화적합성 점수를 유아의 기질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도 점수와 유아의 기질특성 점수 차이의 절대 값이라고 정의하였다.

가설 설정

  • 조화적합성은 유아의 기질특성이 환경의 반응을 유발하고, 그 반응은 다시 유아에게 귀환반응(feedback)으로 순환되어 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순환적 기능을 가정한다(Schneirla, 1957). 예를 들어 유아와 어머니의 조화적합성에 적용해보면, 활발한 기질특성을 가진 유아를 이해하여 뛰어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어머니의 자녀는 정서적, 신체적으로 긍정적인 발달이 기대되지만 활발한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여 정적인 활동을 요구하는 어머니의 자녀는 문제행동으로 표출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화적합성이란 무엇인가? Thomas와 Chess(1977)는 개체의 특성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조화적합성(Goodness of fit)’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조화적합성은 개인의 기질이 환경이 바라는 요구, 기대등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단순히 동일한 기질특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기질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의 적절한 요구와 기대를 의미한다.
부모의 적절한 기대는 유아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 요인인가? , 1986)이기에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기대와 가치 등이 포함된 요구이다.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요구도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배경숙, 조희숙, 2004) 부모의 적절한 기대는 유아 발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오영미, 1998) 유아의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Belsky, 1997). 또한 유아-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은 유아의 기질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수준이므로 어머니가 유아에게 요구하는데 전반적인 경향과 관련 변인을 찾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하지만 이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어머니 요구도의 전반적인 경향이 어떠한 지 파악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요구도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배경숙, 조희숙, 2004) 부모의 적절한 기대는 유아 발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오영미, 1998) 유아의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Belsky, 1997). 또한 유아-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은 유아의 기질특성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수준이므로 어머니가 유아에게 요구하는데 전반적인 경향과 관련 변인을 찾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하지만 이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어머니 요구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기위해 유아의 인구학적인 변인인 성, 연령, 출생순위 및 유아의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가 어떠한지 그리고 어머니의 인구학적인 변인인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유무 및 어머니의 기질에 따라 어머니의 요구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공경혜 (2003).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수연 (2005).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2세아의 사회적 행동.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27-55. 

  3. 김광웅, 정은혜 (2003).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3(1), 5-42. 

  4. 김기홍 (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홍, 이주리 (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보육지원학회지, 6(1), 47-65. 

  6. 김기홍 (201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 모자녀간 조화적합성과 어린이집 생활적응행동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831-850. 

  7. 김난경 (2001). 유아-어머니의 기질조화 적합성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민아, 이재신 (2004). 어머니 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5), 145-167. 

  9. 김상림 (2012).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4), 207-230. 

  10. 김영희 (1995). 아동의 놀이성 군(群)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향은, 정옥분 (1999).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0, 170-193. 

  12. 두경자, 홍계옥 (1997).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관계. 가정문화연구, 11, 17-31. 

  13. 류경 (2000). 보육시설 초기적응과정의 영아 행동특징과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근주 (2014). 유아의 자기조절력, 놀이성,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효순, 이성한 (2006). 또래간의 책읽기 활동이 5세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0(2), 35-54. 

  16. 배경숙, 조희숙 (2004).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기질요구도 및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총론, 13(2), 137-152. 

  17. 보건복지부 (2012). 2012 보육실태조사 결과 발표. 서울: 보건복지부 

  18. 서미정 (1999). 개인적 변인 및 환경적 변인이 아동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서주현 (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성숙자 (1999).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33, 91-119. 

  21. 송진숙, 권희경 (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07-225. 

  22. 신유림, 윤수정 (2009).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련성: 유아 및 교사 지각의 비교. 유아교육연구, 29(5), 5-19. 

  23. 신지연 (2011). 유아의 기질 및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2), 291-312. 

  24. 안선희 (2002).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63-180. 

  25. 오경희 (2010). 유아-교사의 갈등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교사변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오영미 (1998). 유아기 자녀의 발달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기대수준의 차이.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오종은 (2001).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원영미 (1990).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 변수와 유치원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윤진, 김정민 (1991). 인간발달과 기질과의 관계: 조화의 적합모델의 이론적 기초와 그 유용성. 한국심리교육학회, 10(1), 43-60. 

  30. 이경옥 (2005).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아동의 문제행동. 놀이치료연구, 9(2), 1-17. 

  31. 이소은 (2011). 기질, 성, 심리적. 행동적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5(3), 409-430. 

  32. 이순복, 김문숙 (2011).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2), 171-186. 

  33. 이시자 (2013). 유아의 성별, 기질,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5), 257-278. 

  34. 이영숙, 서소정 (2006). 유아의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5), 143-155. 

  35. 이은주 (2005). 취학 전 말더듬이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양육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정희 (2012). 영아, 어머니, 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33(3), 63-81. 

  37. 이진숙 (2001).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임연자, 최미숙 (2011). 유아의 또래인기도에 따른 리더십 및 마음이해능력의 차이. 미래유아교육학회, 18(4), 381-401. 

  39. 임영심, 박은주, 문수백 (2012).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영아발달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07-224. 

  40. 장유진 (2011). 유아의 기질,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지각, 사회적 기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장혜정 (2003).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의 유치원 초기 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전미경 (2004). 영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초기적응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정대현, 지성애 (2006).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3), 201-221. 

  44. 정옥분, 정순화, 황현주 (2012). 애착과 발달. 서울: 학지사. 

  45. 정은혜 (2001).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정란 (2007). 유아발달과 부모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제 변인들의 관계분석. 아동보육연구, 3(2), 43-78. 

  47. 천희영 (1995). 아동의 기질과 맥락적응의 관계I: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기질 및 기질의 적합성과의 관계. 아동연구, 4, 12-26. 

  48. 천희영 (1996). 아동의 기질과 맥락 적응의 관계II: 아동의 기질적합성과 어머니의 기질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아동연구, 5, 9-25. 

  49. 천희영 (1998). 종단적 접근에 의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요구도, 및 어머니 기질의 관계. 아동연구, 7, 13-28. 

  50. 천희영, 이귀숙, 신세니 (2011). 그림책의 그림텍스트를 활용한 유아의 성학대 이해도 척도 타당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2), 25-50. 

  51. 최미경 (2010). 아동과 어머니의 조화적합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아동학회지, 31(5), 151-165. 

  52. 한동옥 (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정서지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허미경, 이소은 (2010).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과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53-373. 

  54. Bates, J. E. (1987). Temperament in infancy. In J. D. Osofsky (Ed.),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pp. 1101-1149). NY: Wiley. 

  55. Belsky, J. (1997). Variation in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 An evolutionary argument. Psychological Inquiry, 8(3), 182-186. 

  56.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57. Caspi, A., & Silva, P. A. (1995). Temperamental qualities at age three predict personality traits in young adulthood: Longitudinal evidence from a birth cohort. Child Development, 66(2), 486-498. 

  58. Dunn, J., & Brown, J. (1994). Affective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Merrill-Palmer Quarterly, 40(1), 120-137. 

  59. Gallagher, K. C. (2002). Does child temperament moderate the influence of parenting on adjustment? Developmental Review, 22(4), 623-643. 

  60. Goldsmith, H. H., Buss, K. A., & Lemery, K. S. (1997). Toddler and childhood temperament: Expanded content, stronger genetic evidence, new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891-905. 

  61.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62. Klein, H. A. (1982).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adjustment to kindergarten and Head Start. The Journal of Psychology, 112(2), 259-68. 

  63.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64. Lerner, J. V. (1984). The import of temperament for psychological functioning: Test of a goodness of fit. Merrill-Palmer Quarterly, 30(2), 177-188. 

  65. Lerner, R., Lerner, J., Windle, M., Hooker, K., Lenerz, K., & East, P. (1986). Child and adolescents in their contexts: Tests of a goodness of fit model. In R. Plomin & J. Dunn (Eds.), The study of temperament: Changes, continuities and challenges (pp. 99-114). London: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Publishers. 

  66. McCall, R. B. (1990). Infant research: Individual differences. Merrill-Palmer Quarterly, 36(1), 141-158. 

  67. McDevitt, S. C. (1986).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emperament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 psychometric perspective. In R. Plomin & J. Dunn (Eds.), The study of temperament: changes, continuities and challenges (pp. 27-38). NJ: Psychology Press. 

  68. Oates, J. (1994). The foundations of child development. Wiley: Blackwell. 

  69. Paul, A. M. (1999). Do parents really matter? Kid stuff. In K. L. Freiberg (Ed.), Human development (27th Ed., pp. 128-130). NY: McGraw-Hill 

  70. Sameroff, A. J., & Mackenzie, M. J. (2003). Research strategies for capturing transactional models of development: The limits of the possibl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5(03), 613-640. 

  71. Schneirla, T. C. (1957). The concept of development in comparative psychology. In D. B. Harris (Ed.), The concept of development (pp. 78-108). Minneapolis, M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72. Seifer, R., Dickstein, S., Parade, S., Hayden, L. C., Magee, K. D., & Schiller, M. (2014). Mothers' appraisal of goodness of fit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8(1), 86-97. 

  73. Super, C. M., & Harkness, S. (1981). Figure, ground, and gestalt: The cultural context of the active individual. In R. M. Lerner & N. A. Busch-Rossnagel (Eds.), Individuals as producers of their development: A life-span perspective (pp. 69-86). NY: Academic Press. 

  74.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Y: Brunner/ Maxel. 

  75. Windle, M., & Lerner, R. M. (1986). Reassessing the dimensions of temperamental individuality across the life span: The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DOTS-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 213-2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