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식생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서울지역 백화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등에서 포장되어 판매되는 반찬류를 대상으로 나트륨 및 칼륨 함량을 조사하였다. 반찬류 22종류 92건의 100 g당 평균 나트륨 함량 및 칼륨 함량은 각각 $893.5{\pm}449.7mg/100g$, $307.4{\pm}213.5mg/100g$으로 나타났다. 조림류의 나트륨 함량이 $1,003.6{\pm}322.2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리방법에 따른 평균 나트륨 함량은 조림류, 무침류, 나물류로 조사되어 나물류가 나트륨을 적게 섭취할 수 있는 반찬유형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림류와 무침류의 나트륨함량은 나물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요 반찬류의 1회 제공량당 나트륨 함량은 174.9~404.5 mg으로, 세계보건기구의 1일 최대 권고량(2,000 mg)대비 섭취비율이 8.7~20.2% 수준으로 나타났다. 멸치조림, 콩나물, 파래무침의 1회 분량 당 나트륨 섭취비율은 각각 WHO 권고량의 14.2%, 15.5%, 20.2%로 나타나, 3가지 반찬을 동시에 섭취한다고 가정하면 1일 최대 권고량의 약 50%(1,000 mg)를 섭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식단을 작성할 때 나트륨 함량 등을 고려하여 반찬을 선택하고, 즉석반찬의 표준 저염조리법 개발 및 포장반찬의 나트륨 함량 표시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칼륨/나트륨 비는 나물 0.51, 무침 0.40, 조림 0.37로 반찬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금치나물 및 콩조림에서 각각 1.70, 0.81로 나타났으며, 고사리는 0.09로 나타났다. 칼륨/나트륨비가 1 이상이면 고 나트륨 섭취에 의한 고혈압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식단표 작성에 참고하면 유용할 것이다. 서울시내 일부 백화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내 반찬가게에서 구입한 나물류 20건, 무침류 34건, 조림류 38건 총 92건 반찬시료에서 식중독균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sodium and potassium in side dishes, 92 samples from 22 different kinds of side dishe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3 groups were collected in Seoul area and analysed using ICP-OES. The highest sodium content was detected in pepper doenjang muchim, while potassium con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별 및 반찬유형별 나트륨 및 칼륨함량에 관한 자료를 추가 확보하고자 서울시내 백화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반찬가게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나물류, 무침류, 조림류 등 92개를 구입하여 나트륨 및 칼륨함량을 기기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즉석반찬은 주원료의 종류가 다양하고 따로 조리과정 없이 개봉 후 섭취하는 제품의 특성상 조리, 유통과정에 주의를 소홀이 할 경우 식중독 발생의 우려가 높아12) 반찬류에 대한 식중독균 오염도를 조사하여 소비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반찬류의 위생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식품 안전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김 등11)은 대전지역의 시판 반찬류에 대한 나트륨 및 칼륨 함량조사를 보고하면서 시판되는 반찬류의 나트륨 함량이 높아 반찬류를 통한 과량의 나트륨 섭취를 우려하였으나, 조사대상이 주로 장아찌, 김치, 젓갈 등 소금으로 절인 반찬류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별 및 반찬유형별 나트륨 및 칼륨함량에 관한 자료를 추가 확보하고자 서울시내 백화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반찬가게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나물류, 무침류, 조림류 등 92개를 구입하여 나트륨 및 칼륨함량을 기기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즉석반찬은 주원료의 종류가 다양하고 따로 조리과정 없이 개봉 후 섭취하는 제품의 특성상 조리, 유통과정에 주의를 소홀이 할 경우 식중독 발생의 우려가 높아12) 반찬류에 대한 식중독균 오염도를 조사하여 소비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반찬류의 위생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식품 안전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일일 섭취량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일일 섭취량은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4,583 mg1)으로 세계보건기구 권고량(2,000 mg/day)2)의 2배 이상 과잉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들은 전통적으로 김치, 장류, 젓갈류 등을 즐기는 식생활로 인해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전체 나트륨 섭취량의 70% 이상이 김치류, 간장, 된장, 고추장 등에 함유된 소금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
나트륨 섭취량에 따른 질병 유병율과 사망률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한국인들은 전통적으로 김치, 장류, 젓갈류 등을 즐기는 식생활로 인해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전체 나트륨 섭취량의 70% 이상이 김치류, 간장, 된장, 고추장 등에 함유된 소금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나트륨 과잉섭취는 뇌혈관 및 심혈관 질환과 관련성이 있고, 위암 및 골다공증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므로4,5),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면 관련 질환의 유병율과 사망률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한편 칼륨의 1일 충분섭취량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3,500 mg으로 설정되어 있으며7), 2012년 국민건강 영양소별 1일 칼륨 섭취량은 2,918 mg 으로 충분섭취량 대비 섭취율이 83.
반찬류의 나트륨 함량은 어떠한가?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식생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서울지역 백화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등에서 포장되어 판매되는 반찬류를 대상으로 나트륨 및 칼륨 함량을 조사하였다. 반찬류 22종류 92건의 100 g당 평균 나트륨 함량 및 칼륨 함량은 각각 $893.5{\pm}449.7mg/100g$, $307.4{\pm}213.5mg/100g$으로 나타났다. 조림류의 나트륨 함량이 $1,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 Research Repor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revention, pp. 44-389 (2012). 

  2. World Health Organization :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risk, Geneva. (2007). 

  3. Hong S.M., Lee J.H., and Kim H.K.: Study on Sodium Reduction : 'Healthy Restaurant for Sodium Reduction'. J Korean Diet Assoc., 20(3), 175-182 (2014). 

  4. Haddy F. J.: Role of dietary salt in hypertension. Life Sci., 79(17), 1585-1592 (2006). 

  5. He F.J. and MacGregor G.A.: A comprehension review on salt and health and current experience of worldwide salt reduction programmes. J Hum Hypertens., 23(6), 363-384 (2009). 

  6. He F.J. and MacGregor G.A.: Reducing population salt intake world wide - From evidence to implementation. Progress in Cardiovascular Diseases, 52, 363-382 (2010). 

  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pp. 1-6 (2010). 

  8. Lim H.J.: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adul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7(6), 737-751 (2012). 

  9.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02/20160-80203225.html 

  10. http://www.seoulsbdc.or.kr/ebook/EB_10100_SL.do?boardCdB073#/2016/08/03 

  11. Kim H.R., Kim M.S., Kim M.H., Son C.W., Kwak E.S., Heo O.S., and Kim M.R.: Analysis of sodium (Na) and potassium (K) content of side dishes purchased from traditional and supermarket in Daej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3), 350-355 (2009). 

  12.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 Research for establishing microbial standards on Korean ready-to-eat side dishes. pp. 3-44 (2010). 

  13. Korea Food and Drug Safety : Korean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Safety, 9-1-65, 9-3 (2013). 

  14. Lyu E.S., Lee D.S., and Chung S.K.: A survey of Korean housewives' on the commercial Korean basic side dishes in Bu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4), 440-447 (2006). 

  15. http://mfds.go.kr/nutrition/upload/ebook/20141229/main.html. 

  16. Tannen RL.: Effects of potassium on blood pressure control. Ann. Intern. Med., 98, 773-780 (1983). 

  17. Goto A., Tobian L., and Iwai J.: Potassium feeding reduces hyperactive central nervous system pressor responses in Dahl salt-sensitive rats. Hypertension (Suppl.1), I128-I134 (1981). 

  18. Macgregor G.A., Markandu N.D., Smith S.J, Banks R.A., Sagnella G.A.: Moderate potassium supplementation in essential hypertension. Lancet., 320, 567-570 (1982). 

  19. Dahl LK, Leitt G, Heine M. Influence of dietary potassium and sodium/potassium molar ratios on the development of salt hypertension. J. Exp. Med., 136, 318-330 (1972). 

  20. Lee S.K., Chang E.J., Choi J.C., Bahn K.N., Kim M.H.: Current Assess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orugh School Me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5), 580-584 (2010). 

  21. Choi J.H., Park J.Y., Lim E.G., Choi M,K., Kim J.S., Choi G.B., Jeong S.G., and Hahm Y.S.: An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ide Dishes sold at Traditional Market and SuperMarket in Ulsan. J. Fd Hyg. Safety, 27(1), 87-95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