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 병증(病症)과 영기(營氣)의 관계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 of Shanghanlun(傷寒論) and the Nutritive-Gi(營氣)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0 no.1, 2017년, pp.211 - 221  

방정균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ractices of Wei-qi and Nutritive-qi are generally divided into external Mai and internal Mai. However, they are closely interrelated and practiced together. While taking these aspect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attempts to make interpretations in relation with Nutritive-qi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以上에서 桂枝湯證의 痛症과 麻黃湯證의 痛症에는 그 病症의 양상과 症勢에 차이가 있음을 정리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논자는 이에 대한 해답을 病理的인 측면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麻黃湯證은 體質的으로 陽氣가 왕성한 상태에서 病勢가 强한 邪氣의 침습을 받아 발생하는病證이다.
  • 본 단락에서는 먼저 營氣의 來源과 運行, 개념 및 기능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傷寒論』의 病症을 營氣와 연계하여 설명해 보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衄血·吐血· 便血 등 다양한 증상이 소개되어 있고, 특히 溫病의營血 辨證의 단초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는 내용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傷寒論』에 기술된 여러 出血 病症 가운데 衄血의 내용을 營血과 연계시켜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傷寒論』에 기술된 衄血과 관련된 대표적인 조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선행 연구를 살펴봤을 때 營氣의 운행과 기능 등을 『傷寒論』의 病症과 연계한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黃帝內經』(이하 『內經』으로 略稱)에 기술된 營氣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傷寒論』에 기술된 病症 가운데 營氣와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傷寒과 溫病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傷寒雜病論』(以下 『傷寒論』으로 略稱)은 淸代에 盛行한 溫病學과 더불어 韓醫學 外感病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다. 傷寒과 溫病은 外感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인체를 침습하는 邪氣의 종류와 그에 따른 病機, 그리고 治法에 있어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疾病을 유발하는 邪氣인寒邪와 熱邪의 성질에 따라, 영향을 받는 인체의 부위에 현격한 차이가 발생한다.
韓醫學 外感病의 양대 축은? 傷寒과 溫病은 韓醫學 外感病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病을 야기하는 邪氣의 종류와 病機에 있어 많은 차이가 있고, 이러한 이유로 辨證과 治法에 있어서도 차이가 난다.
馬蒔가 “氣不通”을 “脈不通”으로 설명한 근거는 무엇인가? 馬蒔가 “氣不通”을 “脈不通”으로 설명한 근거는 무엇인가? 그 이유를 앞에서 살펴 본 營氣의 개념과 연계하여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營氣는 脈內를 운행하는 氣와 血, 津液을포함하는 것이므로, 寒邪가 脈中을 침입하여 脈內에 있는 氣가 不通할 경우 脈內의 血과 津液이 응결되어 痛症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Zhang JB. Ryukeong. Beijing. Publisher Renminweisheng. 1980. 張介賓. 類經.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0. 

  2. Hong WS. HwangjenaegyeongSomun. Seoul. Publisher of Dongyanguihakyeonguwon. 1985.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1985. 

  3. Hong WS. HwangjenaegyeongYeongchu. Seoul. Publisher of Dongyanguihakyeonguwon. 1985.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出版部. 1985. 

  4. Chae IS. Shanghanlonyukjeon. Seoul. Publisher of Komoon. 1991. 蔡仁植. 傷寒論譯詮. 서울. 高文社. 1991. 

  5. Li BS. Shanghanlun. Seoul. Publisher of Aullos. 1994. 李培生 主編. 傷寒論. 서울. 아울로스출판사. 1994. 

  6. Cheng WJ. Zhujieshanghanlun. Beijing. Publisher Renminweisheng. 1996. 成無己. 注解傷寒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7. Ma S. Hwangj enaegyeongSomunjujengbalmi. Beijing. Publisher of Renminweisheng. 1998. 馬蒔 撰. 黃帝內經素問注證發微.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8. 

  8. You Y. Shanghanguanzhuji. Beijing. Publisher of Zhongyiguji. 1998. 尤怡 著. 張慧芳 校注. 傷寒貫珠集.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1998. 

  9. Sun QX. Huangyuanyuyixuequanshu.Shanghanxuanjie. Beijing. Zhongguozhongyiyaochubanshe. 1999. 孫洽熙 主編. 黃元御醫學全書.傷寒懸解.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0. Pei YQ. Shanghanlunlinchuangyingyongwushilun. Beijing. Xueyuanchubanshe. 2000. 裵永淸. 傷寒論臨床應用五十論. 北京. 學苑出版社. 2000. 

  11. Liu Y. Xulingtaiyixuequanshu.Shanghanleifang. Beijing. Publisher Zhongguozhongyiyao. 2001. 劉洋 主編. 徐靈胎醫學全書.傷寒類方.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1. 

  12. Lin HQ. Zhenxiuyuanyixuequanshu.Shanghanlunjian zhu. Beijing. Publisher Zhongguozhongyiyao. 2001. 林慧光 主編. 陳修園醫學全書.傷寒論淺注.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1. 

  13. Wu Q. Yuzuanyizongjinjian. Beijing. Renminweishengchubanshe. 2003. 吳謙. 醫宗金鑑.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3. 

  14. Liu DZ original work. Jeong CH, Kim HI trans.. LiuDuZhou Sanghanjongangui. Seoul. Mulgogishoop. 2014. 류두저우 지음. 정창현, 김혜일 옮김. 劉渡舟傷寒論講義. 서울. 물고기 숲. 2014. 

  15. Um DM, Park CG. A Study on the nutrient Gi and defensive Gi.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995. 9. 엄동명, 박찬국. 營衛에 대한 고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1995. 9. 

  16. Baek Y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circulation of meridian system-creation of Essence Gi.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4. 7(4). 白裕相. 經絡의 循環과 精氣 生成의 관계에 대한 연구.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4. 17(4). 

  17. Gang DY, Cho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circulation method of meridian system and collateral meridian-circulation characteristics of nutrient and defensive Gi.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6. 19(2). 姜棟允, 趙學俊. 經脈과 絡脈의 循行 樣式과 營.衛氣의 運行 特徵의 相關性에 대한 考察.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6. 19(2). 

  18. So YS, et al.. The study on Yeongchu.Weegisilsang.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6. 19(4). 소용섭 외 5인. ?靈樞.衛氣에 대한 硏究.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6.19(4) 

  19. Bang JK. A Study on the shanghanlon's "Joongpoong" and "Shanghan".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6. 19(4). 方正均. 傷寒論의 "中風"과 "傷寒"에 대한 硏究.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6. 19(4). 

  20. Gang GH, Yuk SW. The study on Yeongchu.Oshipyeng.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07. 20(1). 姜庚夾, 陸相元. 靈樞.五十營에 대한 硏究.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07. 20(1). 

  21. Park SK, Bang JK. The study on the syndrome of Sosihotang's alternate chills and fever in Sang Han Lon. Journal of medicalhistory. 2014.(2). 박상균, 방정균. 傷寒論 大靑龍湯證에 대한 硏究. 韓國醫史學會誌. 2014. 27(2). 

  22. Bang J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 of Shanghanlon and the defensive Gi.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6. 29(2). 方正均. 傷寒論의 病症과 衛氣의 관계에 대한 硏究.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6. 2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