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교육에서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현황과 발전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Nursing Education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9 no.1, 2017년, pp.18 - 24  

김건희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사무처) ,  황은희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  신수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and readiness of nursing educators regard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nd discussed the validity and application of IPE in nursing. From December 2016 to January 2017, 239 nursing professors and nurse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간호교육자의 인식과 준비도를 파악하고 전문직 간 교육 도입의 타당성과 적용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간호교육은 이론교육에서 습득한 지식을 임상현장에 적용하고 응용하는 기술을 익히는 임상현장에서의 실습교육으로 구성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9].
  • 하지만 간호학은 실무 중심의 학문임에도 의과대학과 달리 임상현장에서 분리되어 대학에만 소속된 교수가 이론교육을 주로 담당하고 임상실습현장에는 간호사가 주요한 교육자원이다. 따라서 이론 및 교내실습의 주 담당자인 대학교수와 임상현장의 주요 교육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분야의 전문직 간 교육의 현황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1) 간호대학 교수와 간호사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준비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2) 간호대학 교수와 간호사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준비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3) 전문직 간 교육의 실행방안과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교육분야의 전문직 간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에 간호교육 제공자인 간호사와 간호대학 교수를 모두 포함하였으며, 업무나 환경적 특성이 다른 두 집단의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임상현장에서 실제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와 학생교육을 주로 담당하는 간호대학 교수 간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준비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간호사와 간호대학 교수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제적인 협력에 대해서는 두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학교현장과 임상현장에서 모두 실제적인 협력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는 간호대학 교수진과 간호사로 대표되는 간호교육자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준비도를 확인하고, 전문직 간 교육의 실행방안과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교육분야의 전문직 간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교육은 이론교육에서 습득한 지식을 임상현장에 적용하고 응용하는 기술을 익히는 임상현장에서의 실습교육으로 구성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9].
  • 따라서 이론 및 교내실습의 주 담당자인 대학교수와 임상현장의 주요 교육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분야의 전문직 간 교육의 현황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1) 간호대학 교수와 간호사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준비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2) 간호대학 교수와 간호사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준비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3) 전문직 간 교육의 실행방안과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교육분야의 전문직 간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생에게 전문직 간 교육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학교육에서도 전문직 간 교육을 통해 환자 중심의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것이 촉진될 수 있다는 연구가[7] 보고된 바 있듯이 간호학생에게 전문직 간 교육을 통해 강화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간호 교육에서도 전문직 간 교육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보아야 하는 시점이다. 특히 전문직 간 교육을 통해 학생은 자신의 관점을 공유하고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성장 가능한 분위기에서 학습할 수 있고,미래 보건의료 전문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하는 동시에 다학제 팀 내에서 타 전문가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환자 간호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전문직 간 교육의 장점을 고려할 때 간호 교육에서의 전문직 간 도입이 절실하다.
전문직 간 교육이란? 효과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을 위해서는 팀기반 접근이 필요하고[1], 환자 중심의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분야 간의 효과적인 협력과 소통이 필수적이다. 전문직 간 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이란 대상자 중심의 보건의료 제공을 목표로 전문직 교육과정의 일부 혹은 전체에서 둘 이상의 보건의료 전공 학생이 함께 학습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2], 면허 취득 전 단계에서 적용되었을 때 실무에서의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을 향상시켜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환자 간호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전문직 간 교육을 면허 취득 전 단계에서 적용할 시 어떤 효과가 있는가? 효과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을 위해서는 팀기반 접근이 필요하고[1], 환자 중심의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분야 간의 효과적인 협력과 소통이 필수적이다. 전문직 간 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이란 대상자 중심의 보건의료 제공을 목표로 전문직 교육과정의 일부 혹은 전체에서 둘 이상의 보건의료 전공 학생이 함께 학습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2], 면허 취득 전 단계에서 적용되었을 때 실무에서의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을 향상시켜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환자 간호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ernandes AR, Palombella A, Salfi J, Wainman B. Dissecting through barriers: a mixed-methods study on the effect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a dissection course with healthcare professional students. Anat Sci Educ. 2015;8(4):305-16. 

  2. Shakman L, Renu G, Obeidat A. Inter professional education in health care. Int J Nurs Educ. 2013;5(1):86-91. 

  3. Hammick M, Freeth D, Koppel I, Reeves S, Barr H. A best evidence systematic review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BEME guide no. 9. Med Teach. 2007;29(8):735-51. 

  4. Yoon BJ, Lee JH. A review study on interprofessional college education in health care sector. J Korean Soc Sch Health Educ. 2010;11(1):149-58. 

  5. World Health Organization. Framework for action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 collaborative practic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cited 2017 Jan 16].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70185/1/WHO_HRH_HPN_10.3_eng.pdf. 

  6. Stone T, Hua S, Turale S. Evaluation of an international and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forum. Nurse Educ Today. 2016;46:10-16. 

  7. Barr J, Bull R, Rooney K. Developing a patient focussed professional identity: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medical students' encounters with patient partnership in learning.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5;20(2):325-38. 

  8. Lee YH, Ahn D, Moon J, Han K. Perception of interprofessional conflict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by doctors and nurses. Korean J Med Educ. 2014;26(4):257-64. 

  9. Kim H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practice curriculum in health and nursing department. Seou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ouncil for College Education; 2013. 

  10. McFadyen AK, Maclaren WM, Webster VS.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erception Scale (IEPS): an alternative remodelled sub-scale structure and its reliability. J Interprof Care. 2007;21(4):433-43. 

  11. Curran VR, Sharpe D, Forristall J. Attitudes of health sciences faculty members towards interprofessional teamwork and education. Med Educ. 2007;41(9):892-6. 

  12. Gotlib Conn L, Reeves S, Dainty K, Kenaszchuk C, Zwarenstein M.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with hospitalist and consultant physicians in general internal medicine: a qualitative study. BMC Health Serv Res. 2012;12:437. 

  13. George A, Renjith V, Renu 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OSR J Dent Med Sci. 2015;14(3):35-8. 

  14. Loversidge J, Demb A. Faculty perceptions of key factors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J Interprof Care. 2015;29(4):298-304. 

  15.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y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professional program in pharmacy leading to the doctor of pharmacy degree [Internet]. Chicago (IL):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y Education; c2011 [cited 2017 Jan 16]. Available from: http://www.acpeaccredit.org/pdf/FinalS2007Guidelines2.0.pdf. 

  16. Zorek J, Raehl C.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in the USA: a comparative analysis. J Interprof Care. 2013;27(2):123-30. 

  17. Olenick M, Allen LR. Faculty intent to engage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J Multidiscip Healthc. 2013;6:149-61. 

  18. Bennett PN, Gum L, Lindeman I, Lawn S, McAllister S, Richards J, et al. Faculty perception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Nurse Educ Today. 2011;31(6):571-6. 

  19. Mickan SM.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teams. Aust Health Rev. 2005;29(2):211-7. 

  20. Sheldon M, Cavanaugh JT, Croninger W, Osgood W, Robnett R, Seigle J, et al. Preparing rehabilitation healthcare providers in the 21st century: implementat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rough an academicclinical site partnership. Work. 2012;41(3):269-75. 

  21. Breitbach AP, Sargeant DM, Gettemeier PR, Ruebling I, Carlson J, Eliot K, et al. From buy-in to integration: melding an interprofessional initiative into academic programs in the health professions. J Allied Health. 2013;42(3):e67-73. 

  22. Paul Olson TJ, Brasel KJ, Redmann AJ, Alexander GC, Schwarze ML. Surgeon-reported conflict with intensivists about postoperative goals of care. JAMA Surg. 2013;148(1):29-35. 

  23. Karimi R, Pelham-Foster S, Scott BJ, Aamodt G.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interprofessional course and identifying its strengths and challenges. Health Interprof Pract. 2012;1(2):eP1019. 

  24. Friend ML, Friend RD, Ford C, Ewell PJ. Critical car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exploring conflict and power-lessons learned. J Nurs Educ. 2016;55(12):696-700. 

  25. Thistlethwaite J, Moran M; World Health Organization Study Group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Collaborative Practice. Learning outcomes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literature review and synthesis. J Interprof Care. 2010;24(5):503-13. 

  26. Dornan T, Littlewood S, Margolis SA, Scherpbier A, Spencer J, Ypinazar V. How can experience in clinical and community settings contribute to early medical education?: a BEME systematic review. Med Teach. 2006;28(1):3-18. 

  27. Gonzalo JD, Haidet P, Wolpaw DR. Authentic clinical experiences and depth in systems: toward a 21st century curriculum. Med Educ. 2014;48(2):10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