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주변해역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회유 및 분포특성
Migr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2, 2017년, pp.173 - 181  

김윤하 (국립수산과학원) ,  최광호 (국립수산과학원) ,  이충일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tch data for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lassified by squid-jigging fisheries per grid (size: $0.5^{\circ}latitude{\times}0.5^{\circ}longitude$), and the water temperature values KODC (Korea Ocean Data Center) were collected for the 1980-2009 period to study the chang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해구별 어황자료를 이용하여 어장형성역의 환경특성(수온, 전선의 위치, 동물플랑크톤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어장형성원인과 변동을 분석한 기존 살오징어 어장에 관한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기후-해양환경변화가 살오징어의 어장형성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회유 및 분포의 변화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해구별 어황자료를 이용하여 기후-해양환경변화에 따른 살오징어 어장형성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후-해양환경변화가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살오징어 회유 및 분포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이 자료는 어민의 어황보고에 근거하여 어획량을 해구별(위경도 30´ ×30´ )로 정리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살오징어은 어떤 어종인가?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는 빨강오징어과(Ommastrephidae)에 속하는 연체동물로서 동해를 비롯한 동중국해, 일본 태평양측 연안 및 오호츠크 해까지 널리 분포하는 단년생의 회유성 어종이다(Okutani, 1983; Roper et al., 1984; Murata,1990).
어장환경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는? 어장환경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는 수온으로서 가입된 개체가 가장 빈번히 어획되는 수온, 즉 어획적수온은 15~19°C인데(Lee et al., 1985), 이 수온범위는 암컷 살오징어 성성숙 최대수온 15-18°C(Kidokoroand Sakurai, 2008)와 거의 일치한다.
살오징어의 회유 경로는? , 1984; Murata,1990). 회유 경로는 주로 동중국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산란장에서 동해, 서해, 남해 뿐만 아니라 일본의 태평양쪽 연근해에 이르는 색이·성육장까지 이어진다(Roper et al.,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 K. D., Kim, S. W., Kang, K. H., Lee, C. I., Kim, D. S., Choi, Y. S., Choi, K. H., 2004, Relationship between fishing condition of common squid and oceanic condition in the East Sea, J. Kor. Soc. Mar. Env. Safety, 10, 61-67. 

  2. Choi, K. H., 2005,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relation to oceanic conditions in Korean waters, Ph. D. Dissertation,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3. Choi, K. H., Cho, K. D., Kim, D. S., Kim, J. I., Kim, S. W., 2003,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 Yellow Sea, J. Kor. Fish. Soc., 6, 21-31. 

  4. Choi, K. H., Hwang, S. D., Kim, J. I., 1997, Fishing conditions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Korean Waters, J. Kor. Fish. Soc., 30, 513-522. 

  5. Choi, K. H., Lee, C. I., Hwang, K. S., Kim, S. W., Park, J. H., Gong, Y., 2008,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Japan) Sea, Fish. Res., 91, 281-290. 

  6. Francis, R. C., Hare, S. R., Hollowed, A. B., Wooster, W. S., 1998, Effects of interdecadal climate variability on the oceanic ecosystems of the NE Pacific, Fish. Oceanogr., 7, 1-21. 

  7. Hatanaka, H., Kawahara, S., Uozumi, Y., Kasahara, S., 1985, Comparison of life cycles of five ommastrephid squids fished by Japan : Todarodes pacificus, Illex Illecebrosus, Illex argentinus, Nototodarus sloani sloani and Nototodarus sloani gouldi, NAFO Sci. Coun. Studies, 9, 59-68. 

  8. Hong, C. H., Cho, K. D., 1983,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its fluctuations, J. Oceanol. Soc. Kor., 28, 1-9. 

  9. Jung, H. G., 2013, Regional differences in the response of ocean environment and fisheries resources in Korean waters to the North Pacific regime shifts and possible mechanisms, Master Dissertation, Gangneung -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Korea. 

  10. Kidokoro, H., 2009, Changes in the fishing grounds and fishing seas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around Japanese waters, Rep. Ann. Meeting and Squid Res., 3-10. 

  11. Kidokoro, H., Sakurai, Y., 2008,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gonadal development and emacia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Ommastrephidae), Fish. Sci., 74, 553-561. 

  12. Kim, Y. H., Moon, C. H., Choi, K. H., Lee, C. I., 2010, Relationship between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 by sea block and marine environment in the East Sea during 1980s and 1990s, J. Kor. Soc. Mar. Env. Safty, 16, 259-268. 

  13. Kim, Y. H., 2015, The population ecology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northwest Pacific Marginal Seas, Ph. D. Dissertation,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4. Lee, C. I., 2003,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current circulation in the East Sea, Ph. D. Dissertation,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5. Lee, S. D., Son, Y. S., Kim, Y. C., 1985, A Study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the eastern waters Korea, Bull. Fish. Res. Agency, 36, 23-28. 

  16. Mantua, N. J., Hare, S. R., 2002,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J. Oceanogr., 58, 35-44. 

  17. Miller, A. J., Chai, F., Chiba, S., Moisan, J. R., Neilson, D., 2004, Decadal-scale climate and ecosystem interactions in the North Pacific Ocean, J. Oceano., 60, 163-188. 

  18. Minobe, S., 1997, A 50-70 year climatic oscillation over the North Pacific and North America, Geophy. Res. Lett., 24, 683-686. 

  19. Mokrin, N. M., Novikov, Y. V., Zuenko, Y. I., 2002, Seasonal migrations and oceanographic conditions for concentration of the 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1880) in the Northwesthern Japan Sea, Bull. Mar. Sci., 71, 487-499. 

  20. Murata, M., 1990, Ocean resources of squids, Mar. Behav. Physiol., 18, 19-71. 

  21. Okutani, T., 1983, Todarodes pacificus, in: Boyle, P. R. (ed.), Cephalopod Life Cycles, Academic, London, U. K., 1, 201-214. 

  22. Overland, J., Rodionov, S., Minobe, S., Bond, N., 2008, North Pacific regime shifts : Definitions, issues and recent transitions, Prog. in Oceanogr., 77, 92-102. 

  23. Roper, C. F. E., Sweeny, M. J., Nauen, C. E., 1984, Family ommastrephidae, in: FAO species catalogue, 3, Cephalopod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pecies of interest to fisheries, FAO Fisheries Synopsis, 227. 

  24. Sakurai, Y., Kiyofuji, H., Saitoh, S., Goto, T., Hiyama, Y., 2000, Change in inferred spawning areas of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 Ommastrephidae) due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CES J. Mar. Sci., 57, 24-30. 

  25. Sokal, R. R., Rohlf, F. J., 1981, Biometry, 2nd ed. Freeman, New York, 8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