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분포형 모델을 이용한 최적관리방안의 토사 유출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a Best Management Practice on Sediment Yields Using a Spatially Distributed Model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52 no.1, 2017년, pp.15 - 24  

이태수 (전남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역에서의 수질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비점오염원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면서 복잡한 경우가 많다. 비점오염원의 관리에서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토사 유출량의 관리이다. 이는 주로 농경지에서 유출되는 토사와 그에 흡착된 인(phosphorous)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하고 주암호의 상류에 해당되는 외남천 유역의 유출량과 토사 유출량을 공간분포형 모델을 이용해 모의하였다. 또한 필터스트립의 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터스트립을 모의하고 공간분포형 모델의 특성을 이용하여 토사 유출량이 심각한 지역의 공간분포를 파악하고 필터스트립의 저감 효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었다. 토사 유출량이 가장 심한 소유역에 필터스트립을 설치한 결과 유출수와 토사 유출량이 각각 17.2%와 46.4%가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s for water quality control practice is complicating but very important. Sediments mainly from croplands are prioritized in non-point source management due to the sediment attached phosphorous. In this study, flow and sediment yields are modeled in Oenam watershed lo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수문 모델 중 공간분포형 모델인 GeoWEPP(Geospatial Interface of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Renschler, 2003)을 이용하여 최적관리방안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필터스트립의 저감 효과를 On-Site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기존 연구(이태수, 2016)에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rnold et al.
  • 이 연구에서는 수문 모델 중 공간분포형 모델인 GeoWEPP(Geospatial Interface of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Renschler, 2003)을 이용하여 최적관리방안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필터스트립의 저감 효과를 On-Site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기존 연구(이태수, 2016)에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rnold et al., 1998) 모델로 모의한 유역에 대해 GeoWEPP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둘째, 공간분포형 모델을 이용하여 토양 침식이 발생하는 지역의 공간적 분포와 필터스트립의 토사 유출 저감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최적관리방안 모델링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10; Fox and Penn, 2013; Wang et al., 2013) 모델의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 소유역 단위로(Off-Site) 예측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공간분포형 모델(Spatially Distributed Model)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집중관리 대상지역(hot spot)의 도출과 최적관리방안이 설치되어 있는 곳(On-Site)에서의 저감 효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연구는 유역관리와 최적관리방안 설치를 위한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필터스트립이란 무엇인가? 최적관리방안 중에서 필터스트립은 하천의 양안에 5~15m 폭의 초지를 설치하는 것으로 사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유출수가 초지 식생의 저항으로 인해 유속이 줄어들어 토사를 침전시키고 초지의 식생에 의하여 영양염류를 소비하게 하는 최적관리방안이다(Novotny et al., 1994).
농경지로부터의 비점오염원 유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농경지로부터의 토사나 영양염류 등의 비점오염원 유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필터스트립(Filter Strip)이나 초지수로와 같은 최적관리방안(BMP, Best Management Practice)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적관리방안은 종류와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유역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와 토사, 총인(Total P), 총질소(TN, Total Nitrogen)를 약 30%에서 70%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USEPA,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이태수, 2016, "SWAT 모델을 이용한 외남천 유역의 토사 및 총인 유출량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 (1), 240-250. 

  2. 최동호.정재운.이경숙.최유진.조소현.박하나.임병진. 장남익, 2012, "유량-부하량관계식을 이용한 주암호 외남천 유역의 유황별 유달율 산정," 한국환경과학회지 21(1), 31-39. 

  3. 한국헌.윤광식.정재운.윤석군.김영주, 2005, "주암호 농촌 소유역 오염부하특성,"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7(3), 77-86. 

  4. Arnold, J. G., Srinivasan, R., Muttiah, R. S. and Williams, J. R.,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73-89. 

  5. Betrie, G. D., Mohamed, Y. A., van Griensven, A., and Srinivasan, R., 2011, Sediment management modelling in the Blue Nile Basin using SWAT model,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 15(3), 807-818 

  6. Bracmort, K.S., Engel, B.A. and Frankenberger, J.R., 2004, Evaluation of structural best management practices 20 years after installation: Black Creek Watershed, Indiana,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59(5), 659-667. 

  7. Dabney, S. M., Liua, Z., Lanec, M., Douglasc, J., Zhua, J., and Flanagan, D.C., 1999, Landscape benching from tillage erosion between grass hedges, Soil & Tillage Research, 51, 219-231. 

  8. Flanagan, D. C. and Nearing, M. A., 1995, USDA -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Hillslope profile and watershed model documentation, National Soil Erosion Research Laboratory Report No. 10. West Lafayette, Indiana. 

  9. Fox, G. A. and Penn, C. J., 2013, Empirical model for quantifying total phosphorus reduction by vegetative filter strips, Transactions of the ASABE, 56(4), 1461-1469. 

  10. Haque, M. Z., Rahim, S., Abdullah, M. P., Embi, A. F. and Elfithri, R., 2016, Predicting Sediment Load and Runoff in GeoWEPP Environment from Langat Sub Basin, Malaysia, Nature Environment and Pollution Technology; Karad, 15(3), 1077-1082. 

  11. Laflen, J. M., Lane, L. J. and Foster, G. R., 1991, WEPP: A new generation of erosion prediction technology,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46(1), 34-38. 

  12. Lee, T., Rister, M. E., Narasimhan, B., Srinivasan, R., Andrew, D. and Ernst, M. R., 2010, Evaluation and spatially distributed analyses of proposed costeffective BMPs for reducing phosphorous level in Cedar Creek Reservoir, Texas, Transaction of ASABE, 53(5), 1619-1627. 

  13. Lowrance, R., Dabney, S. and Schultz, R., 2002, Improving water and soil quality with conservation buffer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57(2), 36A-43A. 

  14. Meghdadi, A. R., 2013, Identification of effective best management practices in sediment yield diminution using GeoWEPP: the Kasilian watershed case study,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85(12), 9803-9817. 

  15. Naveen C. A., Rister, E. D., Lacewell, R. D., Lee, T., Blumenthal, J., and Srinivasan, R., 2013, The Economics of Mitigating Effects of BioEnergy Production on Water Quality, Conference Proceeding of University Council on Water Resources, June 11, 2013, Tahoe, CA. 

  16. Novotny, V. and Olem, H., 1994, Water Quality: Prevention,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Diffuse Pollutio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NY. 

  17. Pearce, R. A., Trlica, M. J., Leininger, W. C., Mergen, D. E., and Frasier, G. W., 1998, Sediment movement through riparian vegetation under simulated rainfall and overland flow, Journal of Range Management, 51, 301-308. 

  18. Polyakov, V. O. and Nearing, M. A., 2004, Rare earth element oxides for tracing sediment movement, Catena, 55, 255-276. 

  19. Renschler, C. S., 2003, Designing geo-spatial interfaces to scale process models: the GeoWEPP approach, Hydrological Processes, 17, 1007. 

  20. USEPA, 2002, National Water Quality Inventory, Washington DC, Report no. EPA-841-R-02-001. 

  21. Wang, X., White, M., Tuppad, P., Lee, T., Srinivasan, R., Zhai, T., Andrews, D. and Narasimhan, B., 2013, Simulating sediment loading into the major reservoirs in Trinity River Basin,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Society, 68(5), 372-383. 

  22. Winston, R. J., Anderson, A. R., and Hunt, W. F., 2017, Modeling Sediment Reduction in Grass Swales and Vegetated Filter Strips Using Particle Settling Theory,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43(1), 1-12. 

  23. Wischmeier, W. H. and Smith, D. D., 1959,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Guide for selection of practices for soil and water conservatio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Handbook No.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