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에서의 뉴스 정보 수용과 전통 미디어 뉴스 읽기의 비교 카카오톡의 대화와 신문 비교를 중심으로
Comprehension of a News Story on SNS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al Newspaper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81, 2017년, pp.299 - 328  

이미나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  양승찬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  서희정 (교육방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의 뉴스 정보 수용을 기존의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의 뉴스 읽기와 비교 분석했다. 전통적인 신문기사 읽기 조건과 비교할 때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전달은 대화저널리즘 양식으로 이뤄진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양식의 차이가 뉴스 정보의 기억과 구성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유사실험을 통해 관찰했다. 실험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가상의 기사를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과 소셜미디어의 대화체 이야기 정보 방식으로 제작해 신문기사 조건과 소셜미디어 조건에 활용했다. 뉴스의 이해 정도를 정보 기억(전체 내용 기억, 주요 내용 기억, 내용을 틀리게 기억한 정도, 부가적인 정보의 기억, 사실 정보 획득)과 구성(인과관계 기억)의 두 가지 측면에서 관찰했다. 분석결과, 신문기사 조건은 소셜미디어 조건보다 정보 기억에서 더 뛰어났다. 전체 내용의 기억 정도, 주요 내용을 기억한 정도, 부가적인 정보를 기억한 정도, 사실 정보 획득 등에서 신문기사 조건이 우세했으며, 내용을 틀리게 기억한 정도는 소셜미디어 조건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관계 기억의 경우, 일반적 인과관계를 기억하는 정도는 소셜미디어 조건이 더 뛰어났지만 해당 기사에 특정한 인과관계를 기억하는 정도는 신문기사 조건이 소셜미디어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이 뉴스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news comprehension via the social media by comparing the reading of a news story on the news paper. A news story on the social media was suggested to present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al form, which differs from a traditional reporting style. To compare the different form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뉴스 정보는 어떤 구성을 지녔는가? 대표적으로 신문은 역피라미드 구조의 표준화된 방식으로 뉴스를 작성하지만 소셜미디어의 뉴스는 이러한 표준화된 방식을 탈피하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뉴스 정보는 비선형적으로 전개되면서 역피라미드에서 보여주는 선형적이고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구조에서 탈피하여 이야기체의 내러티브로 전개된다(최민재 외, 2013). 특히 이용자들은 수시로 끊임없이 네트워크에서 내용의 조각을 생산해내고 공유, 토론하고 표현하면서 뉴스와 관련된 정보를 유통시키고 뉴스의 확산에 기여한다.
상시환기저널리즘이 기존 미디어와 다른 특징은 무엇인가? 상시환기저널리즘은 소셜미디어가 뉴스 플랫폼으로 작용하면서 광범위한 전파, 상시적 운용, 즉각적 전달과 비동시적 반응 등의 소셜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속성이 저널리즘에 반영되고 있다고 본다(Hermida, 2010a; 2010b). 기존의 전통적인 미디어에 비해 소셜미디어는 광범위하고 비동시적이며 언제나 작동하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며 이러한 시스템이 뉴스 채널로 활용되면서 상시적이고 즉각적인 형태의 저널리즘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곧 관계에 기반을 둔 소셜네트워크의 연결 범위는 전통 미디어에 비해 더 광범위하며 전통미디어의 편성시간에 기초한 동시적 뉴스 전달 방식은 이용자의 편의에 따른 비동시적인 접근으로 대체되는 것이다.
소셜미디어 기반의 뉴스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전달되는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뉴스 정보는 비선형적으로 전개되면서 역피라미드에서 보여주는 선형적이고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구조에서 탈피하여 이야기체의 내러티브로 전개된다(최민재 외, 2013). 특히 이용자들은 수시로 끊임없이 네트워크에서 내용의 조각을 생산해내고 공유, 토론하고 표현하면서 뉴스와 관련된 정보를 유통시키고 뉴스의 확산에 기여한다. 이용자의 참여에 기반해 전파되는 뉴스는 전문가에 의해 작성된 일관적인 형태로 전달되기 보다는 개별 이용자들의 경험과 생각, 의견, 느낌을 표현하는 부분들의 집합으로 전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곽민영 (2011). 기사 스타일이 독자의 흥미, 신뢰도, 기억에 미치는 영향: 내러티브와 역피라미드 스타일 비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 김경모 (2012). 새로운 저널리즘 환경과 온라인 뉴스 생산. , 49권 1호, 7-37. 

  3. 박선희 (2012). SNS 뉴스 소통: 다중성과 구술성. , 49권 1호, 37-73. 

  4. 정회경.김사승 (2007). 온라인 시민저널리즘의 뉴스생산양식 특성에 관한 분석. , 51권 2호, 124-152. 

  5. 최민재.양승찬 (2009). . 한국언론진흥재단. 

  6. 최민재.양승찬.이강형 (2013). . 한국언론진흥재단. 

  7.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 한국언론진흥재단. 

  8. Baumgartner, J. C., & Morris, J. S. (2009). My Face tube politics: Social networking web sites and political engagement of young adults.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28, 24-44. 

  9. Bryant, J., Thompson, S. J., & Finklea, B. W. (2013). Fundamentals of Media Effects. 배현석 역(2016)j, . 한울아카데미. 

  10. Bright, J. (2016). The social news gap: How news reading and news sharing diverge, Journal of Communication, 66(3), 343-365. 

  11. Cappella, J. N., Kim, H. S., & Albarracin, D. (2015). Selection and transmission processes for information in the emerging media environment: Psychological motives and message characteristics. Media psychology, 18(3), 396-424. 

  12. Collins, W. A. (1983). Cognitive processing in television viewing. In E. Wartella & D. C. Whitney (Vol. Eds.), Mass communication review yearbook (pp. 195-209). Beverly Hills, CA: Sage. 

  13. van Dijk, T. A. (1988). News as Discours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van Dijk, T. A., & Kintsch, W. (1983). Strategies of discourse comprehension. New york; Academic Press. 

  15. van den Broek, P., & Gustafson, M. (1990). Comprehension and memory for texts: Three generations of reading research. In S. R. Goldman, A. C. Graesser, & P. van den Broek (Eds.), Narrative comprehension, causality, and coherence (pp. 15-34).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6. van den Broek, P., Risden, K., Fletcher, C., & Thurlow, R. (1996). A "landscape" view of reading: Fluctuating patterns of activ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a stable memory representation. In B. Britton & A. Graesser (Eds.), Models of understanding text (pp. 165-18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7. Eveland, W. P. Jr., Morey, A. C., & Hutchens, M. J. (2011). Beyond deliberation: New directions for the study of informal political conversation from a communication perspective. Journal of Communication, 61, 1082-1103. 

  18. Graber, D. (1988): Processing the News: How People Tame the Information Tide (2nd ed.). New York: Longman. 

  19. Gunter, B. (1987). Poor recep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 Glynn, C. J., Huge, M. E., & Hoffman, L. H. (2012). All news that's fit to post: A profile of news use on social network sit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1), 113-119. 

  21. Hermida, A. (2010a). From TV to Twitter: How Ambient News Became Ambient Journalism. A Journal of Media and Culture, 13(2). 

  22. Hermida, A. (2010b). Twittering the news. Journalism Practice, 4(3), 297-308. 

  23. Kintsch, W. (1998). Comprehens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Kintsch, W., & van Dijk, T. A. (1978). Toward a model of text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sychological Review, 85(5), 363-394. 

  25. Knobloch, S., Patzig, G., Mende, A., & Hastall, M. (2004). Affective news: Effects of discourse structure in narratives on suspense, curiosity, and enjoyment while reading news and novels. Communication Research, 31(3), 259-287 

  26. Knobloch-Westerwick, S., Sharma, N., Hansen, D. L., & Alter, S. (2005). Impact of popularity indications on readers selective exposure to online news. Journal of Broadcast and Electronic Media, 49(3), 296-313. 

  27. Lang, A. (1989). Effects of chronologic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on processing and memory for broadcast new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33(4), 441-452. 

  28. Lang, A. (2000). The limited capacity model of mediated message processing. Journal of Communication, 50(1), 46-70. 

  29. Lee, M., Roskos, B., & Ewoldsen, D. R. (2013). The impact of subtitles on comprehension of narrative film, Media Psychology, 16(4), 412-440 

  30. Lee, M. Roskos-Ewoldsen, B., & Roskos-Ewoldsen, D. R. (2008): Applying the landscape model to comprehending discourse from TV news stories, Discourse Processes, 45(6), 519-544. 

  31. Lee C. S., & Ma, L. (2012). News sharing in social media: The effect of gratifications and prior experie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2), 331-339. 

  32. Ma, L., Lee, C. S., & Goh, D. H-L. (2014). Understanding news sharing in social media. Online Information Review, 38(5), 598-615. 

  33. Magliano, J. P., Dijkstra, K., & Zwaan, R. A. (1996). Generating predictive inferences while viewing a movie. Discourse Processes, 22, 199-224. 

  34. Park, N., Kee, K. F., & Valenzuela, S. (2009). Being immersed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Facebook groups, uses and gratifications, and social outcomes. Cyberpsychology & Behavior, 12, 729-733. 

  35. Pew Research Center (2013). Future of Mobile News. Available at http://www.journalism.org/2012/10/01/future-mobile-news/. 

  36. Pottker, H. (2003). News and its communicative quality: the inverted pyramid-when and why did it appear? Journalism Studies, 4(4), 501-511. 

  37. Robinson, J. P. & Davis, D. K. (1986). Comprehension of a single evening's news (pp.107-132). In J. P. Robin and M. R. Levy (Eds.), The learning from television news. Sage: Beverly Hills, CA. 

  38. Shim, H. (2014), Narrative journalism in the contemporary newsroom: The rise of new paradigm in news format? Narrative Inquiry, 24(1), 77-95. 

  39. Singer, J. (2014). User-Generated Visibility: Secondary gatekeeping in a shared media space. New Media and Society, 16(1), pp. 55-73. 

  40. Sternadori, M. (2008). Cognitive processing of news as a function of structure: A comparison between inverted pyramid and chronology.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41. Trabasso, T., & Sperry, L. L. (1985). Causal relatedness and importance of story event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24, 595-611. 

  42. Weeks, B. E., & Holbert, R. L. (2013). Predicting Dissemination of News Content in Social Media: A Focus on Reception, Friending, and Partisanship.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90(2), 212-232. 

  43. Wise, K., Bolls, P., Myers, J., & Sternadori, M. (2009). When words collide online: How writing style and video intensity affect cognitive processing of online new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3(4), 532-546. 

  44. Yaros, R. A. (2006). Is it the medium or the message? Structuring complex news to enhance engagement and situational understanding by nonexperts, Communication Research, 33, 4, 285-309. 

  45. Zwaan, R. A., Langston, M. C., & Graesser, A. C. (1995). The construction of situation models in narrative comprehension: An event-indexing model. Psychological Science, 6(5), 292-297. 

  46. Zwaan, R. A., & Magliano, J. P., & Graesser, A. C. (1995). Dimensions of situation model construction in narrative comprehens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1(2), 386-397. 

  47. Zwaan, R. A., & Radvansky, G. A. (1998). Situation models in language comprehension and memory. Psychological Bulletin, 123(2), 162-185. 

  48. Zwaan, R. A., Radvansky, G., Hilliard, A. E., & Curiel, J. M. (2009). Constructing multidimensional situation models during reading.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2(3), 199-2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