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월경 태도, 월경 전 불편감과 월경 전 대처와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Menstrual Attitude, Premenstrual Distress, and Premenstrual Coping in Korean College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1, 2017년, pp.11 - 20  

한지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김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 간호학연구소) ,  김상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 간호학연구소) ,  이선경 (서울여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presented a descriptive study which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enstrual attitude, premenstrual distress and premenstrual coping in Korean college women and to propos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remenstrual dis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월경 전 대처와 월경 태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월경 전 불편감의 정도에 따른 대처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증상 정도를 고려하는 월경 전 대처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월경 전 불편감에 대한 대처를 월경 대처 도구로 측정한 기존 연구들의 제한 점을 극복하고자 호주에서 개발된 월경 전 불편감에 특화된 도구인 월경 전 대처 도구(Premenstrual Coping Measure, PMCM)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번역 사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여대생들의 월경 전 대처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대상자들이 선택한 대처 전략에 따른 의미와 결과를 탐색한 것이다. 또한 월경 전 대처와 월경 태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월경 전 불편감의 정도에 따른 대처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증상 정도를 고려하는 월경 전 대처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월경 전 불편감에 대한 대처를 월경 대처 도구로 측정한 기존 연구들의 제한 점을 극복하고자 호주에서 개발된 월경 전 불편감에 특화된 도구인 월경 전 대처 도구(Premenstrual Coping Measure, PMCM)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번역 사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 전 대처 양상을 파악하고 월경 태도 월경 전 불편감,  월경 전 대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월경, 전 대처 전략을 이해하고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 태도, 월경 전 불편감과 월경 전 대처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월경 태도에 따른 월경 전 대처 유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월경 태도가 긍정적인 대상자들이 월경 전 대처 유형 중 월경 전 변화에 대한 인지 및 수용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월경 태도, 월경 전 불편감, 월경 전 대처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 전 대처 양상을 파악하고 월경 태도 월경 전 불편감,  월경 전 대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월경, 전 대처 전략을 이해하고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여대생들의 월경 전 대처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대상자들이 선택한 대처 전략에 따른 의미와 결과를 탐색한 것이다. 또한 월경 전 대처와 월경 태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월경 전 불편감의 정도에 따른 대처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증상 정도를 고려하는 월경 전 대처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경 전 대처에 대한 양상을 파악하고 월경 태도, 월경 전 불편감과 월경 전 대처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여대생들의 월경 전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해당도구는 월경 전, 월경 중, 월경 후에 모두 사용 가능한 도구이며[3] 본 연구에서는 월경 전 시점의 불편감을 질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경 전 불편감이란? 월경 전 불편감은 월경 시작 전에 나타나는 통증, 수분정체와 같은 신체적 증상에서부터 부정적 정서 집중력 저하, 행동 변화와 같은 정서 행동적 증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편감은 가임기 여성에게 빈번한 건강 문제가 되기도 하며 증상의 정도에 따라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4]. 그동안 많이 사용되어진 월경 전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월경 전 시점의 증상을 의료화하거나 비정상적인 상태로 규정화하여[3] 본 연구에서는 월경 전 불편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월경이란? 월경은 여성에게서 정상적인 생리적 과정이자 여성이 임신과 분만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는데 요구되는 필수 요건이며, 가임기 여성의 건강을 대표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1,2].
여대생의 월경 전 대처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월경 전 불편감을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월경 전 불편감의 정도를 사정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대처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또한 월경 전 불편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초경 시기부터 월경 전 불편감에 대한 교육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Park JM, Suh SR, KimKY,KimHJ. Femaleworker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premenstrual discomfort and cop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1):100-112. 

  2. Morabia A, Costanza MC. International variability in ages at menarche, first livebirth, and menopause.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98;148(12):1195-1205. 

  3. Moos RH.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anual, instrument and scoring guide 4th edition [Internet]. USA:Mind Garden Inc; 2014 [cited 2014 June 16]. Available from: http://www.mindgarden.com/menstrual-distress-questionnaire/351-mdq-manual.html. 

  4. Dennerstein L, Lehert P, Heinemann K. Epidemiology of premenstrual symptoms and disorders.Menopause International. 2012;18(2):48-51. 

  5. Choi DS.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The 41th training workshop for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9 May 22-23; Haeundae Grand Hotel. Busan: 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Press; 2009. p. 135-146. 

  6. KimMJ, NamYS, Oh KS, Lee CM. Some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influence of excercise, menarche, and age on PMS.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003;11(2):13-26. 

  7. Kim HW. The effects of a PMS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7):1164-1174. 

  8. Indusekhar R, Usman SB, O'Brien S. Psychological asp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 Gynaecology. 2007;21(2):207-220. 

  9. Shin MA. A structural model of premenstrual symptom in female college students [dissertation]. Seoul:HanyangUniversity; 2005. 87 p. 

  10. Kim KH, Kim EK, Suh SY, Lee SH, Choi TK, KimMY, et al. Exploratory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ption to feminity and premenstrual symptoms- In nurses whoworked for some university hospital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08;8(2):63-74. 

  11. Ussher JM. Challenging the positioning of premenstrual change as PMS: The impact of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on women's self-policing.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2008;5 (1):33-44. 

  12. Jun EM. A study onmenstrual symptom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9(2):161-169. 

  13. Ussher JM, Perz JM. Women's resistance to the pathologization of premenstrual change. In: McKenzie-Mohr S, Lafrance MN, editors.Womenvoicing resistance:Discursive andnarrative explorations. London: Routledge; 2014. 84 p. 

  14. Read JR, Perz JM, Ussher JM. Ways of coping with premenstrual chang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emenstrual coping measure. BMCWomen's Health. 2014;14(1):1-15. 

  15. Shin MA, Jeong MH.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menstr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1): 43-51. 

  16. An KE. Perimenstrual pain and coping behaviors in young women. Nursing Science. 2001;13(2):29-40. 

  17. KimYI, Lee EH, JeonGE, Choi SJ. Astudy on coping styles for dysmenorrhea and affecting factors in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3):264-272. 

  18. Brooks-Gunn J, Ruble DN. The menstrual attitude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1980;42(5):503-512. 

  19. Kim JS. The relations among premenstrual syndrome, menstrual attitude, neuroticism, and stres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83 p. 

  20. Moos RH.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1968;30(6):853-867. 

  21. Kim YS, Kim MZ, Jeong IS. The effect of self-foot reflexology on the relief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5):801-808. 

  22. Choi PY, Salmon P.Howdowomen copewithmenstrual cycle change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5;34(1): 139-151. 

  23. Song JE, Chae HJ, Jang WH, Park YH, Lee KE, Lee S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menstrual attitude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2):119-128. 

  24. Morse GG. Effect of positive reframing and social support on perception of perimenstrual changes amongwomenwith premenstrual syndrome.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7;18(2):175-193. 

  25. Ussher JM, Perz J. PMS as a process of negotiation: Women's experience and management of premenstrual distress. Psychology & Health. 2013;28(8):909-927. 

  26. Ahn HY, Hyun HJ, Kim HW. Pre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5;16(3):289-299. 

  27. Cha C, NamSJ. Premenstrual symptom clusters and women's coping style in Korea: Happy healthy 20s application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2016:37 (3):91-100. 

  28. Kennett DJ, O’Hagan FT, Meyerhoff TJ. Managing menstruation: Moderating role of symptom severity on active coping and acceptanc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6; 38(5):553-5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