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년 하계 제주 행원리 일대 양식장주변 해수 중 용존유기물 분포와 기원
Distributions and Sourc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eawaters Surrounding Aqua Farms on the Haengwon-ri in Jeju-Island in Summer 2015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9 no.1, 2017년, pp.35 - 43  

김정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김태훈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 dissolved organic phosphate (DOP), and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 (CDOM) were measured in the coastal sea off inland aqua farms in northeastern Jeju Island in summer 2015.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DOC, D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제주도 연안 환경에서 해양 유기물의 기원과 해저 지하수 기원 유기물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계 제주도 내 육상양식장이 밀집한 행원리 주변 연안 해수에서 용존유기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용존유기물질의 기원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자외선과 짧은 파장대의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유색 용존유기물질(CDOM: 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을 추적자로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 측정된 용존유기물질은 Coble (1996)이 제시한 피크의 파장위치에 따라 B(Ex/Em = 275/310 nm), T(275/340 nm), M(312/380−420 nm), C(350/420−480 nm), A(260/380−460 nm)성분으로 구분하였고, 이번 연구에서는 대표적 용존유기물질 성분인 T, M, C 피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의 총 면적은? 제주도는 대한민국 남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총 면적이 약 1,830 km2 이르고, 섬의 중앙에는 높이 1,950 m의 한라산이 자리잡고 있으며, 한라산 중심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동서사면과 상대적으로 급경사를 이루는 남북사면으로 이루고 있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연간 강우량(1,900 mm)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제주도 지층의 대부분이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의 현무암과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대부분 지각으로 스며든다.
제주도 연안에 육상수조식 양식장이 전국 육상수조식에 대비하여 약 50%에 이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이러한 해저지하수를 이용한 연안 양식장이 발달하여, 유기오염물이 제주도 연안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제주도는 일정한 수온(16−18oC)의 깨끗하고 영양염이 풍부한 해저지하수의 양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Kim et al. 2003), 양식 환경에 적합한 수온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반페쇄적인 내만과 달리 사면이 외양에 접해 있어 연안 체류시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안정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도 연안에는 육상수조식 양식장이 2015년기준 289개소에 달하고, 전국 육상수조식 566개소에 대비하여 약 50%에 이른다(KOSIS 2016).
한라산의 높이는? 제주도는 대한민국 남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총 면적이 약 1,830 km2 이르고, 섬의 중앙에는 높이 1,950 m의 한라산이 자리잡고 있으며, 한라산 중심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동서사면과 상대적으로 급경사를 이루는 남북사면으로 이루고 있다. 제주도는 우리나라에서 연간 강우량(1,900 mm)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제주도 지층의 대부분이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의 현무암과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대부분 지각으로 스며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mon RMW, Benner R (1996) Bacterial utilization of different size class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Limnol Oceanogr 41:41-51 

  2. Carlson CA, Ducklow HW (1995)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e upper ocean of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Ocean, 1992: daily and finescale vertical variations. Deep-Sea Res II 42:639-656 

  3. Carlson CA, Ducklow HW, Michaels AF (1994) Annual flux of dissolved organic carbon from the euphotic zone in the northwestern Sargasso Sea. Nature 371:405-408 

  4. Coble PG (1996) Characterization of marine and terrestrial DOM in seawater using excitation-emission matrix spectroscopy. Mar Chem 51:325-346 

  5. Coble PG (2007) Marine optical biogeochemistry:the chemistry of ocean color. Chem Rev 107:402-418 

  6. Doval MD, Hansell DA (2000) Organic carbon and apparent oxygen utilization in the western South Pacific and the central Indian Oceans. Mar Chem 68:249-264 

  7. Emerson S, Hedges JI (1988) Processes controlling the organic carbon content of open ocean sediments. Paleoceanography 3:621-634 

  8. Hansell DA, Carlson CA (1998) Deep-ocean gradients in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Nature 395:263-266 

  9. Hansell DA, Carlson CA, Suzuki Y (2002) Dissolved organic carbon export with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formation. Global Biogeochem Cy 16:7-1-7-8 

  10. Huguet A, Vacher L, Relexans S, Saubusse S, Froidefond JM, Parlanti E (2009) Properties of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Gironde Estuary. Org Geochem 40:706-719 

  11. Jackson GA, Williams PM (1985) Importance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to biological nutrient cycling. Deep-Sea Res 32:223-235 

  12. JDI (2008) Study on the solving conflicts between fishing village community and residents in using community fishing ground. Jeju Development Institute, Jeju, Synthesis Report, 135 p 

  13. Jeong Y-H, Kim H-S Yang J-S (2010) Statistical analyses of long-term water quality variation in the Geumgang-Reservoir: focused on the TP load by migrating birds excrement. J Korean Soc Mar Environ Eng 13:223-233 

  14. Jiao N, Herndl GJ, Hansell DA, Benner R, Kattner G, Wilhelm SW, Kirchman DL, Weinbauer MG, Luo T, Chen F, Azam F (2010) Microbial production of recalcitrant dissolved organic matter: long-term carbon storage in the global ocean. Nature Rev Microbiol 8:593-599 

  15. Kang YQ, Jin MS (1984) Annual variation of salinity in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19:105-110 

  16. Karl DM, Bjorkman KM (2015) Dynamics of DOP. In: Hansell DA and Carlson CA (eds) Biogeochemistry of marine dissolved organic matter. Elsevier, Amsterdam, pp 233-334 

  17. Kim G, Lee K-K, Park K-S, Hwang D-W, Yang H-S (2003) Large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from a volcanic island. Geophys Res Lett 30:2098. doi:10.1029/2003GL018378 

  18. Kim T-H, Kim G (2013) Factors controlling the C:N:P stoichiometry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N-limited, cyanobacteria-dominated East/Japan Sea. J Mar Syst 115-116:1-9 

  19. Kim T-H, Kim G, Lee S-A, Dittmar T (2015) Extraordinary slow degrad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in a cold marginal sea. Sci Rep 5:13808. doi:10.1038/srep13808 

  20. Kim T-H, Kwon E, Kim I, Lee S-A, Kim G (2013)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subterranean estuary of a volcanic island, Jeju: importance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fluxes to the ocean. J Sea Res 78:18-24 

  21. Koh HJ, Park S-E, Cha H-K, Chang D-S, Koo J-H (2013) Coastal eutrophication caused by effluent from aquaculture ponds in Jeju. J Kor Soc Mar Environ Saf 19:315-326 

  22. KOSIS (2016) Korean S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eb. http://kosis.kr Accessed 2 Sep 2016 

  23. Letscher RT, Hansell DA, Carlson CA, Lumpkin R, Knapp AN (2013) Dissolved organic nitrogen in the global surface ocean: distribution and fate. Global Biogeochem Cy 27:141-153 

  24. Manny BA, Johnson W, Wetzel R (1994) Nutrient additions by waterfowl to lakes and reservoirs: predicting their effects on productivity and water quality. Hydrobiologia 279:121-132 

  25. Nagata T, Kirchman DL (1992) Release of dissolved organic matter by heterotrophic protozoa: implications for microbial food webs. Arch Hydrobiol Beih Ergebn Limnol 35:99-109 

  26. NFRDI (2001) Oceanographic handbook of the neighbouring seas of Korea. Yemoon Press, Paju, 436 p 

  27. Orrett K, Karl DM (1987)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production in surface seawaters. Limnol Oceanogr 32:383-395 

  28. Redfield AC, Ketchum BH, Richards FA (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In Hill MN (ed) The sea, vol 2. Interscience, pp 26-77 

  29. Sipler RE, Bronk DA (2015) Dynamics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In: Hansell DA, Carlson CA (ed) Biogeochemistry of marine dissolved organic matter. Elsevier, Amsterdam, pp 233-334 

  30. Tanaka K, Kuma K, Hamasaki K, Yamashita Y (2014) Accumulation of humic-like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Japan Sea. Sci Rep 4:5292. doi:10.1038/srep05292 

  31. Walsh TW (1989) Total dissolved nitrogen in seawater: a new-high-temperature combustion method and a comparison with photo-oxidation. Mar Chem 26:295-311 

  32. Williams PLB (1990) The importance of losses during microbial growth: commentary on the physiology, measurement and ecology of the release of dissolved organic material. Mar Microb Food Webs 4:175-206 

  33. Williams PM, Druffel ERM (1987) Radiocarbon in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central North Pacific Ocean. Nature 330:246-248 

  34. Zsolnay A, Baigar E, Jimenez M, Steinweg B, Saccomandi F (1999) Differentiating with fluorescence spectroscopy the sourc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oils subjected to drying. Chemosphere 38:45-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