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치표고모형 (DEM)을 이용한 침수재해 지도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king Map of Flood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DEM)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9 no.2, 2017년, pp.81 - 90  

임현택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재휘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학범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성용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  김용성 (Department of Regional Infrastructure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floodplain data are important for river master plan, storm and flood damage reduction comprehensive plan and pre-disaster impact assessment. Hazard map, base of floodplain data, is being emphasized as important method of non-structural flood prevention and consist of inundation trace map, i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적용 대상지역으로 경기도 안성시 가현동과 공도읍 용두리를 선정하여, 무인비행시스템의 3차원 고해상도 정사영상을 활용하여 DEM을 추출한 자료로 두 지역에 대한 침수범위를 분석하고 기 작성된 침수흔적도와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DEM 자료를 이용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속하고 정확도가 높은 데이터 취득 및 재해지도 작성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치지도, 정사영상, DEM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사용가능한 자료를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 구역인 경기도 안성시 가현동 일원과 공도읍 용두리 일원 지역의 정사영상은 이미지파일만 제공 되고, DEM 자료 역시 일부 도각에서도 또한 이미지파일만 제공이 되고있어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시스템을 활용한 영상으로 생성한 DEM으로 동일 위치에서의 침수심 및 범위를 기 작성된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수흔적도란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 제21조, 동법 시행령 제18조 및 제19조와 ‘재해지도 작성 기준 등에 관한 지침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2016)’ 등으로 재해지도를 규정하고 있다. 재해지도 중 침수흔적도는 재해지도의 가장 기초적인 것이며 태풍, 호우, 해일 등 풍수해로 인한 침수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대하여 침수흔적 조사 및 측량을 실시하고 침수구역에 대한 침수범위, 침수위, 침수심, 침수시간 등을 조사하여 연속지적도 및 수치지형도 등에 표시한 지도이고 지방자치단체별로 제작 및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침수피해 발생 즉시 피해지역에 대한 침수를 조사하고, 신속한 조사가 어려울 경우 일정 기간 내에 침수흔적을 조사하여 작성하도록 되어있으나 침수피해의 특성인 침수의 지속시간이 짧아 신속한 조사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에서 침수흔적도를 만들기 어려운 까닭은 무엇인가? 재해지도 중 침수흔적도는 재해지도의 가장 기초적인 것이며 태풍, 호우, 해일 등 풍수해로 인한 침수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대하여 침수흔적 조사 및 측량을 실시하고 침수구역에 대한 침수범위, 침수위, 침수심, 침수시간 등을 조사하여 연속지적도 및 수치지형도 등에 표시한 지도이고 지방자치단체별로 제작 및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침수피해 발생 즉시 피해지역에 대한 침수를 조사하고, 신속한 조사가 어려울 경우 일정 기간 내에 침수흔적을 조사하여 작성하도록 되어있으나 침수피해의 특성인 침수의 지속시간이 짧아 신속한 조사에 어려움이 있다. 행정적인 절차로 인한 진행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침수구역의 침수심과 침수범위에 대한 조사가 어려운 현실이다.
한국에서 침수흔적도는 어디에서 만들고 관리하니요? 국내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 제21조, 동법 시행령 제18조 및 제19조와 ‘재해지도 작성 기준 등에 관한 지침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2016)’ 등으로 재해지도를 규정하고 있다. 재해지도 중 침수흔적도는 재해지도의 가장 기초적인 것이며 태풍, 호우, 해일 등 풍수해로 인한 침수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대하여 침수흔적 조사 및 측량을 실시하고 침수구역에 대한 침수범위, 침수위, 침수심, 침수시간 등을 조사하여 연속지적도 및 수치지형도 등에 표시한 지도이고 지방자치단체별로 제작 및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침수피해 발생 즉시 피해지역에 대한 침수를 조사하고, 신속한 조사가 어려울 경우 일정 기간 내에 침수흔적을 조사하여 작성하도록 되어있으나 침수피해의 특성인 침수의 지속시간이 짧아 신속한 조사에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ambers, K., H. Eisenbeiss, M. Sauerbier, D. Kupferschmidt, T. Gaisecker, S. Sotoodeh, and T. Hanusch, 2007. Combining photogrammetry and laser scanning for the recording and modelling of the Late Intermediate Period site of Pinchango Alto, Palpa, Peru.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10): 1702-1712. 

  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2016. Guideline on Disaster Mapping (in Korean). 

  3. Park, J. K. and J. H. Park, 2015. Reservoir Failure Monitoring and Identified by the UAV Aerial Image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1(10): 155-167 (in Korean). 

  4. Puschel, H., M. Sauerbier, and H. Eisenbeiss, 2008. A 3D model of Castle Landenberg (CH) from combined photogrammetric processing of terrestrial and UAV-based images. Int. Arch. Photogramm. Remote Sens. Spat. Inf. Sci 37: 93-98. 

  5. Tahar, K. N., A. Ahmad, W. A. A. Wan Mohd Akib, and W. S. Udin, 2011. 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y for large scale mapping. International Symposium & Exhibition on Geoinformation (ISG): 27-29. 

  6. Kim, D. I., Y. S. Song, G. H. Kim, and C. W. Kim,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AV for Korean Land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2(1): 29-38 (in Korean). 

  7. Kim, S. G., I. H. Song, and Y. H. Cho, 2005. Cartography of Disaster Using GIS, Cartography of Disaster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7(2): 13-24 (in Korean). 

  8. Korea Cadastral Survey Corp, 2006. Anseong-si Flooded Trace Survey Report (in Korean). 

  9. Korea Cadastral Survey Corp, 2008. Anseong-si Flooded Trace Survey Report (in Korean). 

  10. Lim, H. T., S. W. Ahn, J. S. Kim, S. Y. Park, and Y. S. Kim, 2016.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Improvement Method of the Making Inundation Trace Map.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2): 223-23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