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탐구와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Korean Teachers' Conceptions of Models and Modeling i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1, 2017년, pp.143 - 154  

강남화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탐구는 교육과정에서 오랜 동안 강조되어왔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기능 중 하나는 모델의 사용이며, 모델 기반 탐구 활동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을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교사 연수를 실시하면서 교사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앞으로의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수에 참가한 29명의 초, 중등 교사였고, 연구 자료로는 각 연수 설계 및 실행 과정 중 연구자의 기록, 연구 참여 교사들이 작성한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질문지의 응답, 연수 과정에서 수행한 과제의 결과물, 연수 중 교사 토론의 녹음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의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존재론적 측면에서는 세 가지 관점으로 인식론적 측면에서는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교사의 인식론적 이해는 연수 후에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존재론적 이해에 있어서는 보다 폭넓고 깊은 이해를 가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사례가 일부 있었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연수 전과 후 모두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모델을 개념 가시화의 도구로서 인식하는 관점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고, 모델의 사용이 과학탐구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의견은 반반으로 나뉘었다. 한편, 과학 수업에서 모델 사용과 모델링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는 연수를 통해 62%의 교사가 보다 세련된 수업 적용 계획을 세우고 이를 위해 보다 확장된 모델 및 모델링 개념을 가지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모델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천사이의 관련은 명료하게 드러나지 않았으나 학교 상황 요인이 교사의 실천의지에 대한 매개로 작용하는 것이 드러났으며, 교사가 모델과 모델링에 대해 보다 확장적인 개념을 가지면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더 고려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추후 연구 및 유사한 연수에 대한 내용 및 전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ience inquiry has long been emphasized in Korean science education. Scientific modeling is one of key practices in science inquiry with a potential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own explanations and knowledge thereaf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정 중심 탐구가 비판 받아온 이유는? 그러나 과학교육에서 과정 중심 탐구는 과학의 참된 모습을 보여 주기에는 부족하다는 비판을 계속 받아왔다 (Hodson, 1996; Windschitl, Thompson, &Brraten, 2008). 무엇보다도 과정 중심 탐구는 실험을 중심으로 하는 탐구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마치 과학 탐구가 항상 실험을 동반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어 경험주의적 관점으로만 과학을 바라보게 할 수 있다 (Gray & Kang, 2014). 특히 원리, 법칙, 이론 등으로 구성된 과학적 설명이 실증적 자료만으로 유도된다는 관점은 과학탐구에 대한 편협한 생각을 하게 할 수 있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난 수 십 여년 국내외에서 과학교육의 목적이 과학 내용을 전수하는 것을 넘어 과학의 본성을 알고 과학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 속에 과학 관련 사회적 또는 개인적 문제 해결 능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확대되어 주창되어 왔다 (Park, 2016).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과학 지식의 특성 및 과학 지식이 구성되는 과정에 관한 인식론적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Abd-El-Khalick, 2013). 이러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과학 내용 학습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과학이 사회 및 개인적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과학 교과 내용에 포함되는 과학적 실천이란 무엇을 일컫는가? 이러한 최근의 경향에 발맞추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내용과 결합하여 성취할 기능으로서 단순한 탐구 기능을 넘어서는 과학적 실천(Kang & Lee, 2013)을 과학 교과의 내용 체계에 포함하였다. 이들 실천은 여덟 가지로 문제인식, 자료의 수집⋅분석 및 해석,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모형의 개발과 사용,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결론 도출 및 평가, 의사소통으로 구분되어 “기능”이라는 이름으로 제시되었다. 이 여덟 가지의 실천은 최근 개발되어 발표된 미국의 과학교육표준(NGSS)과 일맥상통한다 (Jeong & Kang,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bd-El-Khalick, F. (2013). Teaching with and about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er knowledge domain. Science & Education, 22, 2087- 2107. doi:10.1007/s11191-012-9520-2 

  2. Appleton, K. (1997). Analysis and description of students' learning during science classes using a constructivist-based mod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3), 303-318. http://doi.org/10.1002/(SICI)1098-2736(199703)34:3 3.0.CO;2-W 

  3. Anderson, T., & Shattuck, J. (2012). Design-based research: A decade of progress in education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41(1), 16-25. http://doi.org/10.3102/0013189X11428813 

  4. Borko, H. (2004).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learning: Mapping the terrain. Educational Researcher, 33(8), 3-15. http://doi.org/10.3102/0013189X033008003 

  5. Brandwein, P. F., & Schwab, J. J.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and Sc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 Clement, J. (1989). Learning via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Protocol evidence on sources of creativity in ccience. In Handbook of Creativity (pp. 341-381). Boston, MA: Springer US. http://doi.org/10.1007/978-1-4757-5356-1_20 

  7. Duschl, R. A., & Grandy, R. E. (Eds.). (2008).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8. Gilbert, S. W. (1991). Model building and a definition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 73-79. http://doi.org/10.1002/tea.3660280107 

  9. Gray, R., & Kang, N.-H. (2014). The structure of scientific arguments by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historical science top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46- 65. http://doi.org/10.1080/09500693.2012.715779 

  10. Grosslight, L., Unger, C., Jay, E., & Smith, C. L. (1991). Understanding models and their use in science: Con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per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9), 799-822. http://doi.org/10.1002/tea.3660280907 

  11. Harrison, A. G., & Treagust, D. F. (2000). A typology of school science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9), 1011-1026. doi:10.1080/095006900416884 

  12. Hodson, D. (1996). Laboratory work as scientific method: three decades of confusion and distor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8(2), 115-135. http://doi.org/10.1080/0022027980280201 

  13. Jeong, J.-H., & Kang, N.-H. (2016). Comparison of Korean and US Achievement Expectations for Physics in School Education. New Physics: Sae Mulli, 66(6), 705-718. https://doi.org/10.3938/NPSM.66.705 

  14. Justi, R. S., & Gilbert, J. K. (2002). Modelling, teachers' views on the nature of modelling, and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model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69-387. doi:10.1080/09500690110110142 

  15. Justi, R., & Gilbert, J. (2003). Teachers' views on the nature of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11), 1369-1386. http://doi.org/10.1080/0950069032000070324 

  16. Kang, N.-H., & Lee, E. M. (2013).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physics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32-143. 

  17. Kang, N.-H., Orgill, M., & Crippen, K. J. (2008). Understanding teachers' conceptions of classroom inquiry with a teaching scenario survey instru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4), 337-354. http://doi.org/10.1007/s10972-008-9097-4 

  18. Kang, N. -H., & Wallace, C. S. (2005).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 of laboratory activities: Linking epistemological beliefs, goals, and practices. Science Education, 89, 140-165. http://doi.org/10.1002/sce.20013 $\mid$ ISSN 0036-8326 

  19. Kim, Y., Paik, S.-H., Choi, S. Y., Kang, N.-H., Maeng, S., & Joung, Y. J. (2015).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751-772. http://doi.org/10.14697/jkase.2015.35.4.0751 

  20. Knorr-Cetina, K. (1991). Epistemic cultures: Forms of reason in science.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23(1), 105-122. doi:10.1215/00182702-23-1-105 

  21. Kuhn, T. S.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Latour, B. (1987). Science in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3. Lehrer, R., & Schauble, L. (2000). Developing Model-Based Reasoning in Mathematics and Scienc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1), 39-48. http://doi.org/10.1016/S0193-3973(99)00049-0 

  24. Louca, L. T. & Zacharia, Z. C. (2012). Modeling-base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Cognitive, metacognitive, social, material and epistemological contributions. Educational Review, 64, 471-492. 

  25. Mathison, S. (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er, 17(2), 13-17. 

  26. Mills, G. E. (2007). Action Research: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er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27. Mody, C. M. (2015). Scientific practice and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9(6), 1026-1032. doi:10.1002/sce.21190 

  28. Nagel, E. (1960). The Structure of Science: Problems in the Logic of Scientific Explanation. Indianapolis, USA: Hackett.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doi:10.17226/13165 

  30. Nersessian, N. J. (1992). How do scientists think? Capturing the dynamics of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In R. N. Giere (Ed.), Cognitive Models of Science (pp. 3-44).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esota Press. 

  31.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32. Oh, P. S. (2016). Roles of models in abductive reasoning: A schematization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4), 551-561. http://doi.org/10.14697/jkase.2016.36.4.0551 

  33. Oh, P. S., & Oh, S. J. (2011). What teachers of science need to know about model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8), 1109-1130. doi:10.1080/09500693.2010.502191 

  34. Park, J. (2016). Discussions about the three aspects of scientific literacy: Focus on integrative understanding, settlement in curriculum, and civic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3), 413-422. http://doi.org/10.14697/jkase.2016.36.3.0413 

  35. Park, H.-K., Choi, J.-R., Kim, C.-J., Kim, H.-B., Yoo, J., Jang, S., & Choe, S.-U. (2016). The change in modeling abil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through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15-28. http://doi.org/10.14697/jkase.2016.36.1.0015 

  36. Pickering, A. (Ed.). (1992). Science as Practice and Culture. Chicago. 

  37. Sandoval, W. A., & Bell, P. (2004). Design-based research methods for studying learning in context: Introd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9(4), 199-201. http://doi.org/10.1207/s15326985ep3904_1 

  38. Schwartz, C. V. & White, B. Y. (2005). Meta-modeling knowledge: Develo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3, 165-205. 

  39. Stroupe, D. (2015). Describing "Science Practice" in learning settings. Science Education, 99(6), 1033-1040. doi:10.1002/sce.21191 

  40. Treagust, D. F., Chittleborough, G., & Mamiala, T. L. (2002).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scientific models in learning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57-368. http://doi.org/10.1080/09500690110066485 

  41. Van Driel, J. H., & Verloop, N. (2003). Experienced teachers'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models and modelling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2), 1255-1272. 

  42. Windschitl, M., & Thompson, J. (2006). Transcending simple forms of school science investigation: The impact of preservice instruction on teachers' understandings of model-based inquiry.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3(4), 783-835. http://doi.org/10.3102/00028312043004783 

  43.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08). Beyond the scientific method: Model-based inquiry as a new paradigm of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Science Education, 92(5), 941-967. doi:10.1002/sce.202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