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 과잉에 따른 BiFeO3-BaTiO3 세라믹스의 압전 및 유전특성
Effect of Bismuth Excess on Piezoelectric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BiFeO3-BaTiO3 Ceramic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7 no.3, 2017년, pp.144 - 148  

이재홍 (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이명환 (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송태권 (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김원정 (창원대학교 물리학과) ,  성연수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김명호 (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an excess of Bi on the piezoelectric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0.60Bi_{1+x}FeO_3-0.40BaTiO_3$ (x = 0, 0.01, 0.03, 0.05, 0.07) were investigated. The ceramics were processed through a conventional solid state reaction method and then quenched after sintering at differ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Bi를 과잉 첨가한 Bi1+xFeO3-BaTiO3 (x = 0, 0.01, 0.03, 0.05, 0.07)의 세라믹스를 고상반응법으로 제조하였고 급냉 공정을 실시한 후 미세구조 및 강유전, 압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XRD 분석결과 이차상 없는 단일상의 perovskite 형태로 나타났으며 실험한 범위 내에서 Bi가 과잉으로 포함되어도 정방정 결정구조에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Bi의 과잉은 소결 중 휘발되는 Bi이온을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특성이 향상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Bi2O3는 소결 조제로도 이용되기 때문에 소결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18- 20)를 유발하므로 Bi의 과잉량에 따라 소결 온도를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시편의 구조 및 결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X-선 회절 장치(X-ray diffractometer, MiniflexII, Rigaku)를 사용하였으며 소결된 시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JSM-6510)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임피던스(impedance)분석기(HP4194A)를 이용하여 유전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전기장에 따른 변위 (strain)는 변위 측정 장비(LVDT, Millimar 1240, Mah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및 압전특성의 장점을 바탕으로 상호 간의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BFO 기반에 BTO를 40 mol% 치환한 0.60Bi1+xFeO3- 0.40BaTiO3 (x = 0~0.07) 세라믹스를 제작하여 유전 및 압전 특성을 관찰하였다. Bi의 과잉은 소결 중 휘발되는 Bi이온을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특성이 향상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대상 데이터

  • 출발원료로 Bi2O3 (Aldrich 99.9 %), Fe2O3 (Aldrich 99 %), BaCO3 (Aldrich 99 %), TiO2 (Aldrich 99.9 %)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고상반응법(solid state reaction)을 이용하여 0.60Bi1+xFeO3-0.40BaTiO3 (x = 0, 0.01, 0.03, 0.05, 0.07)시료를 제작하였다. 각각의 분말을 측량하여 Y2O3-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 YSZ) 볼(ball)들과 무수에탄올을 사용하여 24시간 볼밀링(ballmilling) 하였다.
  • 07) 세라믹스의 XRD 패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로 하기 위해 99.999 % (5N)의 Si 분말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회절 피크의 위치를 보정하였다. 전 조성에 걸쳐 이차상이 없는 단일상의 perovskite 구조가 나타났으며 Fig.

데이터처리

  • 6 mm의 두께로 연마(polishing)한 후 표면에 전극을 도포하여 주요 특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편의 구조 및 결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X-선 회절 장치(X-ray diffractometer, MiniflexII, Rigaku)를 사용하였으며 소결된 시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JSM-6510)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임피던스(impedance)분석기(HP4194A)를 이용하여 유전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전기장에 따른 변위 (strain)는 변위 측정 장비(LVDT, Millimar 1240, Mah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TiO3 (BTO) 장단점은? 4-7)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A자리를 La2O3, Sm2O3, Nd2O3와 같은 란탄족으로 치환하거나8-12) BaTiO3, CaTiO3, SrTiO3 perovskite로 치환하여 압전 및 유전 특성이 향상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13-16) BaTiO3 (BTO)는 현재까지 가장 널리 알려진 강유전체 재료로 높은 400 pC/N 이상의 압전상수(piezoelectric constant, d33) 를 갖는 반면에 낮은 TC~120oC로 인해 응용분야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17)
순수 BFO의 특성은? 여러 비납계 관련 후보 중에서 최근 BiFeO3 (BFO)를 기반으로 한 세라믹스가 관심을 받고 있다. 순수 BFO의 경우 높은 큐리온도(Curie temperature, TC) ~830 oC와 큰 잔류분극(remnant polarization, Pr) ~100 μC/cm2 을 갖는다.4-7) 하지만 제조공정중에 쉽게 2차상을 형성하여 순수한 물질을 제작하기 어려우며, 소결 과정에서 ABO3 형태의 perovskite 구조에서 A자리 Bi이온의 휘발이나 B 자리 Fe3+이온이 Fe2+이온으로의 천이로 인한 전하보상으로 산소 공공이 증가함에 따라 누설전류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BFO의 단점은? 순수 BFO의 경우 높은 큐리온도(Curie temperature, TC) ~830 oC와 큰 잔류분극(remnant polarization, Pr) ~100 μC/cm2 을 갖는다.4-7) 하지만 제조공정중에 쉽게 2차상을 형성하여 순수한 물질을 제작하기 어려우며, 소결 과정에서 ABO3 형태의 perovskite 구조에서 A자리 Bi이온의 휘발이나 B 자리 Fe3+이온이 Fe2+이온으로의 천이로 인한 전하보상으로 산소 공공이 증가함에 따라 누설전류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4-7)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A자리를 La2O3, Sm2O3, Nd2O3와 같은 란탄족으로 치환하거나8-12) BaTiO3, CaTiO3, SrTiO3 perovskite로 치환하여 압전 및 유전 특성이 향상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 Jaffe, R. S. Roth and S. Marzullo, J. Appl. Phys., 25, 809 (1954). 

  2. R. A. Malik, A. Hussain, A. Zaman, A. Maqbool, J. U. Rahman, T. K. Song, W. J. Kim and M. H. Kim, RSC Adv., 5, 96953 (2015). 

  3. T. Takenaka and H. Nagata, J. Eur. Ceram. Soc., 25, 2693 (2005). 

  4. N. N. Krainik, N. P. Khuchua, V. V. Zhdanova and V. A. Evseev, Sov. Phys. Solid State,. 8, 654 (1966). 

  5. S. O. Leontsev and R. E. Eitel, J. Am. Ceram. Soc., 92, 2957 (2009). 

  6. C. I. Cheon, J. H. Choi, J. S. Kim, J. Zang, T. Fromling, J. Rodel and W. Jo, J. Appl. Phys., 119, 154101 (2016). 

  7. A. K. Pradhan, Kai Zhang, D. Hunter, J. B. Dadson and G. B. Loutts, J. Appl Phys., 97, 093903 (2005). 

  8. Y. H. Lin, Q. Jiang, Y. Wang, C. W. Nan, L. Chen and J. Yu, Appl, Phys. Lett., 90, 172507 (2007). 

  9. Z. X. Cheng, A. H. Li, X. L. Wang, S. X. Dou, K. Ozawa, H. Kimura, S. J. Zhang and T. R. Shrout, J. Appl Phys., 103, 07E507 (2008). 

  10. P. Suresh, S. Srinath, J. Alloys Compd., 554, 271 (2013). 

  11. K. S. Nalwa and A. Garg, J. Appl. Phys., 103, 044101 (2008). 

  12. S. Karimi, I. M. Reaney, Y. Han, J. Pokorny and I. Sterianou, J. Mater. Sci., 44, 5102 (2009). 

  13. M. H. Lee, D. J. Kim, J. S. Park, S. W. Kim, T. K. Song, M. H. Kim, W. J. Kim, D. Do and I. K. Jeong, Adv. Mater., 27, 6976 (2015). 

  14. C. Zhou, H. Yang, Q. Zhou, Z. Cen, W. Li, C. Yuan and H. Wang, Ceram. Int., 39, 4307 (2013). 

  15. Z. Z. Ma, Z. M. Tian, J. Q. Li, C. H. Wang, S. X. Huo, H. N. Duan and S. L. Yuan, Solid State Sci., 13, 2196 (2011). 

  16. Q. Wang, Z. Wang, X. Q. Liu and X. M. Chen, J. Am. Ceram. Soc., 95, 670 (2012). 

  17. C. A. Randall, R. E. Newnham, L. E. Cross "History of the First Ferroelectric Oxide, BaTiO3", Materials Research Institute,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2004). 

  18. J. Chen and J. Cheng, J, Alloys Compd., 589, 115 (2014). 

  19. C. Zhou, H. Yang, Q. Zhou, G. Chen, W. Li and H. Wang, J. Mater. Sci., 24, 1685 (2013). 

  20. H. Du, D. Liu, F. Tang, D. Zhu, W. Zhou and S. Qu, J. Am. Ceram Soc., 90, 2824(2007). 

  21. Q. Fan, C. Zhou, W. Zeng, L. Cao, C. Yuan, G. Rao and X. Li, J. Electroceram., 36, 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